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마스터와 가르침 (1207)
숨터학당(學堂)-진리를 깨달아 자유를....나는 나다.
대학장구 ( 大學章句 )-제 1 편 경 문 ( 經 文 ) ♣ 경문은 대학의 총론으로 주희가 본 편을 경문이라 하고 나머지 편을 전문이라 이름지었으며, 공 자의 말씀을 증자가 기술했다고 함 1. 大學之道는 在明明德하며 在親(新)民하며 在止於至善이니라. 대학 지도 재명명덕 재 친 신 민 ..
대학장구서 ( 大學章句序 ) ♣ 주자가 대학을 편찬하면서 대학장구의 서문으로 쓴 글이다. 6장으로 되어 있는 본 글은 삼황오제의 시대부터 교육제도 및 이념을 설명하고, 대학으로서 발 전 과정과 그 동안의 병폐에 대한 것과 본 서문을 쓰게 된 동기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1. 大..
대학(大學)의 요약(要約) ♣ 대학의 근본 사상은 수기치인(修己治人) 자신의 지와 덕을 닦아 그 것을 바탕으로 백성을 다스리는 일 으로 3강령 8조목으로 구성 되어있다. 내용을 풀이함에 있어 주자는 형이상학적인 표현을 많이 쓰며 왕양명은 고본에 충실한 풀이를 하였다. 1. 삼강령(..
논어 맹자 대학 중용
대 학 해 설 ( 大 學 解 說 ) 1. 대학의 저자 : 본래 대학은 중용과 함께 예기에 수록되어 있던 것을 사마광 (司馬光 1019 - 1086)이 처음으로 예기에서 분리하여 대학, 중용으로 별도 취급하였다. 정호, 정이(程顥, 程頤 : 송 시대의 형제)가 많은 연구를 하여 연토(硏討)를 하였고, 이것..
論語 제 20 편 요 왈 (堯 曰) ♣ 이 편은 3절로 구성되었으며 논어 20편 중에서 체제가 가장 다르게 꾸며졌다. 요, 순, 우, 무왕 등의 정치적 성격과 일반 위정자를 위한 훈계가 많이 있다. 1. --- 擧逸民하신대 天下之民이 歸心焉하니라. --- 거 일민 천하지 민 귀심 언 (주나라 무왕이) (세상..
論語-제 19 편 자 장 (子 張) ♣ 이 편에는 공자의 제자들인 자하, 자공, 증자 등의 말을 간추려 놓았음 6. 子夏曰 博學而篤志하며 切問而近思하면 仁在其中矣니라. 자하 왈 박학이 독지 절 문이근사 인 재기중의 자하가 말하길 널리 배우되 뜻을 독실하게 가지고, 간절히 묻고 가까운 ..
論語-제 18편 미 자 (微 子) ♣ 고대 은, 주나라의 현인(미자, 기자, 비간, 백이 숙제 등)들에 대한 공자님의 생각과 사상을 당시의 사회상에 중점을 두어 기술하였다. 5. 楚狂接與 --- 往者는 不可諫이어니와 來者는 猶可追니 --- 초 광접여 왕 자 불 가간 내 자 유 가 추 초나라 (거짓으로)미친..
論語-제 17 편 양 화 ( 陽 貨 ) ♣ 세상의 어지러움과 위정자와 제자들에게 경고를 많이 하고 있다. 2. 子曰 性相近也나 習相遠也니라. 성 상근야 습상 원야 사람의 천성은 서로 비슷하나 습관에 의해 서로 멀어진다. 3. 子曰 唯上知與下愚는 不移니라. 유 상지여하우 불 이 가장 지혜로운 ..
論語-제 16 편 계 씨 ( 季 氏 ) ♣ 이 편은 긴 문장이 많으며, 말한 사람의 이름이 없으며 특히 자왈을 공자왈로 적어 놓았다. 논어의 노론(魯論) 제론(齊論) 고론(古論)의 삼론중 제론으로 본다. 1. --- 不患寡而患不均하며 不患貧而患不安이라 불환과 이환 불균 불 환빈이환 불안 (공..
論語-제 15 편 衛 靈 公 ( 위 영 공 ) ♣ 문구가 짧은 것이 특색이며 수신과 처세에 관한 구절이 많다. 1. --- 子曰 君子는 固窮이니 小人은 窮斯濫矣니라. 군 자 고 궁 소 인 궁사 람의 군자는 곤궁을 잘 견딜 수 있지만 소인은 곤궁해지면 마구 행동을 한다. 7. 子曰 可與言而不與之言..
論語-제 14 편 헌 문 ( 憲 問 ) ♣ 이 편은 여러 나라의 사대부의 말을 기록하였으며 원헌(原憲)이 직접 기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3. 子曰 士而懷居면 不足以爲士矣니라. 사 이회 거 부 족이위 사의 선비가 편안하게 살기만 생각한다면 선비라고 하기에 부족하다. 5. 子曰 有德者는 ..
論 語-제 13 편 자 로 ( 子 路 ) ♣ 앞쪽은 정치에 대한 기록이 많으며 뒤쪽은 성인 군자에 대한 문답으로 이루어짐. 3. --- 子曰 必也正名乎인저. --- 君子 於其所不知에 蓋闕如也니라. --- 필 야 정명호 군 자 어기소 부지 개 궐여 야 반드시 명분을 바로잡겠다. --- 군자는 그 알지 못하는 일..
論 語-제 12 편 안 연 ( 顔 淵 ) ♣ 안연편은 공자와 제자, 제후들과의 대화를 기록한 것으로 주로 정치 쪽으로 많이 기록이 되었으며 바름(正)과 솔선을 이상형으로 삼았다. 1. 顔淵이 問仁하대 子曰 克己復禮 爲仁이니 一日克其復禮면 天下 歸仁焉하나니 안 연 문 인 자 왈 극기복례..
論 語-제 11 편 선 진 ( 先 進 ) ♣ 문인들과 그외의 인물들에 대한 평이 많고 논어 전권을 선진을 기준으로 상, 하로 나누는 경계로 삼았다. 7. --- 子曰 才不才에 亦各言其子也니 --- 재부 재 역각 언기자 야 잘났건 못났건 역시 제자식을 생각한다. ☞ 안연이 죽었을 때 그의 ..
論 語-제 10 편 향 당 ( 鄕 黨 ) ♣ 향당은 공자님의 용모, 음성, 의식주 등과 같은 일상생활과 공자님의 생활태도를 기록한 편이다. 4. --- 入不中門하시며 行不履閾이러시다. --- 입 부중문 행 불리역 설 때에는 문의 중앙을 피하셨고 들어갈 적에는 문지방을 밟지 않으셨다. 9. 席不正..
論 語-제 9 편 자 한 ( 子 罕 ) ♣ 공자의 언행에 대한 기록과 공자의 출처진퇴(出處進退)에 대한 기록이 많음. 4. 子 絶四러시니 毋意毋必毋固毋我러시다. 자 절 사 무 의무필무고 무아 공자께서 네 가지를 근절 하셨으니 자의대로 하는 일이 없었고, 집착하지 아니하고, 고집을 안 부..
論 語-제 8 편 태 백 ( 泰 伯 ) ♣ 고대의 성왕들과 현인들의 이야기를 주로 다루었다. 2. --- 君子 篤於親則民興於仁하고 故舊를 不遺則民不偸니라. 군 자 독 어친즉민흥어 인 고 구 불 유즉민불 투 군자가 친족에게 후하게 하면 백성들 사이에 어진 마음이 일어나게 하며, 옛친구를 버리지 ..
論 語-제 7 편 술 이 ( 述 而 ) ♣ 공자 자신의 일과 공자의 용모, 태도, 행동에 대한 것들이 기록되어 논어 전편 중 가장 뛰어난 구절들이 많이 있다. 6. 子曰 志於道 하며 據於德하며 依於仁하며 游於藝니라. 지 어도 거 어덕 의 어인 유 어예 군자의 이상적인 생활이란 도에다 뜻을 두고 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