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공자 (25)
숨터학당(學堂)-진리를 깨달아 자유를....나는 나다.
심재(心齋)와 좌망(坐忘)이란? 장자가 제시한 도(道)의 수양방법 중 하나로, 마음을 가다듬고 비우는 것. 본문중국 전국시대의 도가(道家) 사상가인 장자(莊子, B.C. 365?~B.C. 270?)는 만물의 근원으로 도(道)를 중시하였다. 장자는 도를 체득하기 위해서 감각과 지식을 모두 떠나야 한다고 주장하였으며, 도를 수양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으로 심재(心齋)와 좌망(坐忘)을 제시하였다. 이 중 심재(心齋)는 '마음(心)을 가다듬는다(齋)'라는 뜻으로 감각과 지식을 모두 버리고 마음을 비운 상태에 이른 것을 의미한다. 《장자(莊子)》 내편(內篇)에 따르면, 공자(孔子)의 제자였던 안회(顔回)는 당시 폭정을 일삼던 위나라 임금을 찾아가서 바로잡겠다고 하였는데 공자는 그를 말리면서 '먼저 심재하라'고 권..
기소불욕물시어인(己所不欲勿施於人) 요약 '자기가 하기 싫은 일을 남에게도 하게 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이르는 말.' 본문 己 : 자기 기 所 : 바 소 不 : 아닐 불 欲 : 하고자 할 욕 勿 : 말 물 施 : 베풀 시 於 : 어조사 어 人 : 사람 인 [己所不欲勿施於人]" '내가 하고자 하지 않는 바를 남에게 베풀지 말라'라는 뜻으로, 자기 스스로 하고 싶지 않은 일을 다른 사람에게도 시키지 말라는 것이다. 공자(孔子:BC 552∼BC 479)의 가르침을 전하는 《논어(論語)》〈위령공편(衛靈公篇)〉에 나오는 다음 구절에서 유래하였다. 중국 춘추시대 위(衛)나라의 유학자 자공(子貢:BC 520?∼BC 456?)이 공자에게 "제가 평생 동안 실천할 수 있는 한 마디의 말이 있습니까" 하고 묻자, 공자는 "..
"너희는 먼저 그의 나라와 그의 의를 구하라" 고 예수가 말하였다. "人生이란 예수의 가르침을 이어받아 하느님을 아는 것이다. 平生을 하느님을 아는일에 삶의 目的을 두어야한다. 사람으로서 사람노릇을 하려면 하느님을 알아야한다. 하느님의 뜻을 알아야한다. 敎育도 사람의 本質이 무엇인지를 가르치는데 그 根本을 두어야 한다. 人生의 本質을 外面한 敎育은 도둑놈의 敎育이다." 예수, 석가, 공자, 노자의 가르침의 核心은 하느님의 아들이 되어 永遠한 生命을 구하라는 것이다. 예수가 말한 그의 나라가 하느님 나라이다. 그의 나라가 얼의 나라이다. 그의 나라가 聖靈이다. 예수의 聖靈, 釋迦의 佛性, 孔子의 德性, 老子의 道性, 多夕의 얼나가 모두가 같은 나라이다. 이 나라가 모두 하느님 나라이다. 20세기에 와서 基..
窮神知化 敎育科程(궁신지화 교육과정) 수강하실 분은 아래를 클릭하세요. 다석 아카데미 - YouTube 다석 아카데미 궁신지화 교육과정을 이수코자 하시는 분들은 다음 순서에 따라 학습하시기 바랍니다. 가능한 학습 순서를 지켜 주십시오. 1,000강 이상을 수강하시면 심사를 거쳐 졸업장을 수여해 드립니다. 1. 동방의 성인 다석 류영모(선택과목) 17강 2. 다석 류영모의 생각과 믿음(필수) 90강 3. 깨달음 공부(필수) 115강 4. 죽음공부(필수) 126강 5. 도마복음(필수) 161강 6. 반야심경(필수) 132강 7. 도덕경(필수) 84강 8. 요한복음(필수) 64강 9. 유교(필수) 145강 10. 금강경(필수) 50강 11. 중용(필수) 81강 12. 예수의 영성(필수) 71강 합계 1,136..
宇宙와 나는 하나이고 最高의 스승은 聖靈이시다. 지금은 깨달음의 時代이며 靈的 覺醒時代이다. 永遠한 生命이 얼이고 참이고 法, 佛, 道, 德이다. 일원다교(一元多敎), 즉 ‘가르침은 여럿이지만 眞理는 하나’이다. 東西洋 모든 宗敎와 哲學에 하나의 眞理가 있다. 하느님이 주시는 하느님의 生命인 얼이 성령(聖靈)이다. 聖靈을 석가는 법(法)이라 하고, 老子는 도(道)라 하고, 예수는 얼(靈)이라고 하고, 孔子는 덕(德)이라 했으며, 中庸에서는 性이라 했다. 聖賢들의 말씀이 하느님 말씀이다. 이 말씀이 곧 眞理이다. 하느님께로 가는 길(道)이 이 말씀 속에 있다. -노자와 다석에서 발췌- 숨터학당 -柏道-
『보병궁(寶甁宮) 복음서』가 말하는 예수의 생애 예수님이 젊었을 때 불경을 공부했다고 합니다. .. 기독교의 진리는 그 근본부터 너무도 많이 왜곡되어 있습니다. 신비로만 돌려 버리는 예수의 『출생』, 예수님의 인간적 삶의 모습과 구도생활의 핵심을 알 수 있는 12세부터 30세까지의 『성장 과정』 그리고 예수의 『기본 사상』까지도 예수의 제자들과 서구신학에 의해 철저하게 오도(誤導)되어 왔습니다. 때문에 예수가 전하고 있는 인간구원에 대한 핵심 명제는 더욱 심하게 왜곡되어 있습니다. 이제 예수가 전한 기독교의 본래 가르침을 함께 알아보기로 하겠습니다. 잘 아시는 바와 같이 기독교의 기본경전은 구약성서와 신약성서입니다. 그리고 이 두 가지 경전외에 기독교 진리의 정수를 전하고 있는 제 3의 경전이 있는데, ..
영원한 생명(永生)을 예수는 얼이라, 참이라 하였다. 석가는 법(法, Dharma)이라, 불(佛)이라고 하였다. 노자는 도(道)라고 하였다. 공자는 덕(德)이라고 하였다. 나지 않고 죽지 않는 이 영원한 생명이 절대 유일의 생명이다. 예수, 석가, 노자, 공자, 다석은 모두 이 영원한 생명을 가르쳐 주고자 하였다. 그들의 방대한 사상의 핵심은 바로 영원한 생명사상(永生)이다. 예수, 석가, 노자, 공자, 다석을 읽으면서 영원한 생명에 대한 자각을 얻지 못하면 잘못 안 것이요. 그릇 배운 것이다. 그들은 영원한 생명을 각기 다른 말로 다른 글로 나타내었지만, 실체는 나지 않고 죽지 않는 영원한 한 생명을 말한 것이다. 기독교와 불교는 다를지 몰라도 예수, 석가의 사상은 같다. 예수,석가의 사상은 다를지 몰..
한얼님 아버지! 당신만이 나의 생명이요 기쁨이요 목적입니다. 이 부족한 종을 굽어 살피소서! 저를 인도하여 주옵소서! 한얼님 지금껏 저를 위해 희생한 모든 동물과 식물 물고기와 나무 산과 들의 수 많은 풀들을 기억하게 하옵소서 그리고 무엇보다 저 때문에 고난당하고 힘들어 하며 역경 속에 빠진 모든 분들을 긍휼히 여기시고 구원하여 주옵소서. 한얼님 !
원불교 배경[편집]강화도조약 이후 개항이 이루어지면서 조선은 각종 새로운 사상과 종교의 활동이 두드러졌다. 불교계 내에서도 불교의 혁신과 근대화에 대한 요구가 있었고, 개신교의 선교 활동, 동학이나 증산교와 같은 신흥 종교의 전파 등으로 새로운 사상과 종교가 우후 죽순처럼 생겨나던 때였다. 원불교의 개조인 박중빈 역시 이러한 시대에 여러 종교를 접하고 새로운 종교를 열게 되었다.[4] 창시[편집] 박중빈 문서도 참고하십시오.원불교의 역사는 1916년 교조(敎祖)인 소태산(少太山) 대종사(大宗師) 박중빈의 대각(大覺)으로부터 시작된다. 그는 개교(開敎)의 동기를 "물질이 개벽(開闢)되니 정신을 개벽하자"로 요약해서 표현했다. 이는 정신 문명의 주체성을 확립해서 물질문명을 올바른 방향으로 활용하여 정신문명과..
무( 無 ) 철학 무(無)는 일반적으로 아무것도 없는 상태를 가리키며, 이는 철학, 물리학 등에서 여러 가지 의미로 받아들여진다. 어떠한 것이 '있다'고 말을 하기 위해서는 인간의 인식 능력을 통한 판단이 필요하다. 여기의 판단이란 분별인데 분별이란 다른 것과 구분하여 가르는 것이다. 유(有)에 대한 판단을 내리려면 유와 구분하여 가를 수 있는 반대 항이 필요하다. 이것이 없음, 무(無)이다. 무(無)는 이렇게 유(有)를 끌어 들여와야 설명이 가능한, 유와는 상대적인 개념이다. 무와 유는 서로 관련 없이 독자적으로 성립할 수 없다. 무(無), 없음은 두 가지 차원에서 살펴볼 수 있다. 하나는 있음, 존재 그 자체와 관련되어 있는 무로서 살피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현상 속의 실재와 관련하여 살피는 것이다...
노자 도덕경 도덕경 18장, 19장 무어 ・ 2018. 7. 26. 1:15 제18장 大道廢, 有仁義. 큰 도가 없어지니 인(仁)이니 의(義)니 하는 것이 생기고, 慧智出, 有大僞. 지혜라는 것이 나타나니 큰 거짓이 있게 되었다. 六親不和, 有孝慈. 가족이 불화하니 치사랑과 내리사랑을 말하게 되었고, 國家..
老子 道德經 노자 도덕경 17장 太上, 下知有之 가장 좋은 지도자는, 있는지도 모르겠는 자이며 其次, 親而譽之 그 다음은 부모 같고 높임 받는 자이고 其次畏之 그 다음은 두려운 자이며 其次侮之 그 다음은 업신여겨지는 자이다. 信不足焉 믿음이 부족하면 *足 : 지나칠 주, 족하다 有不信..
老子 道德經 노자 도덕경 16장 제16장 致虛極 비움의 극에 이르고 守靜篤 고요함을 두텁케 지키라. 萬物竝作 온갖 것 어울려 생겨날 때 吾以觀其復 나는 그 되돌아감을 눈여겨본다. 夫物芸芸 온갖 것 무성하게 뻗어 가나 *夫: 저, 많다 *평지(십자화과 두해살이풀) 各復歸其根 저마다 그 뿌..
老子 道德經 노자 도덕경 15장 古之善爲士者(고지선위사자) 옛날에, 도를 잘 행하는 자는 微妙玄通(미묘현통) 꼼꼼하고 묘하며 그윽하고 열린 사람이라 深不可識(심불가식) 깊이를 알 수 없었다. 夫唯不可識(부유불가식) 그 깊이를 알 수 없으나 故强爲之容(고강위지용) 드러난 모습을 가..
老子 道德經 노자 도덕경 14장 視之不見 名曰夷 보려하여도 보이지 않아 이를 어렴풋하다고 하고 *夷 : 상하다, 멸하다, 평탄하다, 온화 안온하다 聽之不聞 名曰希 들으려 해도 들리지 않아 이를 흐릿하다고 하고 搏之不得 名曰微 잡으려 해도 얻을 수 없어 *搏 : 잡다 이를 희미하다고 한..
老子 道德經 13장 제13장 寵辱若驚 사랑도 미움도 모두 두려워하라. 貴大患若身 큰 어려움을 네 몸같이 귀히 여기라. 何謂寵辱若驚 사랑받거나 욕되나 늘 두려워하라’는 말은 무엇인가. 寵爲上辱爲下 사랑받음은 곧 그것을 잃게 된다(미움)는 뜻이니 得之若驚 그것을 얻어도 두려워하고 ..
老子 道德經 10장 載營魄抱一 영백을 실어 하나로 껴안는 데에 *營 : 두려워하다, 별의 이름 能無離乎 (그것과) 떨어지지 않을 수 있겠는가. 專氣致柔 기를 모아 더없이 부드러움에 이르는 데에 能婴兒乎 갓난아이같이 할 수 있겠는가. 滌除玄覽 현묘함을 본 것마저 씻어내어 能無疵乎 흠..
老子 道德經 9장 持而盈之 不如其已 揣而銳之 不可長保 지이영지 불여기이 췌이예지 불가장보 金玉滿堂 莫之能守 富貴而驕 自遺其咎 금옥만당 막지능수 부귀이교 자유기구 功遂身退 天之道 공수신퇴 천지도 8장의 내용이 좋은 방안을 수립하는 과정에 대해 이야기를 하였다면, 9장에서 ..
다석어록-유교도 계시 다 받아 ▶정성 성(誠)은 말씀(言)이 이루어지(成)다는 글자이다. 말씀이 이루 어지고 예언이 이루어진 것이 그리스도라고 한다. 그리스도를 통해서 하느님에게 도달한 것이 기독교이지만 유교에서는 말씀을 이룬 지행일 치 (知行-致)의 사람을 성인(聖人)이라고 한..
바라문교와 아리안(Ariyan)족 (중요) 성경에 예수님의 잉태와 30세 이후의 기록은 있으나 12세에서 29세까지의 기록이 없는 이유를 이 글에서 밝히 드러내고 있어 많은 신앙인들이 궁금해 하고 있는 것을 풀어주고 있다. 기독교인들에게는 너무 놀라운 내용일 수 있으나 교리에 의해 변질된 진리를 바로 알려 주고 있는 것이다.또한 불교인들 역시 불교의 밑 바탕에는 절대자,곧 우주만물의 주관자이며 창조주이신 하나님(반야:是大神)이 존재함을 인정하지 않으면 안되는 글로서 틀(교리)에 갖힌 생각을 잠시 내려놓고 끝까지 읽어본다면 진리는 하나인것을 이해하게 될 것이다.1. 바라문교와 아리안(Ariyan)족 예수님이 어린 나이(12세)에 인도로 가서 스님들에게 가르침을 받았다는 설(說)은 사실일까? 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