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마스터와 가르침 (1208)
숨터학당(學堂)-진리를 깨달아 자유를....나는 나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dniaz2/btqYW2TMFMC/8xo8I3ySkfNDLLfDKw0Cdk/img.jpg)
윤정현 신부의 논문 중 "하느님 이해"(17) 박사논문 2015. 8. 25. 성공회 수동교회 윤정현 신부의 논문 중 "하느님 이해"(17) 여기에서 다음과 같은 유영모의 태극(太極) 개념을 상대개념과 절대개념의 관점에서 해석하고자 한다. 다석 유영모는 절대개념에서는 궁극적인 존재가 무극(無極)이고, 상대개념에서는 태극(太極)이라고 말한다. 다석 유영모는 인간의 인식(認識) 능력이 미치지 못하는 한계점으로서 극(極)을 이해하였다. 그러므로 유영모는 극한점(極限點)을 넘어설 때는 무극(無極)이라고 하였고, 극한점(極限點) 밑에서는 태극(太極)이라고 말한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는 현상계와 초현상계의 개념에서 유영모는 초현상계의 실체를 무극(無極)으로, 현상계의 실체를 태극(太極)으로 간주하였다. 태극(太極)..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JekFG/btqY8GomNzv/ALyIbVKCwKFWUIwOcUXDIk/img.jpg)
윤정현 신부의 논문 중 "하느님 이해"(16) 박사논문 2015. 8. 25. 다석사상, 없이 계시는 하느님, 유영모, 윤정현, 주희, 태극도설 성공회 수동교회 윤정현 신부의 논문 중 "하느님 이해"(16) 그러나 니담(Joshep Needham)은 주희의 이기론(理氣論)과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상 개념과 비교하는 것을 반대한다. ‘형상’은 유기체가 하나가 되도록 하고 목적이 되게하는 개체 요소라는 점에서는 리(理)이다. 그러나 몸(body)의 형상이 영혼일 때는 중국 철학전통에서는 영혼이라는 문제를 다루지 않기 때문에 비교할 수 없다고 한다.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의 형상이란 사물의 본질과 연관되어 있으나 기(氣)는 리(理)에 의해 존재가 되는 것은 아니다. 장(Chang)은 단지 리(理)는 논리적으로 기(氣..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1IMEr/btqYTOuOwMb/1WP8Wz2RkBKeuwVn5FKb4K/img.jpg)
윤정현 신부의 논문 중 "하느님 이해"(15) 박사논문 2015. 8. 25. 다석사상, 없이 계시는 하느님, 유영모, 윤정현, 이기이원론, 이기일원론, 주돈이, 주의, 퇴계 성공회 수동교회 윤정현 신부의 논문 중 "하느님 이해"(15) 2.3.3. 주희(朱熹)의 태극 해석 주희(朱熹) 는 대우주(大宇宙)와 소우주(小宇宙)와의 관계, 인간과 우주의 상호관계를 태극(太極)으로 설명한다. 태극(太極)의 개념은 우주(宇宙)의 상징적인 표현이다. 주렴계의 이론이 유학의 기본 학설을 재확인한 것이라고 한다면, 주희는 수세기를 걸처 발전된 유학을 집대성한 것이다. 특히, 송대 (宋代)의 학문 전체를 새로 정리하고 종합한 것이다. 주렴계에 의해 고안된 태극의 개념을 그의 학문체계에 적용하고, 정호(程顥) 의 원리 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DaFE9/btqY7uO3Z52/YHseE6KY2ldkLVBsmK3Y80/img.jpg)
윤정현 신부의 논문 중 "하느님 이해"(14) 박사논문 2015. 8. 25. 다석사상, 양의, 없이 계시는 하느님, 유영모, 윤정현, 장재, 장횡거, 태극도설 성공회 수동교회 윤정현 신부의 논문 중 "하느님 이해"(14) 2.3.2. 장횡거(張橫渠)의 태극의 개념 1077년 어느 날, 장횡거(張橫渠) 는 이상한 꿈을 꾸고 제자들에게 글을 써보냈는데, 후에 그 글들을 모아 장횡거는 죽기 일년전에 「정몽(正蒙)」이라고 불리는 책을 편집하였다.「정몽(正蒙)」은 장횡거의 평생 철학적 사고의 진수를 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장횡거는 두 권의 중요한 책을 썼다. 한권은「경학리굴」(經學理窟)이고 다른 한 권은「역설」(易說)이다. 이 두권의 책은 역경(易經)의 영향을 많이 받은 책이다. 특히, 다석 유영모는「..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snTWC/btqY5MijuyW/lA0zPp3mEl2RyH787jP9EK/img.jpg)
윤정현 신부의 논문 중 "하느님 이해"(13) 박사논문 2015. 8. 25. 다석사상, 없이 계시는 하느님, 유영모, 윤정현, 음양, 장재, 장횡거, 태극, 태극도설 동양에 살면서 공자 맹자 태극이야기 성리학등에 대해 많이 들어보았는데 정작 그 개념을 모릅니다. 그래서 외국 학자들과 대화를 해 보면 오히려 그들이 우리보다 더 동양철학과 신학에 대해 많이 안다고 합니다. 한국인이니 천부경 이야기를 해 달라고 하는 외국 학자도 있습니다. 아래 내용들에 대해 조만간 윤정현 신부님의 설명 직강을 촬영해 올리겠습니다. 헷갈리는 개념을 간단 명료하게 이해하는 기회가 되실 겁니다. 성공회 수동교회 윤정현 신부의 논문 중 "하느님 이해"(13) 2.3. 태극(太極)으로서 하느님 2.3.1. 주렴계의 태극도설(太極圖說..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wlxMn/btqY12r3dFD/WHnstNqTRyOTSqq8Lbm2SK/img.jpg)
윤정현 신부의 논문 중 "하느님 이해"(12) 박사논문 2015. 8. 25. 다석사상, 맹자, 없이 계시는 하느님, 유영모, 윤정현, 중용 성공회 수동교회 윤정현 신부의 논문 중 "하느님 이해"(12) 그러나 「맹자(孟子)」에 나오는 하늘의 뜻은 좀 다르게 변화된 개념이다. 맹자(孟子, 372~289 B.C.)에 의하면 하늘은 사람의 마음에 존재한다. 수신(修身)하여 자신의 마음과 본성을 깨우친 사람이나 앞에서 언급한 격물치지(格物致知)를 통하여 완전한 지(知)를 얻은 사람만이 천도(天道)를 안다. 천명(天命)의 내재적이고 자연적인 해석은 천명(天命)이 인간의 도(道)와 같은 천도(天道)로 이해될 때 가능하다. 유학자들은 인간사회의 천도(天道)란 하늘의 의지로 본래 천성(天性)적으로 타고난 도덕적인 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h9uxt/btqYJ0oR8d0/HISxBxLMz7GiUzJkscRBr1/img.jpg)
윤정현 신부의 논문 중 "하느님 이해"(11) 박사논문 2015. 8. 25. 공자, 다석사상, 상제, 없이 계시는 하느님, 유영모, 윤정현, 인, 천명 성공회 수동교회 윤정현 신부의 논문 중 "하느님 이해"(11) 일반적으로 중국문화의 영향을 받아 온 한국이나 중국의 종교사상의 발달과정은 세계 다른 나라의 종교사상 발달과정과 비슷하다. 처음에는 다신적(多神的)인 개념에서 초월적인 단일신(單一神)으로 그리고 나중에는 내재하는 일원론(一元論)으로 발전해 왔다. 여기에서 제(帝)와 천(天)의 개념은 인간의 생사를 주관하고 모든 사물을 존재케하면서도 인간과 사물을 초월해 계시는 단일신을 의미한다. 그러나 단일신론적인 관점에서도 고대 중국종교에 나타난 신앙유형은 두 가지로 정의할 수 있다. 하나는 인격적인 신(..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Lfvka/btqY8H8EDkg/EaRyh0i1ZftuKLmtFEMD7K/img.jpg)
윤정현 신부의 논문 중 "하느님 이해"(10) 박사논문 2015. 8. 25. 다석사상, 성리학, 없이 계시는 하느님, 유영모, 윤정현, 태극 성공회 수동교회 윤정현 신부의 논문 중 "하느님 이해"(10) II. 태극(太極) 으로서 하느님 2.1. 머리말 본 장에서는 성리학(性理學)의 관점에서 태극(太極)으로서 하느님의 개념을 알아본다. 인격적이면서 비인격적일 뿐만 아니라 초월적이고 내재적인 궁극적 존재를 살펴 보고자 한다. 이미 언급했듯이 시간과 공간 안에서 인식의 한계를 느끼며, 유한한 존재로 살아 가고 있는 인간이 궁극적 존재의 속성과 본질(本質)을 이해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도덕경(道德經)이 말하는 것처럼, “아는 사람은 말하지 않고 말하는 자는 알지 못한다.” 하느님의 속성은 언어로 표현할 수..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LpK8h/btqY901bIzI/QYx87kRjM3dNREncOAYfJK/img.jpg)
윤정현 신부의 "다석의 하느님"(9) 박사논문 2015. 8. 25. 다석사상, 다석연보, 없이 계시는 하느님, 유영모, 윤정현 성공회 청주 수동성당 윤정현 신부의 "다석의 하느님"(9) 다석 유영모(1890-1981) 다석(多夕) 유영모는 1890년에 태어나 어려서부터 천자문과 사서오경(四書五經)을 배우고, 1905년 기독교청년회관(YMCA)에서 행한 개화기의 명사들의 강연을 들으러 다니다가 초대 YMCA 총무 김정식(金貞植)의 인도로 연동교회에 나갔다. 그리스도교에 입교한 후 경신학교를 다니며 서양의 신학문을 배웠다. 1910년부터 1912년까지 오산학교 교사로 활동하면서 이승훈을 도와 오산학교를 그리스도교 학교로 만들었다. 1912년 일본의 도쿄(東京) 물리학교에 입학하였다가 귀국하였으며, 1921..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99ngg/btqY8HAO6vc/XD0VNFOrhiAJcD16vJTeXK/img.jpg)
윤정현 신부의 "다석의 하느님"(8) 박사논문 2015. 8. 25. 네티 네티, 다석사상, 없이 계시는 하느님, 유영모, 윤정현, 이것도 아니고 저것도 아닌, 이것이면서 저것도 성공회 청주 수동성당 윤정현 신부의 "다석의 하느님"(8) ‘이것도 저것도 아닌’(neither this nor that) 역경(易經)에서 궁극적 존재로서 역(易)은 초월적이면서 동시에 내재적이다. 역의 초월성은 내재성을 가능케 하고, 역의 내재성은 초월성을 가능케 한다. 또한 역(易)은 인격적이고 비인격적인 실재로 이루어졌다. 궁극적인 존재는 지성의 논리로 설명될 수 없기 때문에 에크하르트(Meister Eckhart)는 그것을 ‘부정의 부정’이라고 부르고, 베단타에서는 그것을 어떠한 묘사를 넘어서 있는 ‘네티 네티’(neti..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HDwUW/btqY13xEouC/QwqK8Y7WKRykVHpXFCk7ak/img.jpg)
윤정현 신부의 "다석의 하느님"(7) 박사논문 2015. 8. 25. 다석사상, 없이 계시는 하느님, 유영모, 윤정현, 이것도 저것도, 이것이냐 저것이냐 성공회 청주 수동성당 윤정현 신부의 "다석의 하느님"(7) ‘이것이면서 저것도’ (Both this and that) ‘이것이냐 저것이냐’의 논리는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에서 기인된 정적(靜的)인 세계관에서 온 이원론(二元論)에 근거하고 있는 반면에 ‘이것이면서 저것도’ 사고는 역경(易經)의 유기체적 세계관(世界觀)에 근거하고 있다. 역경(易經)은 상호보완과 상호의존의 사상을 내포하고 있다. 이 사상은 ‘모든 것은 하나 안에 있는 동시에 모든 것 안에 하나가 있다’는 생각과 관계가 있다. 동서양의 문화가 만나는 시점에 살았던 유영모의 사상 근거가 된 동양사..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AwspW/btqY87eZq9u/MdS2JgnijDxLeycMwoOVtK/img.jpg)
윤정현 신부의 "다석의 하느님"(6) 박사논문 2015. 8. 25. 긍정신학, 다석사상, 부정신학, 없이 계시는 하느님, 유영모, 윤정현, 토마스 머튼 성공회 청주 수동성당 윤정현 신부의 "다석의 하느님"(6) 의식과 사건이 객관적으로 서로 직면하지 않는 즉, 무의식과 작용하고 있는 의식이 일치되는 곳, 주관과 객관이 구분이 되지 않거나 분리되지도 않은 상태에서 주객의 일치가 다석 유영모의 사고의 궁극점이다. 유영모는 그의 전 삶을 통하여 실체와 일치, 즉 ‘하나에로 귀일 (歸一)’ 하려고 했다. 유영모의 사상에서 ‘하나’는 궁극적 실재로서 하느님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유기체적인 사고에서는 유(有)로부터 분리되는 무(無)는 순수한 무(無)가 아니다. 모든 것에서 분리된 ‘하나’는 순수한 ‘하나’가 아니..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P4DEP/btqY7ohctLD/qoEg34Csk2gtnP8RPxP8W0/img.jpg)
윤정현 신부의 "다석의 하느님"(5) 박사논문 2015. 8. 25. 다석사상, 삼위일체, 상호보완, 없이 계시는 하느님, 유영모, 윤정현, 음양원리 성공회 청주 수동성당 윤정현 신부의 "다석의 하느님"(5) ‘이것이냐 저것이냐’(Either this or that) 아리스토텔레스 논리학(論理學)에 근거하고 있는 서구의 사고는 절대적으로 이원론(二元論)적인 사고, 즉 ‘이것이냐 저것이냐’는 논리를 전제하고 있다. 초기 그리스도교의 간단 명료한 메시지는 포괄적이였으나 희랍(希臘) 사상의 영향을 받으면서 점차적으로 배타적인 태도를 취하게 되었다. 희랍철학과 사고에 의해 해석된 그리스도교 교리는 발전되고 확고하게 체계화되었다. 따라서 자연스럽게 희랍사고는 그리스도교 사상의 절대적인 바탕이 되었다. 예를 들어,..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l3BXY/btqYZ6uROtY/TUAJv8kKwzYP42s02NKfA1/img.jpg)
윤정현 신부의 "다석의 하느님"(3) 박사논문 2015. 8. 25. 다석사상, 없이 계시는 하느님, 유영모, 윤정현, 음양원리 성공회 청주 수동성당 윤정현 신부의 "다석의 하느님"(3) 음양의 상호작용과 상호보완의 원리는 ‘이것이면서 저것도’(both this and that) 그리고 ‘이것도 아니고 저것도 아닌’ (neither this nor that) 논리를 제공한다. ‘이것이면서 저것도’의 논리는 유대 그리스도교 전통에 잘 부합된다. 유대 그리스도교 전통에서는 신의 초월성과 내재성이 공존한다. 하느님이 초월적이거나 내재적이다라고 말할 수 없다. 유대 그리스도교에서는 하느님이 초월적이면서 동시에 내재적이다는 것을 믿는다. 만약 하느님이 초월적인 존재라면 인간과 교통할 수 없다. 또한 하느님이 단지..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mSncA/btqZcrYwGtO/9Mjw1hdwTZ9nOz4v4EoJ8K/img.jpg)
윤정현 신부의 "다석의 하느님"(2) 박사논문 2015. 8. 25. 다석사상, 없이 계시는 하느님, 유영모, 윤정현 성공회 청주 수동성당 윤정현 신부의 "다석의 하느님"(2) 여기에서 그리스도교의 동양적 해석은 동양적 사고 바탕 위에서 재해석한 유영모의 하느님의 이해를 분석하고 이해하는 것, 즉 그리스도교의 하느님 을 태극(太極), 태허(太虛), 도(道) 그리고 절대무(絶對無)로서 해석(解釋) 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인격적이면서 비인격적이고, 초월적이면서 동시에 내재적인 실재라는 용어가 종교 다원주의 입장에서 하느님의 개념을 재개념화하는 데, 중요하게 다루어질 것이다. 특히, 종교간의 내적(內的)인 대화를 위한 종교다원주의적인 접근방법은 한국의 다원 종교적인 상황 속에서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lihMs/btqYSUg2tMo/VEROkH79HZ4eJxAT9bfel1/img.jpg)
윤정현 신부의 다석의 하느님(1) 박사논문 2015. 8. 25. 다석사상, 동양적 사고, 유영모, 윤정현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아이들을 학살하고 유대교네 기독교네 이슬람이네 하면서 종교전쟁의 양상이 벌어지는 지구별입니다. 한국 또한 문창극의 경우에서 보듯 기독교라 하지만 모두 다른 하느님을 섬기거나 말하는 것 같습니다. 페친님들도 자신만의 하느님이 있고 또 고민하는 듯 해서 그 하느님에 대한 고민을 하면서 글을 연재합니다. 이 글은 성공회 청주 수동성당의 윤정현 신부님의 영국에서의 신학박사 논문이며 저자의 허락을 받아 연재합니다. 모자라는 부분은 앞으로 직접 윤정현 신부님의 가르침을 받아 동영상이나 기타 자료들을 보강하면서 긴 장정을 시작해 봅니다. 한 사람의 페친님이라도 도움이 되는 글이길 빌면서 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qX0LP/btqY7ohcbIY/MkVYpJvkMO3m8lVSAoG3Vk/img.jpg)
윤정현 신부의 "다석의 하느님"(4) 박사논문 2015. 8. 25. 다석사상, 상호보완, 없이 계시는 하느님, 유영모, 윤정현, 음양원리 성공회 청주 수동성당 윤정현 신부의 "다석의 하느님"(4) 유영모의 하느님 이해를 연구하는데 있어, 동양사고의 근저를 이루고 있는 ‘이것도 저것도’ (both-and)와 ‘이것도 저것도 아닌’ (neither-nor) 논리를 자주 적용할 것이다. 위에서 설명했듯이 이 두 논리는 초월적이면서도 내재적일뿐만 아니라 인격적이면서도 비인격적인 하느님의 상호보완과 상호의존성을 설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유영모의 주요 사고를 분석하기 앞서, 동양인들의 삶과 사고 속에 내재해 있는 음양사고를 설명하고자 한다. 여기에서 동양인들의 우주관을 이해하는 주요 개념인 역(易)과 관련하여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n7FsN/btqYTMX3sSF/iZQwEWDIbhTp1HxYMK4M7K/img.jpg)
「유영모柳永模의 귀일신학歸一神學: 팬데믹 이후 시대를 위한 「다석강의」 다시 읽기」를 읽고 기사승인 2020.07.23 00:33:57 임종수 한국예술종합학교 이정배 지음, 「유영모柳永模의 귀일신학歸一神學: 팬데믹 이후 시대를 위한 「다석강의」 다시 읽기」를 읽고 - 팬데믹 이후 시대 우리는 왜 다석을 다시 읽어야 하는가 1. 이 책을 이야기한다는 것은 대단히 저어되는 일입니다. 제가 다석 유영모의 사상을 잘 알지 못하기에 글을 쓸 만한 적임자는 아니기 때문입니다. 신학대학 시절 김흥호 선생님의 강의 사이로 다석사상의 흔 적을 조금 엿보고, 선생님이 풀이한 ?제소리?를 일독한 후 ?다석강의?를 읽은 정도에 불과함을 먼저 고백합니다. 2. 그러한 무지의 부끄러움을 안고 이 책을 읽었습니다. 그리고 책을 읽..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Z0B6s/btqY2sLakn0/kvShqA7rCM714qIFNaEdhk/img.jpg)
홈 > 뉴스 > 특집 > 기독교와 불교의 만남 다석(多夕)* 신학 속의 불교 / 이정배 [40호] 2009년 09월 10일 (목) 이정배 감신대 종교철학과 교수 들어가는 글 《불교평론》에서 다석사상(多夕思想)에 관심을 가져 준 것은 참으로 고마운 일이다. 불교 시인 고은이 다석(多夕)을 총기 넘치나 부질없는 생각을 한 늙은이로 평가한 적이 있었기 때문이다.1) 유불선과 기독교를 하나의 사상으로 회통시키는 일이 시인에게 낯설게 보였을 것이다. 좀 더 솔직하자면 불교를 기독교식으로 의미화한 것이 마음에 거슬렸을 수도 있다. 그러나 그것은 어쩔 수 없는 일이었다. 무(無) 혹은 공(空)의 시각에서 기독교 서구를 능가하는 불교적 신학을 기초했던 교토학파의 사상가들과 다석의 출발점이 달랐던 것이 분명하기 때문이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XZDOa/btqZcscJYMT/JL9KewvJLiXEvkgULHLKH1/img.jpg)
유교(儒敎) · 유가(儒家) 또는 유학(儒學) 양명학(陽明學)은 중국 명나라의 철학자 왕수인(王守仁)의 호인 양명(陽明)에서 이름을 따서 붙인 유가철학(儒家哲學)의 한 학파로 주관적 실천 철학에 속한다.양명학이라는 명칭은 메이지 유신 이후에 퍼진 것으로, 그 이전에는 육왕학(陸王學) 또는 왕학(王學)이라 불렸다. 육왕학(陸王學)은 육구연(陸九淵)의 학풍을 이어 왕수인이 대성한 유학(儒學)을 뜻하고, 왕학(王學)은 왕수인의 유학을 뜻한다. 심즉리(心卽理) · 치양지(致良知) · 지행합일(知行合一)은 양명학의 3강령이다. 송나라 시대를 거쳐 오면서 학자들은 유교의 역사를 되돌아 보면 수나라나 당나라 이전에는 경서의 음독이나 훈고(단어의 의미)를 중시한 훈고학이 중심이었다. 그러나 유교가 거쳐오면서 송나라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