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숨터학당(學堂)-진리를 깨달아 자유를....나는 나다.

맹자(孟子)-제 5 편 만장 장구 하 ( 萬章 章句 下 ) 본문

마스터와 가르침/공자

맹자(孟子)-제 5 편 만장 장구 하 ( 萬章 章句 下 )

柏道 2019. 7. 22. 19:38


맹자(孟子)-제 5 편 만장 장구 하 ( 萬章 章句 下 )                                  

             

                                                    

맹자(孟子)



제 5 편 만장 장구 하 ( 萬章 章句 下 )


1. --- 聞伯夷之風者는 頑夫 廉하며 懦夫 有立之 하니라

    ---문백이지풍자    완부  염      나부  유립지

백이의 인품을 들은 사람들은 탐욕스러운 사내도 청렴해지고 나약한 사내도 뜻을 세우게 된다.

--- 爾爲爾오 我爲我니라

 ---이위이    아위아

너는 너고 나는 나다

(군자인 유하혜가 어떤 사람이 자기 곁에서 알몸으로 뒹구는 비례를 하드라도

네가 나의 청백함을 더럽힐 수 없다는 뜻으로 한말임)

2. --- 天子 一位오 公이 一位오 侯가 一位오 伯이 一位오

         천자 일위    공    일 위   후    일 위   백    일 위
子男이 同一位오니 凡五等也라 자

자남    동일위       범오등야

천자가 한 계급이오 공이 한 계급이오 후가 한 계급이오 백이 한 계급이오

자와 남이 다같이 한계급 이렇게 모두 다섯 등급이다.

君이 一位오 卿이 一位오 大夫가 一位오 上士가 一位오

군   일 위    경    일 위   대 부   일 위   상 사  일 위
中士가 一位오 下士가 一位니 凡六等이라 --

중사   일 위   하 사   일 위    범육등

제후국에서는 임금이 한 계급이오, 경이 한 계급이오, 대부가 한 계급이오,

상사가 한 계급이오, 중사가 한 계급이오 하사가 한 계급이오, 모두 여섯 등급이다.

☞ 주나라 시대의 관직을 맹자가 풀이하여 놓은 것임 본 구절은 명언은 아니지만

옛날 주나라의 관직을 참조 하기 위해 적은것임.

3. -- 不狹長하며 不挾貴하며 不挾兄弟而友니 友也者는 友其德也니 不可以有挾也니라

   ---불협장       불협귀       불협형제이우    우야자    우기덕야    불 가이유협야

나이 많음을 내세우지 말고, 지위가 높은 것을 자랑하지 말며 형제의 힘을 뽐내지 말며 벗을 사귀어야 한다.

벗을 사귐은 그 사람의 덕을 벗삼는 것이므로 뽐내어서는 안된다

5. 仕 非爲貧也而有時乎爲貧하니라 --

   사 비위빈야 이유시호위빈

벼슬이란 가난을 면하기 위해서 하는 것은 아니지만 때로는 가난을 면하기 위해서 하는수도 있다.

☞ 선비가 가난때문에 벼슬할때는 높은 자리를 탐내지 말고 적은 보수에도 만족해야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