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터학당(學堂)-진리를 깨달아 자유를....나는 나다.
論 語-제 15 편 衛 靈 公 ( 위 영 공 ) 본문
論語-제 15 편 衛 靈 公 ( 위 영 공 )
) -->
♣ 문구가 짧은 것이 특색이며 수신과 처세에 관한 구절이 많다.
1. --- 子曰 君子는 固窮이니 小人은 窮斯濫矣니라.
군 자 고 궁 소 인 궁사 람의
군자는 곤궁을 잘 견딜 수 있지만 소인은 곤궁해지면 마구 행동을 한다.
7. 子曰 可與言而不與之言이면 失人이오 不可與言而與之言이면 失言이니
가 여언이 불여 지언 실 인 불 가 여언이여 지언 실 언
知者는 不失人이며 亦不失言이니라.
지자 불 실인 역 불실언
더불어 말할 만한 사람인데 그와 말을 하지 않으면 사람을 잃고, 더불어 말 할만 사람이 안되는 데도
말을 하면 말을 잃고 지혜로운 사람은 사람도 잃지 않고 또한 말도 잃지 않는다.
8. 子曰 志士仁人은 無求生以害仁이오 有殺身以成仁이니라.
지사 인 인 무 구생이해 인 유 살 신이성 인
뜻이 있는 선비와 어진 사람은 삶을 위하여 인을 해치지 않으며 자신을 죽여 인을 이룩하는 일은 있다.
(이 구절에서 살신성인이 나옴)
11. 子曰 人無遠慮면 必有近憂니라.
인무원 려 필 유근우
사람이 먼 앞날을 걱정하지 않으면 반드시 가까운 시일에 근심이 생긴다.
14. 子曰 躬自厚而薄責於人이면 則遠怨矣니라.
궁 자후이 박책어 인 즉 원원 의
자신을 꾸짖기는 엄하게 하고 남을 책망하길 가볍게 하면 남의 원망하는 소리를 멀리할 수 있다
20. 子曰 君子는 求諸己오 小人은 求諸人이니라.
군 자 구 저기 소 인 구 저 인
군자는 모든 책임의 소재를 자신에서 구하나 소인은 남에게서 구한다.
23. 子貢이 問曰 有一言而可以終身行之者乎이까
자 공 문 왈 유 일언이가이종 신행지자 호
子曰 其恕乎인저 己所不欲을 勿施於人이니라.
기 서호 기소 불욕 물시어 인
자공이 한마디의 말로 평생토록 행할 만한 것이 있습니까 묻자
그것은 오직 서(용서) 이니라. 내가 하기 싫은 일을 남에게 시키지 말 것이니라.
27. 子曰 衆惡之라도 必察焉하며 衆好之라도 必察焉이니라.
중오 지 필찰 언 중호 지 필 찰언
여러 사람이 미워하여도 반드시 살펴보아야 하며 여러 사람이 좋아해도 반드시 살펴보아야 한다.
28. 子曰 人能弘道오 非道弘人이니라.
인능홍도 비도 홍인
사람이 도를 넓히는 것이지 도가 사람을 넓히는 것이 아니다.
29. 子曰 不而不改 是謂過矣니라.
불이불 개 시위과 의
잘못을 저지르고도 고치지 않는것을 일러 잘못이라 한다.
36.. 子曰 君子는 貞而不諒이니라.
군 자 정 이불량
군자는 굳고 바르나 소신을 맹목적으로 고집하지 않는다.
[출처] 論語-제 15 편 衛 靈 公 ( 위 영 공 )|작성자 trman
'마스터와 가르침 > 공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論 語-제 17 편 양 화 ( 陽 貨 ) (0) | 2019.07.18 |
---|---|
論 語-제 16 편 계 씨 ( 季 氏 ) (0) | 2019.07.18 |
論 語-제 14 편 헌 문 ( 憲 問 ) (0) | 2019.07.18 |
論 語-제 13 편 자 로 ( 子 路 ) (0) | 2019.07.18 |
論 語-제 12 편 안 연 ( 顔 淵 ) (0) | 2019.0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