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터학당(學堂)-진리를 깨달아 자유를....나는 나다.
論 語 解 說(논어해설) 본문
論 語 解 說(논어해설)
) -->
1. 論語의 저자 및 성격 :
유교의 근본사상이된 論語는 孔子의 언행과 사상, 孔子와 제자 및 여러 인사와의 문답, 제자들간의 대화를 제자들(주로 증자 및 자사)이
기록하여 두었다가 孔子가 죽은 후 한나라 시대 孔子의 제자들에 의하여 책으로 만들어졌다는 설이 유력함.
고본으로는 魯論語, 齊論語, 古論語의 세 종류가 있어 일부가 여러 사람에 의해 전해 오다가 단편들을 모아 漢나라 시대 어느 정도의 원본이 만들어지면서 論語로서의 구실을 하게 되었으며 현재 많이 사용하고 있는 論語는 송나라 시대 주희에 의해 만들어진 “論語集註” 이다.
) -->
2. 孔子의 생애(BC 552 - BC 479 향년 73세) :
孔子의 이름은 구(丘: 짱구) 이며, 자는 중니, 춘추시대인 노나라 양공22년에 창평향의 추읍에서 태어났다.
일설에 의하면 000으로 전해져 오며, 孔子의 아들은 이(鯉)며 이의 아들이 論語의 저자로 알려진 孔子의 손자인 자사(子思)이다.
삼사십대에 들어 여러 나라를 전전하며 벼슬도 살면서 학문과 인격의 완숙한 경지를 이루었으며 오십대에는 노나라에서 대사구(법무장관)를 지냈으며 육십대에는 주유천하(周遊天下)하면서 도덕 정치를 추구하였지만 그 당시의 현실에서는 받아들여지지 아니하여 정치를 단념하고 고향으로 돌아와 제자들과 함께 시(詩) 서(書) 예(禮) 악(樂) 역(易) 춘추(春秋) 등 6경을 정리 저작하여 후세의 사람들에게 불후의
명작을 남겨 주었다.
) -->
3. 孔子의 사상 :
孔子는 인(仁) 애(愛)를 근본 사상으로,
서(恕:남을 용서함)와 충(忠)을 첫째로 중요시하라고 가르쳤으며,
“서”는 ‘자기를 미루어 남을 아는 것’이며
“충”은 ‘자기를 다하는 것’ 이라고 주희는 풀이하였음.
정치에서는 덕으로 백성을 다스리며 정(正)을 기본으로 모범을 보이라고 함.
(실지 노나라에서 대사구를 할 때 孔子 때문에 외침을 받지 않았으며 물건이 길에 떨어져 있어도 주어 가는 사람이 없었다고 함)
) -->
▣ 일러두기
) -->
※ 논어는 총20편으로 구성이 되어 있으며 주로 맨처음의 2자 또는 3자를 편명으로 삼았으며 그 편명으로 내용을 알기는 힘이 든다.
※ 보기 : “子曰”은 공자님 말씀을 나타내며,
“---글자--- 글자---” 와 같이 중간에 글자가 있는 것은 긴 문장 에서 그 구절만 추려 놓은 것이며, 연속된 구절에는 “---” 이 빠져 있음.
[출처] 論 語 解 說(논어해설)|작성자 trman
'마스터와 가르침 > 공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論 語-제 2 편 위 정( 爲 政 ) (0) | 2019.07.18 |
---|---|
論 語-제 1 편 학 이( 學 而 ) (0) | 2019.07.18 |
25. 勸 學 篇 (권 학 편) (0) | 2019.07.18 |
24. 廉 義 篇 (염 의 편) (0) | 2019.07.18 |
23. 孝行篇 續篇 (효행편 속편) (0) | 2019.0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