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마스터와 가르침 (1207)
숨터학당(學堂)-진리를 깨달아 자유를....나는 나다.
論語-제 5 편 공 야 장 ( 公 冶 長 ) ♣ 제자들과 고금의 인물을 평한 것으로 주로 자공의 언행이 많이 기술 되어 있다. 9. 子貢對曰 --- 回也는 聞一以知十하고 賜也는 聞一以知二하노이다. --- 자공 대왈 회 야 문 일이지십 사 야 문 일이지이 자공이 대답하길 안회는 하나를 들으면 열을 알..
論 語-제 4 편 이 인 ( 里 仁 ) ♣ 인덕(仁德)에 대한 말을 많이 수록하였음 1. 子曰 里人이 爲美 하니 擇不處仁이면 焉得知리오. 이 인 위 미 택불처인 언 득 지 인후한 마을에 사는 것이 좋으며 그러한 곳을 택하여 살지 않으면 어찌 지혜롭다 하리요. 2. 子曰 不仁者는 不可以久處約이며 不..
論 語-제 3 편 팔 일 ( 八 佾 ) ♣ 무악(舞樂)의 이름인 팔일을 편명으로 삼아 예악에 대한 이야기를 모아 놓았다. 3. 子曰 人而不仁이면 如禮에 何며 人而不仁이면 如樂에 何오. 인 이 불 인 여 례 하 인 이 불 인 여 악 하. 사람이 어질지 못하면 예는 무엇하며 사람이 어질지 못하면 음..
論 語 제 2 편 위 정( 爲 政 ) ♣ 정치에 대한 내용을 많이 수록하였다. 3. 子曰(자왈) 道之以政(도지이정)하고 齊之以刑(제지이형)이면 民免而無恥(민면이무치)니라, 법률 제도로써 백성을 지도하고 형벌로써 질서를 유지시키면, 백성들은 법망을 빠져나가되 형벌을 피함을 수치로 여기..
論 語 제 1 편 학 이( 學 而 ) ♣ 학이편은 논어의 서편(緖編)으로 학문의 중요성과 공자의 사상이 깃들어 있다. 1. 子曰(자왈) 學而時習之(학이시습지)면 不亦說乎(불역열호)아, 배우고 때로 익히면 또한 기쁘지 아니한가 有朋(유붕)이 自遠方來(자원방래)면 不亦樂乎(불역락호)아, 벗..
論 語 解 說(논어해설) 1. 論語의 저자 및 성격 : 유교의 근본사상이된 論語는 孔子의 언행과 사상, 孔子와 제자 및 여러 인사와의 문답, 제자들간의 대화를 제자들(주로 증자 및 자사)이 기록하여 두었다가 孔子가 죽은 후 한나라 시대 孔子의 제자들에 의하여 책으로 만들어졌다는 ..
25. 勸 學 篇 (권 학 편) 朱子曰 勿謂今日不學而有來日하며 勿謂今年不學而有來年라 日月逝矣나 歲不我延이 주자왈 물위금일불학이유래일 물위금년불학이유내년 일월서의 세불아연 니 嗚呼老矣라 是誰之愆고. 오호노의 시수지건 주자가 말하기를, "오늘 배우지 아니 하고서 내일이 있다..
24. 廉 義 篇 (염 의 편) 印觀이 賣綿於市할새 有暑調者以穀買之而還이니 有鳶이 攫其綿하야 墮印觀家어늘 인관 매면어시 유서조자이곡매지이환 유연 획기면 타인관가 印觀이 歸于署調曰鳶墮汝綿於吾家 故로 還汝하노라 署調曰 鳶이 攫綿與汝는 天也라 인관 귀우서조왈연타여면어오가 ..
23. 孝行篇 續篇 (효행편 속편) 孫順이 家貧하여 與其妻로 傭作人家以養母 有兒每奪母食이라 順이 謂妻曰兒奪母 손순 가빈 여기처 용작인가이양모 유아매탈모식 순 위처왈아탈모 食 兒는 可得이어니와 母難再求하라고 乃負兒往歸醉山北郊하여 欲埋堀地러니 忽有 식 아 가득 모난재구 ..
22. 八 反 歌 八 首 (팔 반 가 팔 수) 幼兒 或리我하면 我心에 覺환喜하고 父母 嗔怒我하면 我心에 反不甘이라 一환喜 유아혹리아 아심 각환희 부모 진노아 아심 반불감 일환희 一不甘하니 待兒待父心何懸고 勸君今日逢親怒어든 也應將親作兒看이니라. 일불감 대아대부심하현 권군금일봉..
21. 增 補 篇 (증 보 편) 周易 曰 善不積이면 不足以成名이요 惡不積이면 不足以滅身이어늘 小人은 以小善으 주역 왈 선부적 부족이성명 악부적 부족이멸신 소인 이소선 로 爲無益而弗爲也하고 以小惡无 爲無傷而弗去也 故로 惡積而不可掩이요 罪大而不 위무익이불위야 이소악무 위무상..
20. 婦 行 篇 (부 행 편) 益智書 云 女有四德之譽하니 一曰婦德이요 二曰婦容이요 三曰婦言이요 四曰婦工也 익지서 운 여유사덕지예 일왈부덕 이왈부용 삼왈부언 사왈부공야 니라. {익지서}에 이르기를, "여자는 네 가지 덕의 아름다움이 있으니, 첫째는 부덕을 말하고, 둘째는 부용을 말..
19. 交 友 篇 (교 우 편) 子曰 與善人居 如入芝蘭之室하여 久而不聞其香하되 卽與之化矣요 與不善人居에 如 자왈 여선인거 여입지란지실 구이불문기향 즉여지화의 여불선인거 여 入飽魚之肆 久而不聞其臭하되 亦與之化矣니 丹之所藏者는 赤하고 漆之所藏者는 黑 입포어지사 구이불문기..
18. 言 語 篇 (언 어 편) 劉會曰 言不中理면 不如不言이니라. 유회왈 언부중리 불여불언 유회가 말하기를, "말이 이치에 맞지 않으면 말하지 아니함만 못하느니라."고 하셨다. 一言不中이면 千語無用이니라. 일언부중 천어무용 한 마디 말이 맞지 않으면 천 마디 말이 쓸데 없느니라. 君平..
17. 遵 禮 篇 (준 례 편) 子曰 居家有禮故로 長幼辨하고 閨門有禮故로 三族和 朝廷有禮故로 官爵序하고 田 자왈 거가유례고 장유변 규문율례고 심족화 조정유례고 관작서 전 獵有禮故로 戎事閑하고 軍旅有禮故로 武功成이니라. 렵유례고 융사한 군여유례고 무공성 공자가 말하기를, "한 ..
16. 安 義 篇 (안 의 편) 顔氏家訓 曰 夫有人民而後에 有夫婦하고 有夫婦而後에 有父子하고 有父子而後에 有 안씨가훈 왈 부유인민이후 유부부 유부부이후 유부자 유부자이후 유 兄弟하니 一家之親 此三者而已矣라 自玆以往으로 至于九族이 皆本於三親焉故로 於人 형제 일가지친 차삼자..
15. 治 家 篇(치 가 편) 司馬溫公이 曰 凡諸卑幼事無大小이요 毋得專行하고 必咨稟於家長이니라. 사마온공 왈 범제비유사무대소 무득전행 필자품어가장 사마온공이 말하기를, "무릇 손아래 사람들은 일의 크고 작음이 없이 제멋대로 행동하지 말고 반드시 집안 어른께 여쭈어 보고서 해..
14. 治 政 篇(치 정 편) 明道先生이 曰 一命之士 苟有存心於愛物이면 於人에 必有所濟니라. 명도선생 왈 일명지사 구유존심어애물 어인 필유소제 명도선생이 말하기를, "처음으로 벼슬을 얻는 사람이라도 진실로 물건을 사랑하는데 마음을 쓴다면 남에게 반드시 도움을 받는바가 있느니..
13. 立 敎 篇(입 교 편) 子曰 立身有義而孝爲本이요 喪祀有禮而哀爲本이오 戰陣有列而勇爲本이요 자왈 입신유의이효위본 상사유례이애위본 전진유열이용위본 治政有理而農爲本이요 居國有道而嗣爲本이요 生財有時而力爲本이니라 치정유리이농위본 거국유도이사위본 생재유시이력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