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마스터와 가르침/공자 (100)
숨터학당(學堂)-진리를 깨달아 자유를....나는 나다.
대학장구 ( 大學章句 )-제 2 편 전 문 ( 傳 文 ) 제 8장 수신 제가 (修身 齊家) 所謂齊其家在修其身者는 人之其所親愛而辟焉하며 소위 제기가 재수기신자 인지 기소친애이 벽언 이른바 그 집안을 바로 잡음이 그 몸을 닦음에 있다는 것은, 사람이란 그 친하고 사랑하는 사람에게 치우..
대학장구 ( 大學章句 )-제 2 편 전 문 ( 傳 文 ) 제 7 장 정심 수신 (正心 修身) 所謂修身이 在正其心者는 身有所忿懥則不得其正하고 有所恐懼則不得其正하고 소위수 신 재정 기심 자 신 유소분치즉 부득기정 유 소공구즉 부득기 정 이른바 몸을 닦음이 그 마음을 바르게 함에 있다는 것..
대학장구 ( 大學章句 )-제 2 편 전 문 ( 傳 文 ) 제 6 장 성 의 (誠意) 所謂誠其意者는 毋自欺也니 如惡惡臭하며 如好好色을 此之謂自謙이니라. 소 위성기의자 무 자기야 여 오악 취 여 호호색 차 지위자겸 이른바 그 뜻을 성실하게 한다 함은 스스로를 속이지 않는 것이니, 나쁜 냄새를 싫어..
대학장구 ( 大學章句 )-제 2 편 전 문 ( 傳 文 ) 제 5 장 격물치지(格物致知) 此謂知本이오 此謂知之至야니라. 차위 지본 차 위지 지지 이것을 일러 근본을 안다고 하며, 이것을 이러 앎의 지극한 것이라 하는 것이다. ☞ 이장은 한 구절로 이루어 졌는데 주희가 뒤에 보충을 하여 보망장이..
대학장구 ( 大學章句 )-제 2 편 전 문 ( 傳 文 ) 제 4 장 본 말 (本末) 無情者로 不得盡其辭니라 大畏民志니 此謂知本이니라. 무정자 부 득진기사 대 외민지 차 위지본 진실하지 못한 자는 그 말을 다하지 못한다. (거짓은 계속 꾸며대기가 힘들다는 말) 이것은 백성들의 뜻을 크게 두려워..
대학장구 ( 大學章句 )-제 2 편 전 문 ( 傳 文 ) 제 3 장 지어지선 (止於至善) 子曰 於止에 知其所止로소니 可以人而不如鳥乎아 자왈 어지 지 기소지 가 이인이불여조 호 그 머무를 곳을 알고 머물렀으니, 가히 사람이면서 새와 같지 못할 수 있겠는가 與國人交엔 止於信하시니라 여국 ..
대학장구 ( 大學章句 )-제 2 편 전 문 ( 傳 文 ) 제 2 장 친(신) 민 [親(新) 民] 湯之盤銘에 曰 苟日新이면 日日新하고 又日新이라 탕 지반명 왈 구일신 일 일신 우 일신 탕임금의 반명에 진실로 날로 새로워지면, 나날이 새로워지고 또 날로 새로워진다. ☞ 탕지반명 : 탕임금이 제..
대학장구 ( 大學章句 )-제 2 편 전 문 ( 傳 文 ) ♣ 전문은 경문에 대한 각론으로서 증자가 경문에 대한 해설을 쓴 것을 주희가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놓았음. 책 종류에 따라 각장에 장명(章名)을 붙인 것도 있고 없고 하여 읽기 좋게 하기 위해 장명을 붙여 놓았음. 제 1 장 명명덕 (明明德..
대학장구 ( 大學章句 )-제 1 편 경 문 ( 經 文 ) ♣ 경문은 대학의 총론으로 주희가 본 편을 경문이라 하고 나머지 편을 전문이라 이름지었으며, 공 자의 말씀을 증자가 기술했다고 함 1. 大學之道는 在明明德하며 在親(新)民하며 在止於至善이니라. 대학 지도 재명명덕 재 친 신 민 ..
대학장구서 ( 大學章句序 ) ♣ 주자가 대학을 편찬하면서 대학장구의 서문으로 쓴 글이다. 6장으로 되어 있는 본 글은 삼황오제의 시대부터 교육제도 및 이념을 설명하고, 대학으로서 발 전 과정과 그 동안의 병폐에 대한 것과 본 서문을 쓰게 된 동기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1. 大..
대학(大學)의 요약(要約) ♣ 대학의 근본 사상은 수기치인(修己治人) 자신의 지와 덕을 닦아 그 것을 바탕으로 백성을 다스리는 일 으로 3강령 8조목으로 구성 되어있다. 내용을 풀이함에 있어 주자는 형이상학적인 표현을 많이 쓰며 왕양명은 고본에 충실한 풀이를 하였다. 1. 삼강령(..
논어 맹자 대학 중용
대 학 해 설 ( 大 學 解 說 ) 1. 대학의 저자 : 본래 대학은 중용과 함께 예기에 수록되어 있던 것을 사마광 (司馬光 1019 - 1086)이 처음으로 예기에서 분리하여 대학, 중용으로 별도 취급하였다. 정호, 정이(程顥, 程頤 : 송 시대의 형제)가 많은 연구를 하여 연토(硏討)를 하였고, 이것..
論語 제 20 편 요 왈 (堯 曰) ♣ 이 편은 3절로 구성되었으며 논어 20편 중에서 체제가 가장 다르게 꾸며졌다. 요, 순, 우, 무왕 등의 정치적 성격과 일반 위정자를 위한 훈계가 많이 있다. 1. --- 擧逸民하신대 天下之民이 歸心焉하니라. --- 거 일민 천하지 민 귀심 언 (주나라 무왕이) (세상..
論語-제 19 편 자 장 (子 張) ♣ 이 편에는 공자의 제자들인 자하, 자공, 증자 등의 말을 간추려 놓았음 6. 子夏曰 博學而篤志하며 切問而近思하면 仁在其中矣니라. 자하 왈 박학이 독지 절 문이근사 인 재기중의 자하가 말하길 널리 배우되 뜻을 독실하게 가지고, 간절히 묻고 가까운 ..
論語-제 18편 미 자 (微 子) ♣ 고대 은, 주나라의 현인(미자, 기자, 비간, 백이 숙제 등)들에 대한 공자님의 생각과 사상을 당시의 사회상에 중점을 두어 기술하였다. 5. 楚狂接與 --- 往者는 不可諫이어니와 來者는 猶可追니 --- 초 광접여 왕 자 불 가간 내 자 유 가 추 초나라 (거짓으로)미친..
論語-제 17 편 양 화 ( 陽 貨 ) ♣ 세상의 어지러움과 위정자와 제자들에게 경고를 많이 하고 있다. 2. 子曰 性相近也나 習相遠也니라. 성 상근야 습상 원야 사람의 천성은 서로 비슷하나 습관에 의해 서로 멀어진다. 3. 子曰 唯上知與下愚는 不移니라. 유 상지여하우 불 이 가장 지혜로운 ..
論語-제 16 편 계 씨 ( 季 氏 ) ♣ 이 편은 긴 문장이 많으며, 말한 사람의 이름이 없으며 특히 자왈을 공자왈로 적어 놓았다. 논어의 노론(魯論) 제론(齊論) 고론(古論)의 삼론중 제론으로 본다. 1. --- 不患寡而患不均하며 不患貧而患不安이라 불환과 이환 불균 불 환빈이환 불안 (공..
論語-제 15 편 衛 靈 公 ( 위 영 공 ) ♣ 문구가 짧은 것이 특색이며 수신과 처세에 관한 구절이 많다. 1. --- 子曰 君子는 固窮이니 小人은 窮斯濫矣니라. 군 자 고 궁 소 인 궁사 람의 군자는 곤궁을 잘 견딜 수 있지만 소인은 곤궁해지면 마구 행동을 한다. 7. 子曰 可與言而不與之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