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숨터학당(學堂)-진리를 깨달아 자유를....나는 나다.

論 語-제 6 편 옹 야 (雍 也) 본문

마스터와 가르침/공자

論 語-제 6 편 옹 야 (雍 也)

柏道 2019. 7. 18. 13:09



論 語-6 편 옹 야 (雍 也)

) -->  

 

이 편의 앞쪽은 인물평이 많고 뒤쪽은 인()과 지()에 대한 이론이 많이 있다.


2. --- 孔子 對曰有顔回者好學하야 不遷怒하며 不貳過하더니 ---

       공자  대왈유안 회자호 학       불 천노        불 이과

안회(공자가 제일 사랑한 제자로 41살에 죽음)는 학문을 너무 좋아하여 노여움이 나도 아무데나 대고

화풀이를 하지 않을 만큼 (학문을) 좋아했으며 또한 잘못한 일은 두 번 다시 되풀이하지 않을 만큼 (학문을) 좋아하였다.


17. 子曰 人之生也 直하니 罔之生也幸而免이니라.

            인 지생야  직       망 지생 야    행 이면

인간의 삶은 원래 정직한 것이다, 정직하지 않으면서도 살 수 있는 것은 요행히 화를 면하고 있는 것이다.

) -->

18. 子曰 知之者不如好之者好之者不如樂之者니라.

            지 지자     불여호지 자    호 지자     불여락 지자

알기만 하는 사람은 좋아하는 사람만 못하고 좋아 사는 사람은 즐기는 사람만 못하다.


20. --- 仁者 先難而後獲이면 可謂仁矣니라.

        인자  선 난이후 획      가 위 인의

어진 사람은 어려움은 남보다 먼저 하고, 보답은 남보다 뒤에 얻으면 참으로 어질다 할 수 있다.


21. 子曰 知者樂水하고 仁者樂山이니

            지 자    요 수        인 자   요 산

知者하고 仁者하며 知者하고 仁者니라.

지자     동        인 자    정       지 자     낙        인 자    수

지혜로운 사람은 물을 좋아하며 어진 사람은 산을 좋아하니,

지자는 동적이며 인자는 정적이며, 지자는 즐겁게 살며 인자는 장수한다.

요산 요수 (樂山 樂水)는 이 귀절에서 따옴

28. --- 夫仁者己欲立而立人하며 己欲達而達人이니라. ---

        부 인자    기욕 립이 립인       기욕 달 이달 인

인자란 자신이 나서고 싶을 때 남을 내세우며, 자기의 목적을 달성하고 싶으면 남을 먼저 달성하게 한 후 자기가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