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마스터와 가르침 (1207)
숨터학당(學堂)-진리를 깨달아 자유를....나는 나다.
洪自誠의 菜根譚(채근담)(萬曆本)-8 <前集 (001~225) 完譯> 譯者; 李鎭夏(lee19858@hanmail.net) 071. 十語九中,未必稱奇。一語不中,則愆尤騈集。 십어구중, 미필칭기. 일어부중, 즉건우병집 十謀九成,未必歸功。一謀不成,則訾議叢興。 십모구성, 미필귀공. 일모불성, 즉자의총흥 君子..
洪自誠의 菜根譚(채근담)(萬曆本)-7 <前集 (001~225) 完譯> 譯者; 李鎭夏(lee19858@hanmail.net) 061. 學者要有段兢業的心思,又要有段瀟洒的趣味。 학자요유단긍업적심사, 우요유단소쇄적취미 若一味斂束淸苦,是有秋殺無春生,何以發育萬物 약일미렴속청고, 시유추살무춘생, 하이발육..
洪自誠의 菜根譚(채근담)(萬曆本)-6 <前集 (001~225) 完譯> 譯者; 李鎭夏(lee19858@hanmail.net) 051. 我有功於人,不可念,而過則不可不念。 아유공어인, 불가념, 이과즉불가불념 人有恩於我,不可忘,而怨則不可不忘。 인유은어아, 불가망, 이원즉불가불망 내가 남에게 베푼 공덕을 마음..
洪自誠의 菜根譚(채근담)(萬曆本)-5 <前集 (001~225) 完譯> 譯者; 李鎭夏(lee19858@hanmail.net) 041. 念頭濃者,自待厚,待人亦厚,處處皆濃。 염두농자 자대후 대인역후 처처개농 念頭淡者,自待薄,待人亦薄,事事皆淡。 염두담자 자대박 대인역박 사사개담 故君子居常嗜好,不可太濃..
洪自誠의 菜根譚(채근담)(萬曆本)-4 <前集 (001~225) 完譯> 譯者; 李鎭夏(lee19858@hanmail.net) 031. 富貴家,宜寬厚,而反忌刻。 부귀가 의관후 이반기각 是富貴而貧賤其行矣,如何能享? 시부귀이빈천기행의 여하능향 聰明人,宜斂藏,而反炫耀。 총명인 의렴장 이반현요 是聰明而愚..
洪自誠의 菜根譚(채근담)(萬曆本)-3 <前集 (001~225) 完譯> 譯者; 李鎭夏(lee19858@hanmail.net) 021. 家庭에 有個眞佛하고 日用에 有種眞道니라. 가정에 유개진불하고 일용에 유종진도니라. 人能誠心和氣하고 愉色婉言하여 인능성심화기하고 유색완언하여 使父母兄弟間으로 形骸兩釋하고 意..
洪自誠의 菜根譚(채근담)(萬曆本)-2 <前集 (001~225) 完譯> 譯者; 李鎭夏(lee19858@hanmail.net) 011. 藜口腸者는 多氷淸玉潔하고 袞衣玉食者는 甘婢 膝奴顔하나니 여구장자는 다빙청옥결하고 곤의옥식자는 감비 슬노안하나니 蓋志以澹泊明하고 而節從肥甘喪也니라. 개지이담박명하고 ..
洪自誠의 菜根譚(채근담)(萬曆本)-1 <前集 (001~225) 完譯> 譯者; 李鎭夏(lee19858@hanmail.net) 001. 棲守道德者는 寂寞一時하고, 서수도덕자는 적막일시하고, 依阿權勢者는 凄凉萬古니라. 의아권세자는 처량만고니라. 達人은 觀物外之物하고 思身後之身하나니 달인은 관물외지물하고 사신후..
중용장구 (中庸章句) 5 편 성 론 (聖 論)-2 제 1 장(제27장) 성인의 도 (聖人의 道)大哉라 聖人之道여 洋洋乎發育萬物하야 峻極于天이로다.대재 성인지도 양 양호발육만물 준극우천위대하도다 성인의 도여 ! 한없이 폭넓게 만물을 생성하게 하여 높기가 하늘에까지 닿았도다. --- 待其人而後에行하니라. 故로 曰 苟不至德이면 至道不凝焉이라.--- 대기인이후 행 . 고 왈 구부지덕 지 도불응언그러한 성인을 기다린 뒤에야 행하여진다. (일이 잘되려면 그럴 만한 사람이 나타난다).그러므로 “진실로 지극한 덕이 아니면 지극한 도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고 하였다故로 君子는 尊德性而道問學이니 致廣大而盡精微하며 고 군 자 존덕성이도문학 치광대이진정미그러므로 군자는 덕성을 높이고 묻고 배우는 길을 가는 것이니, 넓..
중용장구 (中庸章句) 4 편 성 론 (誠 論)-1 제 1 장(제20장) 성과 정치 (誠과 政治) 1. --- 其人存이면 則其政擧하고 其人亡이면 則其政息이니라. --- 기인존 즉 기정거 기 인 망 즉기정식 (노나라 임금 애공이 공자께 정치에 대하여 묻자 무왕과 문왕의 기록이 있으니) 그러한 사람이 ..
중용장구 (中庸章句) 3 편 도 론 (道 論) 제 1 장(제12장) 도의 용과체 (道의 用과體) 君子之道는 費而隱이니라. 군자지도 비 이 은 군자의 도는 광대하면서도 은미하다. (군자가 행하는 중용의 도는 남의 눈에 안 띄지만 한없이 넓고 커서 미치지 않는 곳이 없으며 그 내용은 은밀하고 ..
중용장구(中庸章句)제2편 군자와 중용(君子와 中庸) 제 1 장(제2장) 중용의 도 (中庸의 道) 仲尼曰 君子는 中庸이오 小人은 反中庸이니라. 중니왈 군 자 중 용 소 인 반 중 용 공자(중니)게서 말씀하시길 군자는 중용이요, 소인은 반중용(중용에 반대)이다 君子之中庸也는 君子而時中..
중용장구 (中庸章句) 1 편 도와 중용 (道 中庸) ♣ 본래 장명(章名) 없이 33장으로 이루어진 중용장구는, 편명(篇名)과 장명을 책에 따라 있는 것도, 없는 것도 있어 이해를 돕기 위해 각 명칭을 기입한다. 장에 따라 긴 문장도 있고 한줄 짜리 문장도 있다.( )안에 있는 장은 본래 장의 명칭..
중 용 해 설( 中庸解說 ) 1.중용의 저자 : 중용은 대학과 마찬가지로 예기에 수록되어 있던 것을 후세에 분리하여 하나의 책으로 만들어지게 되었다. 송나라의 재용이 예기에서 떼어 내어 중용전 2권을 만들었는데 지금은 전하지 않는다. 그 후 송나라 사마광이 중용광의를 지었고, 이..
맹자(孟子) 제 7 편 진심 장구 하 ( 盡心 章句 下 ) 3. 盡信書면 則不如無書니라. -- 진신 서 즉 불여무서 서경(書經)의 내용을 그대로 다 믿는다면 서경이 없느니만 못하다 ☞ 서경뿐만 아니라 일반 책도 쓰는 사람의 주관이나 과장이 있기 때문에 독서 시에는 냉철히 판단해 읽어야 한..
맹자(孟子) 제 7 편 진심 장구 상 (盡心 章句 上) ♣ 진심편에서는 사람이 실천해야할 도리를 잛은 문장으로 엮어 놓았으며 맹자 전편 중에서 가장 인상 깊은 명언들로 구성되어 있다. 1. 盡其心者는 知其性也니 知其性則知天矣니라. 진 기심자 지기성야 지 기성즉지천 의 자기의 마음을..
맹자(孟子)-제 6 편 고자 장구 하 ( 告子 章句 下 ) 맹자(孟子) 제 6 편 고자 장구 하 ( 告子 章句 下 ) 2. --- 道는 若大路然하니 豈難知哉리오 人病不求耳니라 ---도 약대로연 기 난지재 인 병불구이 도란 큰길과 같아서 어찌 알기가 어렵겠는가 사람들이 그것을 구하지 않는 것을 근심할 뿐..
맹자(孟子)-제 6 편 고자 장구 상 ( 告子 章句 上 ) 맹자(孟子) 제 6 편 고자 장구 상 ( 告子 章句 上 ) ♣ 고자는 맹자시대에 군소 사상가로 맹자의 사상과 닮은점이 있으나 기본적으로는 일치되지 않는 점이 많이 있다. 맹자의 성선론에 대한 언급을 많이 했다. 4. 告子曰 食色이 性也니라 ..
맹자(孟子)-제 5 편 만장 장구 하 ( 萬章 章句 下 ) 맹자(孟子) 제 5 편 만장 장구 하 ( 萬章 章句 下 ) 1. --- 聞伯夷之風者는 頑夫 廉하며 懦夫 有立之 하니라 ---문백이지풍자 완부 염 나부 유립지 백이의 인품을 들은 사람들은 탐욕스러운 사내도 청렴해지고 나약한 사내도 뜻을 세우게 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