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마스터와 가르침 (1207)
숨터학당(學堂)-진리를 깨달아 자유를....나는 나다.
도덕경 <도덕경> 56장 56장 知者不言(지자불언) : 지혜있는 사람은 말을 하지 않고 言者不知(언자불지) : 말로 하는 사람은 지혜 있는 사람 아니다 塞其兌(색기태) : 그 태를 막고 <口 입구, 입을 막고> 즉, 침묵하고 閉其門(폐기문) : 눈, 귀 닫아라 <외삼보> 깊어지면 입,..
도덕경 <도덕경> 55장 55장 含德之厚(함덕지후) : 덕을 머금은 것이 후 <두터운 것> 比於赤子(비어적자) : 큰 덕을 지닌 것이 적자 <갓난아이>와 같으니 赤字로 쓴 글이 없다 장자는 진인으로 썼다 <비어진인 比於眞人> 蜂蠆蛇不螫(봉채사불석) : 독 벌레가 쏘지 않는다..
도덕경 <도덕경> 54장 54장 善建者不拔(선건자불발) : 잘 세워 놓은 것을 뽑히지 않는다 善抱者不脫(선포자불탈) : 선포 잘 세워진 것. 잘게 하면 <안고 있으면> 뺏기지 않는다. <세우고 잘 간직하라!> 子孫以祭祀不輟(자손이제사불철) : 자손이 대대손손 제사가 멈추지 ..
도덕경 <도덕경> 53장 53장 使我介然有知(사아개연유지) : 나 한테 개연<조그마한, 낱개, 적다> 아주 조금 조금 있다 行於大道(행어대도) : 대도를 행 할려고 해보니까 노자-규장각 국가 도서관 총 책임자. 요 임금 이후 모든 사상서 다 읽었다 공자가 노자를 찾아가 <예 禮>..
비밀의가르침-다스칼로스 [비밀의 가르침] - 1. 절대영원성 다스칼로스 저서 Chapter 1: 절대영원성(Absolute Beingness) ‘하나님은 사랑이시니라. 사랑 안에 거하는 자는 하나님 안에 거하고, 하나님도 그 안에 거하시느니라.’ (요한 1서 4:16) ‘저는 믿나이다. 전능하신 아버지, 하늘과 ..
영성문화 9천년 역사 속에 내려온 정통 수행법, 태을주太乙呪 홍산문화의 여신상과 주문 수행 태을주는 어떤 주문일까요? 태을주는 동서고금의 수행 문화의 원형입니다. 홍산문화의 우하량 유적에서 5,500년 전의 여신상이 나왔는데 바로 환웅천황의 아내 되는 웅족 여왕의 여신상입니다...
영혼의 양식 [수행] [생명의 만트라, 태을주_3] 태을주의 뜻 태을주의 뜻 천지부모를 찾는 소리, ‘훔치훔치’ 훔치는 천지부모를 부르는 소리니라. 송아지가 어미를 부르듯이 창생이 한울님을 부르는 소리요. 낙반사유는 '이 네 젖꼭지를 잘 빨아야 산다.'는 말이니 '천주님을 떠나면 살 ..
증산도의 진리 [진리공부/수행관4] 왜 주문수행을 해야 할까요? 만트라와 주문. [진리공부/수행관4] 왜 주문수행을 해야 할까요? 만트라와 주문. 이제 벌써 수행관 4번째 시간이 되었네요! 저번시간에는 수행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봤었죠? 수행에는 참선, 명상, 주문수행 등 다양한 방법이 ..
노자의 도덕경 노자도덕경4장, 나는 神이 나오기 이전에 있었네. [무한진인의 노자도덕경 해설 4회] [原 文] 道沖而用之 或不盈 도충이용지 혹불영 淵兮 似萬物之宗 연혜 사만물지종 挫其銳 解其紛 和其光 同其塵 좌기예 해기분 화기광 동기진 湛兮 似或存 담혜 사혹존 吾不知誰之子 ..
[비밀의 가르침] - 2. 로고스 Chapter 2: 로고스 (Christ Logos) 한 분이신 주 예수 그리스도, 하느님의 외아들 영원으로부터 성부에게서 나신 분을 믿나이다. 하느님에게서 나신 하느님, 빛에서 나신 빛, 참 하느님에게서 나신 참 하느님으로서, 창조되지 않고 나시어 성부와 한 본..
참나와 함께하는 여정속에서.. 태을주, 태을주 주문의 뜻 프로필 사랑 2019. 12. 6. 23:08 이웃추가본문 기타 기능 태을주, 태을주 주문의 뜻 태을주 만트라 태을주는 증산도의 대표적인 주문으로 우주를 주재하시는 상제님께서 내려 주신 주문으로 그 어떤 주문보다도 강력한 도력을 가..
궁신(窮神) 사람의 마음은 언제나 하느님을 생각하고 그리는 궁신(窮神)하는 자리에 있어야 한다. 하느님을 알려는 것이 궁신이다. 하느님이란 딴 게 아니다. 우리들이 바로 신(神)인 것이다. 지금에는 신의 능력을 나타내지 못할망정 이 다음에는 하느님께로 돌아가는 것만은 사실이다.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ITUC3/btqXadIFc4V/dLjz75zwllFYQnQFuEdiM0/img.jpg)
하나님 말씀이 길이고 眞理이고 生命이다. (천국열쇠 3) 내가 곧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니 "예수께서 가라사대 내가 곧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니 나로 말미암지 않고는 아버지께로 올 자가 없느니라 " (요한복음 14:6) 여기서 예수께서 말씀하시는 '내가 곧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니' 할 때 ‘내가'는 예수 자신이기도 하지만 하나님께서 보내주신 얼나(참나) 즉 성령(하느님)이라야 더 깊은 깨달음을 얻을 수 있다. 즉 얼나(참나, 성령, 하느님)가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니로 이해를 해야 샤먼신앙, 기복신앙에서 벗어나 깨달음 신앙, 영성신앙인에 이른 것이다. ’내가‘를 문자 그대로 예수로만 이해하면 하층신앙인에 머물게 되는 것이고 기복신앙, 대속신앙, 제사신앙을 벗어 날 수 없는 것이다. 내가를 얼 나..
執一含三 會三歸一 ~ 주체 : 하나의 上帝 가 되고, 神 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고 서로 작용하는 三神이 되는 것이다. ~ 아비 父 의 도는 하늘을 본 받아서 참되고, 한결같이 거짓이 없고 上界 造化 淸眞大 스승 師 의 도는 땅을 본 받아 부지런하고, 한결같이 게으름이 없고 下界 敎化 善聖天..
2018.12.14. 13:11 닫기 이 사람을 보라! 한국이 낳은 특출한 종교 사상가 류영모 “우리는 모름지기 이 신격의 나인 얼나를 참나로 깨달아야 합니다. 삼독(탐·진·치)의 제나를 쫓아버리고 얼나를 깨달아야 합니다.” 그의 삶 함석헌의 스승으로 알려진 다석多夕 류영모柳永模(1890~1981)는 한국이 낳은 특출한 종교사상가이다. 다석학회 회장 정양모 신부에 의하면 인도가 석가를, 중국이 공자를, 그리스가 소크라테스를, 이탈리아가 단테를, 영국이 셰익스피어를, 독일이 괴테를, 각각 그 나라의 걸출한 인물로 내세울 수 있다면, 한겨레가 그에 버금가는 인물로 내세울 수 있는 분은 다석 류영모라고 했다. 서울대 농대 학장을 역임하고 성천재단을 설립하여 한국에서 인문학 진작에 크게 공헌한 류달영도 지금까지..
천수경 千手經 천수천안관자재보살광대원만무애대비심대다라니경 天手天眼觀自在菩薩廣大圓滿無碍大悲心大陀羅尼經 (‘천수천안관자재보살 광대원만무애대비심 대다라니경’은 천수경의 원제목명이기도 합니다.) 정구업진언 淨口業眞言(구업을 맑게 하는 진언) 수리수리 마하수리 수수리 사바하(세번) 행복하소서 행복하소서 많이 행복하소서 지극히 행복하소서 그 행복이 영원하소서 무비스님 맑고 거룩합니다 맑고 거룩합니다 지극히 맑고 거룩합니다 그 맑고 거룩함 영원하소서 혜국스님 *수리길상존 *마하크다 *사바하성취, 원만, 구경 여기서 〈수리〉는 '길상존(吉祥尊)'이란 뜻입니다. 〈마하수리〉에서〈마하〉는 '크다'는 뜻이어서〈마하수리〉는 '대길상존(大吉祥尊)이 됩니다. 또〈수수리〉는 앞의 내용을 결론 짓는 종결의미로 사용되는 정형구로써 그..
논어 속의 충서(忠恕) 子曰, “參乎! 吾道一以貫之.“ 曾子曰 ”唯.“ 子出, 門人間曰 ”何謂也?“ 曾子曰 ”夫子之道, 忠恕而已矣“ (공자왈, "삼아, 나의 도는 결국 하나로 요약할 수 있다." 증자가 "예"라고 답했다. 공자가 나가시자 다른 제자들이 물었다. "그게 무슨 말씀이십니까?" 증..
三昧 [해인사 새벽예불] ○ 淨三業 眞言 옴 사바바바 수다살바 달마 사바바바 수도 함 -3회 ○ 法.性.偈 法性圓融無二相 諸法不動本來寂 無明無常絶一切 證智所知比餘境 眞性甚心極微妙 不守自性隨緣成 一中一切多中一 一卽一切多卽一 一微塵中咸十方 一切塵中亦如是 無量遠劫卽一念 ..
천수경. 千手經 요약 불교 경전의 하나. 본문 관세음보살이 부처에게 청하여 허락을 받고 설법한 경전이다. 본래 명칭은 《천수천안관자재보살광대원만무애대비심대다라니경(千手千眼觀自在 菩薩廣大圓滿無崖大悲心大陀羅尼經》으로, ‘한량 없는 손과 눈을 가지신 관세음보살이 넓..
지하자 졸씨구( 至下者 卒氏求) 얼씨구(孼氏求) 란? 우리나라의 가족사에 서얼(庶孼)이란 말이 있다. 서자(庶子)와 얼자(孼子)를 합친 말이다. 서자(庶子)는 양반의 남자가 양가나 중인의 여자를 첩으로 얻어 낳은 자식을 말하며 얼자(孼子)란 천민의 여자로부터 얻은 자식을 말한다. 그러니 천대받는 서얼(庶孼)의 씨라도 구한다는 의미가 되는 것이다. 또 절씨구(卍氏求)란 절깐에서 씨를 구한다는 의미이니 중의 씨를 구한다는 뜻인데 당시 승려는 사노비(私奴婢)와 백정, 무당, 광대, 상여꾼, 기생(妓生), 공장(工匠)과 함께 팔천(八賤)이라 하여 천민(賤民)에서도 최하위 천민에 속해 있었다. 그래서 천민에 속해 있는 중의 씨라도 구한다는 의미가 된다. 지하자 졸씨구(至下子 卒氏救)는 세상에서 가장 바닥생활을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