목록마스터와 가르침 (1207)
숨터학당(學堂)-진리를 깨달아 자유를....나는 나다.
맹자(孟子)-제 4 편 이루 장구 하 ( 離婁 章句 下 ) 맹자(孟子) 제 4 편 이루 장구 하 ( 離婁 章句 下 ) 2. --- 惠而不知爲政이로다 ---혜이부지위정 은혜스러우나 정치를 할 줄 모른다 (재상 자산이 냇물을 건너는 백성들을 자기 수레로 건너게 해준 데 대한 말임 일국의 재상은 다리를 놓을 ..
맹자(孟子)-제 4 편 이루 장구 상 ( 離婁 章句 上 ) 맹자(孟子) 제 4 편 이루 장구 상 ( 離婁 章句 上 ) ♣ 이루는 황제 때 사람이며 눈이 무척 밝아 백보 밖에서 가을 터럭의 끝을 볼 수 있었다고 함. 예(禮) 를 받드는 것을 밝다고 한다 밝음은 이루보다 더 심할 것이 없다 그래서 이루의 밝음..
맹자(孟子)-제 3 편 등문공 장구 하 ( 滕文公 章句 下 ) 맹자(孟子) 제 3 편 등문공 장구 하 ( 滕文公 章句 下 ) 1. --- 志士는 不忘在溝壑이오 勇士는 不忘喪其元이라 ---지사 불 망재구학 용 사 불 망상기원 (공자님 말씀) 지사는 (뜻을 굽히지 않기 때문에 언제 죽더라도 그 몸이) 구렁텅이..
맹자(孟子)-제 3 편 등문공 장구 상 ( 滕文公 章句 上 ) 맹자(孟子) 제 3 편 등문공 장구 상 ( 滕文公 章句 上 ) ♣ 등문공은 등나라 세자(세자는 제후국의 대를 이을 사람이며 태자는 천자의 뒤를 이을 사람으로 구 분)로 있을 때임. 치국의 사례와 인의에 의한 정치이념과 백성들을 계몽 선도..
맹자(孟子)-제 2 편 공손추 장구 하 ( 公孫丑 章句 下 ) 맹자(孟子) 제 2 편 공손추 장구 하 ( 公孫丑 章句 下 ) 1. 天時 不如地利오 地利 不如人和니라 -- 천시 불여지리 지 리 불여인화 천시는 지리만 못하고 지리는 인화만 못하다. (맹자의 전쟁론으로 계절, 기후보다 지리적 조건이 좋고 그..
맹자(孟子)-제 1 편 양혜왕 장구 하 ( 梁惠王 章句 下 ) 맹자(孟子) 제 1 편 양혜왕 장구 하 ( 梁惠王 章句 下 ) 1. --- 與民同樂也니이다. ---여 민동락야 백성들과 함께 즐깁니다. (제나라 선왕의 신하 장포가 음악과 사냥 등을 좋아해도 되는지 물었다) 3. --- 詩云畏天之威하야 于時保之..
맹자(孟子)-제 1 편 양혜왕 장구 상 (梁惠王 章句 上) 맹자(孟子) 제 1 편 양혜왕 장구 상 (梁惠王 章句 上) ♣ 양혜왕은 전국시대의 7국중의 하나인 위나라(양나라 라고도 함)혜왕을 말함. 휼륭한 성군은 요와순이 있을 뿐으로 요순의 정치 도의인 인의가 제일이라 생각하여 첫 편으로 삼..
맹자해설(孟子解說) 1. 맹자의 저자 및 성격 : 논어의 보완 판이라 할 수 있는 맹자는 맹자의 사상과 맹자와 주로 제후와 제자간의 문답으로 이루어진 문장으로 저자에 대하여서는 많은 설이 있으나 일부는 맹자 자신이 적어 놓은 것과 일부는 제자들이 단편들을 모아서 편집하여 하..
퇴계(退溪) 이황(李滉)이 제자들에게 준 잠언(箴言) ⊙. 몰라서 실천하지 못하는 것은 그 사람의 죄가 아니다. (不知而無爲者 非其人之罪) ⊙. 배우는 사람의 공부 가운데 심신을 닦는 것보다 절실한 일은 없다. (學者用工 莫切於心身) ⊙. 몸가짐은 공손히, 일은 공정히, 남과의 사귐은 정..
4단(四端) 칠정(七情) 이(理)는 우주의 근본 원리이고 인간의 심성에 있어서는 순수한 이성과 상통하는 것으로 사단의 근본이다. 4단(端)은 인의예지(仁義禮智)의 나타남이라 할 수 있다. 즉, 측은지심(惻隱之心); 불쌍하게 여길 줄 아는 마음 인지단(仁之端) 수오지심(羞惡之心); ..
대학장구 ( 大學章句 )-제 2 편 전 문 ( 傳 文 ) 제 10 장 치국 평천하 (治國 平天下) ♣ 본 장은 4 절로 구성 되었음 제 1 절 君子는 有絜矩之道也니라. 군자 유혈구지도야 군자는 자기의 마음으로 남의 마음을 헤아린다. (남의 어려운 사정을 잘 안다) ☞ 혈구(絜矩) : 혈은 사물의 척도를..
대학장구 ( 大學章句 )-제 2 편 전 문 ( 傳 文 ) 제 9 장 제가 치국 (齊家 治國) ♣ 본 장은 3절로 구성 되어 있음 제 1 절 所謂治國이 必先齊其家者는 其家를 不可敎오 而能敎人者가 無之니라. 소위치국 필선제기가자 기가 불가교 이능교인자 무 지 이른바 나라를 다스림에 앞서 반드시 제 ..
대학장구 ( 大學章句 )-제 2 편 전 문 ( 傳 文 ) 제 8장 수신 제가 (修身 齊家) 所謂齊其家在修其身者는 人之其所親愛而辟焉하며 소위 제기가 재수기신자 인지 기소친애이 벽언 이른바 그 집안을 바로 잡음이 그 몸을 닦음에 있다는 것은, 사람이란 그 친하고 사랑하는 사람에게 치우..
대학장구 ( 大學章句 )-제 2 편 전 문 ( 傳 文 ) 제 7 장 정심 수신 (正心 修身) 所謂修身이 在正其心者는 身有所忿懥則不得其正하고 有所恐懼則不得其正하고 소위수 신 재정 기심 자 신 유소분치즉 부득기정 유 소공구즉 부득기 정 이른바 몸을 닦음이 그 마음을 바르게 함에 있다는 것..
대학장구 ( 大學章句 )-제 2 편 전 문 ( 傳 文 ) 제 6 장 성 의 (誠意) 所謂誠其意者는 毋自欺也니 如惡惡臭하며 如好好色을 此之謂自謙이니라. 소 위성기의자 무 자기야 여 오악 취 여 호호색 차 지위자겸 이른바 그 뜻을 성실하게 한다 함은 스스로를 속이지 않는 것이니, 나쁜 냄새를 싫어..
대학장구 ( 大學章句 )-제 2 편 전 문 ( 傳 文 ) 제 5 장 격물치지(格物致知) 此謂知本이오 此謂知之至야니라. 차위 지본 차 위지 지지 이것을 일러 근본을 안다고 하며, 이것을 이러 앎의 지극한 것이라 하는 것이다. ☞ 이장은 한 구절로 이루어 졌는데 주희가 뒤에 보충을 하여 보망장이..
대학장구 ( 大學章句 )-제 2 편 전 문 ( 傳 文 ) 제 4 장 본 말 (本末) 無情者로 不得盡其辭니라 大畏民志니 此謂知本이니라. 무정자 부 득진기사 대 외민지 차 위지본 진실하지 못한 자는 그 말을 다하지 못한다. (거짓은 계속 꾸며대기가 힘들다는 말) 이것은 백성들의 뜻을 크게 두려워..
대학장구 ( 大學章句 )-제 2 편 전 문 ( 傳 文 ) 제 3 장 지어지선 (止於至善) 子曰 於止에 知其所止로소니 可以人而不如鳥乎아 자왈 어지 지 기소지 가 이인이불여조 호 그 머무를 곳을 알고 머물렀으니, 가히 사람이면서 새와 같지 못할 수 있겠는가 與國人交엔 止於信하시니라 여국 ..
대학장구 ( 大學章句 )-제 2 편 전 문 ( 傳 文 ) 제 2 장 친(신) 민 [親(新) 民] 湯之盤銘에 曰 苟日新이면 日日新하고 又日新이라 탕 지반명 왈 구일신 일 일신 우 일신 탕임금의 반명에 진실로 날로 새로워지면, 나날이 새로워지고 또 날로 새로워진다. ☞ 탕지반명 : 탕임금이 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