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천지인 공부 (1287)
숨터학당(學堂)-진리를 깨달아 자유를....나는 나다.
천부경과 수심정기 1. 천부경에 대하여 1) 천부경이란 천부경은 신라말의 학자였던 고운 최치원 선생이 현묘지도라고 일컬었던 한 겨레 고유의 종교인 풍류의 으뜸 경전이다. 천부경의 유래에 대해서는 아직까지도 정설로 공인된 학설이 없는 실정이다. 지금 국내에 유포된 천부경은 조..
5. 변화론 1) 간추림 지금까지 천부역의 본체론과 분화론을 살펴보았다. 사실 분화론은 변화현상의 특징적인 양상을 포착하여 정리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분화론은 작용론에 포함시키는 것이 옳다고 말할 수도 있다. 그 때문에 오행론과 팔괘론에서 오행의 운행원리와 팔괘구궁..
라. 팔괘론 1) 간추림 <천부경>의 수체계는 오행 다음에 팔괘가 나오도록 되어있다. 지금까지 설명된 오행이 "천이삼 지이삼 인이삼 대삼합육"의 과정, 즉 삼원 육률의 과정에 해당한다면, 팔괘는 "육생칠팔구운 삼사성환 오칠일묘연"의 단락에 해당하는 역리라고 말할 수 있다. 이 구..
//<![CDATA[ var copyUrlButton = { swfurl: 'http://t1.daumcdn.net/cafe_cj/flash/', params: { wmode: 'transparent', allowscriptaccess: 'always', base: 'http://t1.daumcdn.net/cafe_cj/flash/' }, flashvars: { url: 'http://cafe.daum.net/mirksesang/62id/13', urlName: '글' }, attributes: { id: 'copyUrlButtonSwf', name: 'copyUrlButtonSwf', 'class': 'op', style: 'vertical-align: mid..
II. <천부경> 역리구조 1. 천부역의 복원 1) 주역 현대에 이르러 동도학은 신과학(新科學)의 탐구대상으로서 새롭게 각광받고 있다. 서양에서 발전한 과학이, 서양문명의 뿌리가 되어온 실재론(實在論)을 부정하는 단계에 이른 것이 [불확정성 원리]라고 할수 있을 것이다. 불확정성 원..
라. 묘연부 1) 묶음풀이 묘연부는 "오칠일묘연(五七一妙衍)"의 다섯 글자이다. 글자로는 간단하지만, 이 다섯 글자 속에는 <천부경>의 가장 깊은 비밀이 숨어 있다. 우선 글자 그대로 해석하면 "[5]와 [7]과 [1]은 오묘하게 퍼져나간다"는 뜻이 된다. 이 뜻 자체로는 특별한 의미를 찾기 어..
//<![CDATA[ var copyUrlButton = { swfurl: 'http://t1.daumcdn.net/cafe_cj/flash/', params: { wmode: 'transparent', allowscriptaccess: 'always', base: 'http://t1.daumcdn.net/cafe_cj/flash/' }, flashvars: { url: 'http://cafe.daum.net/mirksesang/62id/10', urlName: '글' }, attributes: { id: 'copyUrlButtonSwf', name: 'copyUrlButtonSwf', 'class': 'op', style: 'vertical-align: mid..
II. 수리부 해설 1. 수의 본질 1) 수의 뜻과 기능 <천부경>은 수(數)를 이용하여 진리를 가르치고 있다. 수란 무엇이며 어떤 기능이 있기에 <천부경>은 수를 가지고 우주와 인간을 설명하는 것일까? 여기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대답이 있을 수 있을 것이며, 실제로 수학은 여러 가지 ..
4. '한'의 '틀' 1) '한'의 짜임새 지금부터는 '한'의 '틀'을 살펴보자. '한'의 '틀'은 이미 설명된 대로'한'의 짜임새이다. 그런데 이 짜임새는 '한'이 이런 요소들로 되어 있다는 것이 아니라, '한'을 우리 사람의 인식법칙에 맞추어 해설하므로써 '한'의 이해를 돕기 위해 만들어낸 짜임새이다...
<천부경> 해설 I. 삼신의 가르침 1. 풍류의 경전 풍류의 진리는 세계 모든 문명의 뿌리가 되면서도, 제대로 보존된 경전 한권도 없는 실정이다. 민족사의 흥한령(興韓嶺)으로 평가할 수 있는 단재 선생이 "우리 민족사에 있어서는 사서(史書)의 소실은 있었을지언정, 위서(僞書)의 조작..
무극대도 無極大道 요약 최제우(崔濟愚)가 1860년(철종 11)의 종교체험에서 받은 하느님의 가르침. 목차접기 내용 내용 ‘끝없이 훌륭한 진리’라는 뜻이다. “천은이 망극하여 경신 4월 초5일 글로 어찌 기록하며 말로 어찌 형언할까, 만고없는 무극대도 여몽여각 득도로다.”라는 <용담..
도리도리 짝짝궁 道理道理 作作弓 도(道)의 이치는 궁궁(궁궁을을, 천부인,금척)에 있다. 우리 배달민족의 자손들은 태어나서 부모로 부터 제일 먼저 배우는 것이 도리 도리 짝짝궁이다. 도리(道理)라는 말은 도의 이치라는 말이고 짝짝궁(作作弓)은 궁(弓)자가 두개 즉 궁궁(弓弓)을 말한..
UFO 외계인 무한(無限)의 메시지[천부경 8장-6] ‘우주=무한=하나=사랑’ <천부경>은 8번째 문장에서 빛을 내어 아낌없이 주기만 하는 태양의 모습을 인간들이 추구해야 할 가장 바람직한 롤모델로 제시한다. 우리 모두가 ‘무한의 사랑과 행복’을 상징하는 ‘태양(별)’에서 왔으..
UFO 외계인 무한(無限)의 메시지[천부경 8장-5] ‘사람-사랑-삶-행복’ ‘진리의 횃불’ <천부경>을 통해 우리들 한사람 한사람이 걸어가야 할 인생 길은 ‘태양(별)처럼 밝은 빛을 내는 사랑과 행복의 존재(明人)’임이 명확해졌다. 바로 이것이 <천부경>이 말하고자 하는 무..
아리랑의 비밀과 한국인의 정체성 아리랑과 성경과 민족사의 만남 유석근(목사, 알이랑 코리아 대표)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를 넘어 간다 나를 버리고 가시는 님은 십리도 못가서 발병난다 행마다 열자씩 4행 40자의 이 분장(分章) 가요. 이 노래를 우리는 ‘아리랑’이라고 ..
한국의 방외지사 신동아 2004년 1월호 [한국의 方外之士 ①]한라산 名人 대각심(大覺心) 스님 [한국의 方外之士 ②]기천문(氣天門) 2대 문주(門主) 박사규 [한국의 方外之士 ③]차 맛 감별하는 품명가(品茗家) 손성구 [한국의 方外之士 ④]지리산 은사(隱士) 시인 이원규 [한국의 方外之士 ⑤]..
발대신기 성통공완하라 천신교 영엄사 경일 한얼말씀 2019. 2. 11. 17:32 단제강세(檀 降世) 4476년 배달 4352년 2019년 2월 10일(음 1월 6일) 日 경일경배 한얼말씀 제목; 발대신기(發大 機) 성통공완(性通功完)하라! 오늘은 단제강세(檀 降世) 사천사백(四千四百) 칠십(七十) 육년(六年)(4476년), 배달 ..
하늘의 언어는 무엇인가? 진짜 영에 대해 모르는 자들이 이상한 궤변으로 세상을 어지럽히는 구나. 우리조상들께서 이미 밝혀놓은 人中天地一을 바로 알지어다. 진리를 말하는 것은 진리가 아니다? 깨달은 자는 말하지 않는다? 이 무슨 헛소리인가! 하늘의 언어는 무엇이고 땅의 언어가 ..
Ⅱ. 천부경 표준 안내 1. 천부경의 유래 ............................. 51 2. 천부경을 공부하는 이유 .................... 57 3. 천부(天符)란 무엇인가? .................... 59 4. 천부경으로 만법귀일(萬法歸一) ............. 63 5. 천부경의 탄생 배경 ........................ 69 6. 천부경 표준 해설 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