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터학당(學堂)-진리를 깨달아 자유를....나는 나다.
論 語-제 14 편 헌 문 ( 憲 問 ) 본문
論語-제 14 편 헌 문 ( 憲 問 )
) -->
♣ 이 편은 여러 나라의 사대부의 말을 기록하였으며 원헌(原憲)이 직접 기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3. 子曰 士而懷居면 不足以爲士矣니라.
사 이회 거 부 족이위 사의
선비가 편안하게 살기만 생각한다면 선비라고 하기에 부족하다.
) -->
) -->5. 子曰 有德者는 必有言이어니와 有言者는 不必有德이니라.
유 덕자 필유 언 유 언자 불필유 덕
仁者는 必有勇이어니와 勇者는 不必有仁이니라.
인자 필 유용 용 자 불 필유인
덕이 있는 사람은 반드시 들을만한 말을 하지만, 말이 들을만 하다고 다 덕이 있는 사람이 아니다.
인자한 사람은 반드시 용기가 있지만, 용기가 있다고 다 인자한 사람은 아니다.
11. 子曰 貧而無怨은 難하고 富而無驕는 易하니라.
빈 이무원 난 부 이무교 이
가난하면서 원망하지 않기는 어렵고 부유하면서 교만하지 않기는 쉬우니라.
13. --- 見利思義하며 見危授命하며 ---
견 리사의 견위수 명
(자로가 성인에 대하여 묻자) 이익이 있으면 의로움인가 생각을 하며 위태로움을 보면 목숨을 내놓는다
24. 子曰 君子는 上達하고 小人은 下達이니라.
군 자 상 달 소 인 하 달
군자는 날마다 위로 향하여 나아가며 소인은 날마다 아래를 향하여 나아간다.
36. --- 子曰 何以報德꼬. 以直報怨이오 以德報德이니라
하 이보덕 이직보 원 이덕보 덕
(어떤 사람이 은덕으로써 원한을 갚으면 어떠하냐고 묻자) 그러면 은덕에 대해서는 무엇으로 갚겠소
원한은 올바름으로 갚고 은덕은 은덕으로 갚아야 한다.
37. --- 子曰 不怨天하며 不尤人이오 ---
불 원천 불우 인
하늘을 원망하지 않고 사람을 탓하지 않는다.
☞ 공자 스스로 한탄하여 한말로 자기를 알아주는 군주가 없어 자기의 뜻을 펴지 못하지만
자기의 뜻은 하늘만이 알고 있어 남을 탓하지 않는다는 말임.
[출처] 論語-제 14 편 헌 문 ( 憲 問 )|작성자 trman
'마스터와 가르침 > 공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論 語-제 16 편 계 씨 ( 季 氏 ) (0) | 2019.07.18 |
---|---|
論 語-제 15 편 衛 靈 公 ( 위 영 공 ) (0) | 2019.07.18 |
論 語-제 13 편 자 로 ( 子 路 ) (0) | 2019.07.18 |
論 語-제 12 편 안 연 ( 顔 淵 ) (0) | 2019.07.18 |
論 語-제 11 편 선 진 ( 先 進 ) (0) | 2019.0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