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마스터와 가르침 (1221)
숨터학당(學堂)-진리를 깨달아 자유를....나는 나다.
論語-제 19 편 자 장 (子 張) ♣ 이 편에는 공자의 제자들인 자하, 자공, 증자 등의 말을 간추려 놓았음 6. 子夏曰 博學而篤志하며 切問而近思하면 仁在其中矣니라. 자하 왈 박학이 독지 절 문이근사 인 재기중의 자하가 말하길 널리 배우되 뜻을 독실하게 가지고, 간절히 묻고 가까운 ..
論語-제 18편 미 자 (微 子) ♣ 고대 은, 주나라의 현인(미자, 기자, 비간, 백이 숙제 등)들에 대한 공자님의 생각과 사상을 당시의 사회상에 중점을 두어 기술하였다. 5. 楚狂接與 --- 往者는 不可諫이어니와 來者는 猶可追니 --- 초 광접여 왕 자 불 가간 내 자 유 가 추 초나라 (거짓으로)미친..
論語-제 17 편 양 화 ( 陽 貨 ) ♣ 세상의 어지러움과 위정자와 제자들에게 경고를 많이 하고 있다. 2. 子曰 性相近也나 習相遠也니라. 성 상근야 습상 원야 사람의 천성은 서로 비슷하나 습관에 의해 서로 멀어진다. 3. 子曰 唯上知與下愚는 不移니라. 유 상지여하우 불 이 가장 지혜로운 ..
論語-제 16 편 계 씨 ( 季 氏 ) ♣ 이 편은 긴 문장이 많으며, 말한 사람의 이름이 없으며 특히 자왈을 공자왈로 적어 놓았다. 논어의 노론(魯論) 제론(齊論) 고론(古論)의 삼론중 제론으로 본다. 1. --- 不患寡而患不均하며 不患貧而患不安이라 불환과 이환 불균 불 환빈이환 불안 (공..
論語-제 15 편 衛 靈 公 ( 위 영 공 ) ♣ 문구가 짧은 것이 특색이며 수신과 처세에 관한 구절이 많다. 1. --- 子曰 君子는 固窮이니 小人은 窮斯濫矣니라. 군 자 고 궁 소 인 궁사 람의 군자는 곤궁을 잘 견딜 수 있지만 소인은 곤궁해지면 마구 행동을 한다. 7. 子曰 可與言而不與之言..
論語-제 14 편 헌 문 ( 憲 問 ) ♣ 이 편은 여러 나라의 사대부의 말을 기록하였으며 원헌(原憲)이 직접 기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3. 子曰 士而懷居면 不足以爲士矣니라. 사 이회 거 부 족이위 사의 선비가 편안하게 살기만 생각한다면 선비라고 하기에 부족하다. 5. 子曰 有德者는 ..
論 語-제 13 편 자 로 ( 子 路 ) ♣ 앞쪽은 정치에 대한 기록이 많으며 뒤쪽은 성인 군자에 대한 문답으로 이루어짐. 3. --- 子曰 必也正名乎인저. --- 君子 於其所不知에 蓋闕如也니라. --- 필 야 정명호 군 자 어기소 부지 개 궐여 야 반드시 명분을 바로잡겠다. --- 군자는 그 알지 못하는 일..
論 語-제 12 편 안 연 ( 顔 淵 ) ♣ 안연편은 공자와 제자, 제후들과의 대화를 기록한 것으로 주로 정치 쪽으로 많이 기록이 되었으며 바름(正)과 솔선을 이상형으로 삼았다. 1. 顔淵이 問仁하대 子曰 克己復禮 爲仁이니 一日克其復禮면 天下 歸仁焉하나니 안 연 문 인 자 왈 극기복례..
論 語-제 11 편 선 진 ( 先 進 ) ♣ 문인들과 그외의 인물들에 대한 평이 많고 논어 전권을 선진을 기준으로 상, 하로 나누는 경계로 삼았다. 7. --- 子曰 才不才에 亦各言其子也니 --- 재부 재 역각 언기자 야 잘났건 못났건 역시 제자식을 생각한다. ☞ 안연이 죽었을 때 그의 ..
論 語-제 10 편 향 당 ( 鄕 黨 ) ♣ 향당은 공자님의 용모, 음성, 의식주 등과 같은 일상생활과 공자님의 생활태도를 기록한 편이다. 4. --- 入不中門하시며 行不履閾이러시다. --- 입 부중문 행 불리역 설 때에는 문의 중앙을 피하셨고 들어갈 적에는 문지방을 밟지 않으셨다. 9. 席不正..
論 語-제 9 편 자 한 ( 子 罕 ) ♣ 공자의 언행에 대한 기록과 공자의 출처진퇴(出處進退)에 대한 기록이 많음. 4. 子 絶四러시니 毋意毋必毋固毋我러시다. 자 절 사 무 의무필무고 무아 공자께서 네 가지를 근절 하셨으니 자의대로 하는 일이 없었고, 집착하지 아니하고, 고집을 안 부..
論 語-제 8 편 태 백 ( 泰 伯 ) ♣ 고대의 성왕들과 현인들의 이야기를 주로 다루었다. 2. --- 君子 篤於親則民興於仁하고 故舊를 不遺則民不偸니라. 군 자 독 어친즉민흥어 인 고 구 불 유즉민불 투 군자가 친족에게 후하게 하면 백성들 사이에 어진 마음이 일어나게 하며, 옛친구를 버리지 ..
論 語-제 7 편 술 이 ( 述 而 ) ♣ 공자 자신의 일과 공자의 용모, 태도, 행동에 대한 것들이 기록되어 논어 전편 중 가장 뛰어난 구절들이 많이 있다. 6. 子曰 志於道 하며 據於德하며 依於仁하며 游於藝니라. 지 어도 거 어덕 의 어인 유 어예 군자의 이상적인 생활이란 도에다 뜻을 두고 덕..
論 語-제 6 편 옹 야 (雍 也) ♣ 이 편의 앞쪽은 인물평이 많고 뒤쪽은 인(仁)과 지(知)에 대한 이론이 많이 있다. 2. --- 孔子 對曰有顔回者好學하야 不遷怒하며 不貳過하더니 --- 공자 대왈유안 회자호 학 불 천노 불 이과 안회(공자가 제일 사랑한 제자로 41살에 죽음)는 학문을 너무 좋아하..
論語-제 5 편 공 야 장 ( 公 冶 長 ) ♣ 제자들과 고금의 인물을 평한 것으로 주로 자공의 언행이 많이 기술 되어 있다. 9. 子貢對曰 --- 回也는 聞一以知十하고 賜也는 聞一以知二하노이다. --- 자공 대왈 회 야 문 일이지십 사 야 문 일이지이 자공이 대답하길 안회는 하나를 들으면 열을 알..
論 語-제 4 편 이 인 ( 里 仁 ) ♣ 인덕(仁德)에 대한 말을 많이 수록하였음 1. 子曰 里人이 爲美 하니 擇不處仁이면 焉得知리오. 이 인 위 미 택불처인 언 득 지 인후한 마을에 사는 것이 좋으며 그러한 곳을 택하여 살지 않으면 어찌 지혜롭다 하리요. 2. 子曰 不仁者는 不可以久處約이며 不..
論 語-제 3 편 팔 일 ( 八 佾 ) ♣ 무악(舞樂)의 이름인 팔일을 편명으로 삼아 예악에 대한 이야기를 모아 놓았다. 3. 子曰 人而不仁이면 如禮에 何며 人而不仁이면 如樂에 何오. 인 이 불 인 여 례 하 인 이 불 인 여 악 하. 사람이 어질지 못하면 예는 무엇하며 사람이 어질지 못하면 음..
論 語 제 2 편 위 정( 爲 政 ) ♣ 정치에 대한 내용을 많이 수록하였다. 3. 子曰(자왈) 道之以政(도지이정)하고 齊之以刑(제지이형)이면 民免而無恥(민면이무치)니라, 법률 제도로써 백성을 지도하고 형벌로써 질서를 유지시키면, 백성들은 법망을 빠져나가되 형벌을 피함을 수치로 여기..
論 語 제 1 편 학 이( 學 而 ) ♣ 학이편은 논어의 서편(緖編)으로 학문의 중요성과 공자의 사상이 깃들어 있다. 1. 子曰(자왈) 學而時習之(학이시습지)면 不亦說乎(불역열호)아, 배우고 때로 익히면 또한 기쁘지 아니한가 有朋(유붕)이 自遠方來(자원방래)면 不亦樂乎(불역락호)아, 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