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마스터와 가르침 (1207)
숨터학당(學堂)-진리를 깨달아 자유를....나는 나다.
6. 깨달은 이(크리스찬) 基督者 정중한 기도는 성령을 숨쉼이요 祈禱陪敦元氣息 찬송의 반주는 튼튼한 맥박의 울림 讚美伴奏健脈搏 옳고 극진한 먹거리 감사는 날로 바로 먹기 嘗義極致日正食 하늘 제사를 참 잘 밝힘은 밤에 맡기고 잠 誠克明夜歸託 (1956.12.8) 陪敦(배돈) .정중히 받들음 ..
1.허공과 물질은 하나로 같다. 空色一如 찾아도 하나(전체)를 못 얻는 게 물질이며 物色不得一色物 속 빈 걸 얕보다가 빈탕(허공)까지 업신여겨 空虛蔑以加虛空 있음에 아첨하고 없음을 깔보면 바보이며 諛有侮無後天痴 빈탕은 같으나 물질은 다른 게 본디 땅 재주 同空異色本地工 꽃 모..
영성 유영모의 천지인 명상 사람의 몸은 땅의 흙으로 빚어진 것이고 마음은 하늘을 그리워하며 하늘을 품고 있다. 마음이란 사람 안에서 하늘이 열린 것이다. 하늘이 '텅 빔과 없음'이듯이, 마음은 흙으로 빚은 사람의 몸속에서 열린 빔과 없음의 세계이다. 몸속에 하늘이 열림으로 비로..
孫子兵法의 人生 13 計 1計 : 초윤장산(礎潤張傘) 주춧돌이 있으면 우산을 펄쳐라. 상대의 작은 언행. 주변의 사소한 조짐에서 결과를 예측하라. 2計 : 난득호도(難得糊塗) 때로는 바보처럼 보여 상대의 허를 찾는다. 매도 먹이를 채려고 할 때는 날개를 움츠리며 나직이 난다. 3計 : 화광동..
예수에게 던진 질문 : 바울은 누구입니까? 김태항 (지은이) 하모니 책소개 바울 신학은 기독교 교리의 핵심인 구원론, 원죄론, 예수 신성론의 이론적 배경이 되고 있다. 그래서 만약 바울이 예수의 메시지를 왜곡하였거나 그릇되게 해석하여 자신의 신학을 정립했다면 이것은 기독교의 근..
다석 아카데미 다석 사상을 통한 깨달음(진리) 공부 92 다석 사상으로 찾는 참삶의 길 = 싯다르타의 사색 https://youtu.be/6lYmIqcBgp8
91 다석 사상으로 찾는 참삶의 길 = 싯다르타의 출가 다석 아카데미 https://youtu.be/Yjx76AjLo9A
[홍익학당] 다석 유영모, "하나님이 참나이다!"(171101)_A633 https://youtu.be/n1iA_aOAS1Q 게시일: 2018. 3. 7.- 홍익학당 네이버 카페 http://cafe.naver.com/bohd - 홍익학당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HongikHdpg - 홍익학당 후원안내 http://cafe.naver.com/bohd/45169 - 홍익학당 후원계좌 국민은행 879601-01-245696 (흥여회)..
다석 류영모의 생각과 믿음 = 우주와 나는 하나이다 다석 아카데미 90강 연속 듣기 https://youtu.be/-uFBL2BC2UU?list=PLJVptCIFnmXfYnqjB1f00VQrq-6yohM8C
진정한 열정 | 수행 관계글 해인풍수 2008.10.30 23:21 "내면의 깨달음이 없는 초심자는 가르침으로써 남을 도울 수가 없다. 그들이 축원하는 것은 빈 항아리를 쏟아내는 것과 같아서 아무것도 나오는게 없을 게다. 그들의 충고는 발효되지 않는 맥주와 같아 맛이 없다." "계행(戒行)은 존경할 ..
소크라테스의 변명 중 = 최후진술 소크라테스의 변명 | 수행 관계글 해인풍수 2008.10.29 19:25 내가 사람들에게 바라는 것은 다만 이것뿐이오. 즉, 내 아들들이 성인이 되거든 여러분! 내가 여러분을 괴롭힌 것과 똑같은 일로 그애들을 괴롭혀서 분풀이를 해주시오. 만일 그애들이 자기 자신..
한글 원각경 전문 Posted by 정암 2011.03.25 17:45 불교자료실 불교자료실 .my_adslot { width: 336px; height: 280px; } @media(min-width: 320px) { .my_adslot { width: 320px; height: 100px; } } @media(min-width: 600px) { .my_adslot { width: 250px; height: 250px; } } @media(min-width: 768px) { .my_adslot { width: 300px; height: 250px; } } @media(min-width: 1000px) ..
다석 류영모는 왜 한국의 철학자인가 동서통합의 영성적 철학자 유영모 (1) 이기상 명예교수(한국외대) | 승인 2019.05.12 18:59 “경전에 이르기를 ‘지금의 세상에 살면서 옛적의 도(道)로 돌아가면 재앙이 반드시 그 몸에 미친다’ 했다.”(한용운)(1) 지난 호까지 나는 독일의 가톨릭 종교철..
多夕과 만난 사람들, 씨알로 사는 사람들 이야기 『다석 전기』, 『다석을 이렇게 본다』, 『유영모와 함석헌』을 함께 읽다 이정배(顯藏 아카데미) | 승인 2019.05.14 18:45 본 글은 박재순 박사의 책 『유영모와 함석헌』 출판기념회 자리에서 발표한 것을 근거로 이후 다른 두 책 내용을 덧..
왕양명의 “心卽理”와 함석헌의 “仁愛의 불길”: 사고의 출발점으로서의 존재사건 양명의 良知와 함석헌의 씨알, 생물권정치학(biosphere politics) 시대를 위한 존재사건 (2) 이은선 명예교수(한국 信연구소, 세종대) | 승인 2019.05.18 19:08 잘 알다시피 15세기 후반부터 명나라(1368-1644) 후기의 ..
얼과 말을 되찾는 운동에 앞장 섰다 - 다석 류영모 (5)조선교회의 뿌리를 찾아서(8) 조헌정 소장(그리스도교-주체사상 대화연구소) | 승인 2019.05.25 17:52 다석은 일제강점기를 살며 독립자금을 전달한 적도 있었지만, 총을 들고 직접 싸우기보다는 바른 신앙과 민족의 얼과 말을 되찾는 사상..
존재사건의 정치적 함의: 현실에 저항하는 양명의 ‘격물(格物)’과 함석헌의 ‘義’ 양명의 良知와 함석헌의 씨알, 생물권정치학(biosphere politics) 시대를 위한 존재사건 (3) 이은선 명예교수(한국 信연구소, 세종대) | 승인 2019.05.27 19:40 왕양명의 저항, ‘다른 격물’ 이 세상 안에서 존재..
류영모, 현대 한국 철학의 시작 동서통합의 영성적 철학자 유영모 (3) 이기상 명예교수(한국외대) | 승인 2019.05.26 17:42 얼마 전에 나는 큰 책방에서 철학책들을 훑어보다가 『한국철학의 흐름』이라는 책이 눈에 띄어 반가운 마음으로 집어 들었다. 그러나 흐뭇한 기분도 잠시 차례를 읽어 ..
정점의 큰 통합: 함석헌의 ‘씨알’ 왕양명의 良知와 함석헌의 씨알, 생물권정치학(biosphere politics) 시대를 위한 존재사건 (5) 이은선 명예교수(한국 信연구소, 세종대) | 승인 2019.06.10 19:17 씨알과 큰 배움 앞에서 살펴본 양명의 비전과 이상이 400여년을 지나서 한국의 함석헌에게 아주 친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