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천지인 공부 (1287)
숨터학당(學堂)-진리를 깨달아 자유를....나는 나다.
天 符 經 천부경 一始無始一(일시무시일) 우주는 시작됨이 없이 시작 된 우주이니 析三極無盡本(석삼극 무진본) 하늘과 땅과 사람으로 나 뉘어 도 근본은 변함이 없고 ; 天一一地一二人一三( 천일일 지일이 인일삼) 天二三地二三人二三(천이삼 지이 삼 인이삼) 하늘 땅 사람은 모습은 다..
출처: 나는깨어있다 등대빛님글 퍼옴 저자: 조하선 베일벗은 천부경 - 목차 * <베일벗은 천부경>은 1998년 도서출판 물병자리에서 초판이 발행되었고 2005년 창천사에서 개정판이 발행되었다. 본 블로그에 포스팅 된 내용은 개정판에 따른 것이다. 개정판에는 초판에 없던 장이 하나 추..
[三一神誥] ‘나는 누구인가?’ 정체성에 대해 봄바람은 아닌지 아침단상 허허공공에 사로잡힌 신비의 샘 하루입니다. ♡ 感(감) 喜(희)懼(구)哀(애)怒(노)貪(탐)厭(염) 息(식) 芬(분)爛(란)寒(한)熱(열)震(진)濕(습) 觸(촉) 聲(성)色(색)臭(취)味(미)淫(음)抵(저) 희구애노탐염을 끊고, 분란한열..
신비주의의 유대 비의 《카발라 탈무드》 신에 의해 선택받은 특별한 민족, 그러나 수천 년을 떠돌아야 했던 방랑민족! 그들의 인생에 대한 깨달음과 신비로운 비밀을 담은, 내 삶의 진정한 멘토가 되어 주는 책!! 유대인이 탈무드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탈무드가 유대인을 만든다! 인생..
카발라 형태장이란? 『카발라 형태장』은 동양의 지혜와 서양의 지혜가 통합된 새로운 형태의 지혜이자, 대자연 에너지 메커니즘이다. 고대로부터 전해 내려오는 인류의 지혜인 카발라와 천부경이 만나 새로운 형태의 카발라 형태장이 탄생하였고, 카발라 형태장은 신과 우주를 이해할 ..
카발라란? 카발라는 우리나라에서는 생소하나 외국에서는 유명 대중 가수 마돈나나 한때 미 프로야구 최고의 대스타였던 알렉스 로드리게스가 이 종교에 빠졌다고 알려져서 유명세를 탄 유대 신비주의이다. 사실 카발라는 그 역사가 오래 되었음에도 국내에는 기독교적 관점에서 해석한..
카발라의 중요성 카발라는 고대 지혜 가르침 중에서 가장 변형 되지 않은 원형 그대로의 진리를 담고 있다. 카발라는 지식 차원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우리가 근원자와 합일되게끔(깨달음) 실제적인 안내를 하며 신의 왕국에 돌아가는 열쇠를 제공한다. 1. 22문자는 호아의 힘, 권..
신에게 돌아가는 열쇠 카발라 (1) 카발라는 유대 비밀 가르침이다. 카발라는 우주라는 거대한 그림 속에 인간이 어떤 위치에 있는 지 우리가 탐구하여 정의 내릴 수 있도록 도와주는 위대한 지침서이다. 인간이 왜 존재하는지, 태어나서 살아가는 삶의 목적이 무엇인지, 인간은 어디에서 ..
영지주의 복음서와 카발라 야고보 비밀의 서, 빌립 복음서, 진리 복음서저자 김태항 출판 하모니 | 2017.9.15. 책소개 [영지주의 복음서와 카발라]는 영지주의가 무엇이고, 이것이 정통교회 가르침과 어떻게 다르며, 영지주의가 박해받아 사라진 이유를 설명한다. 모든 사상의 근원으로 알려..
도마복음과 카발라, 김태항 도마복음은 예수의 12사도 제자 중 한명이었던 디두모스 유다 도마가 썼다고 기록되어 있다고 한다. 원본은 1898년 이집트 옥시링쿠스에서 그리스어 조각 필사본으로 발견되었고, 이후 1945년 나그함마디 지역에서도 콥트어로 쓰여진 문서의 일부분이 발견되었..
『카발라 형태장』 1부에서는 카발라의 기본 형태를 만드는 형태장에 관해, 2부에서는 카발라 생명나무에 대한 설명과 더불어 이것을 응용할 수 있는 방법론에 대해 설명했다. 생명나무를 통해 우주 에너지가 어떻게 물질로 현현되는지, 또한 영의 에센스가 위에서부터 아래로 어떻게 내..
『수메르, 혹은 신들의 고향』 이 책 『수메르, 혹은 신들의 고향』은… 수메르에서 찾아낸 인간, 문명, 신화의 모든 것 지구상에 존재하는 수많은 미스터리들 가운데 가장 핵심적이고도 근본적인 수수께끼는 아마도 ‘도대체 인간이라는 존재는 맨 처음 어떻게 탄생하게 되었는가’ 하는 문제일 것이다. 이에 대한 대표적인 두 가지 설명이 바로 성경의 창조론과 다윈의 진화론이다. 하지만 둘 다 불완전한 설명일뿐더러, 자체 내에 많은 모순들을 안고 있다. 수메르 문명 전문가인 고고학자 제카리아 시친은 이 문제에 대해 아주 명쾌하고도 충격적인, 그리고 전혀 새로운 이야기들을 들려준다. 그가 되살린 수메르의 점토판들에는 우리가 미처 상상치도 못했던, 우리가 의문을 품지조차 않았던 수없이 많은 문제들에 대한 설명이 그림과 문..
<카발라와 예수 그리고 성경>은 (1) 모든 동서양 가르침의 근본이 되는 카발라의 비밀전승과 카발라의 본질에 대하여 설명하고 (2 전혀 관련이 없을 것 같은 예수와 카발라와의 관계를 여러 신뢰할만한 자료를 통하여 분명하게 보여주고 (3) 새로운 시각으로 성경의 권위에 도전하고 (4..
『카발라의 신비 열쇠』는 구전된 비밀 카발라와 드러난 카발라 이 두 가지 흐름을 동시에 담고 있다. 무엇보다 카발라 핵심인 우주의 신비를 여는 생명나무의 비밀을 이해하기 쉽게 소개한다. 카발라 사상을 단순히 소개하는 것에 머물지 않고 근원으로 돌아가는 구체적인 방법을 보여..
천부경이 계연수에 의해 대종교로 전해진 내력 우리 천손 천민의 배달겨레는 개천 이래로 위대하고 거룩한 3대 경전으로 조화경인《천부경》과 교화경인《삼일신고》와 치화경인《참전계경》이 있다. 81자로 구성된《천부경》은 한배검께서 천부삼인을 가지시고 태백산(백두산) 신단..
참전계경(參佺戒經) 3 <제 6 장> 복리훈(福理訓) 제232조 복(福) 복이란 착함으로 받게 되는 경사(慶事)이니, 이에는 6문(門)과 45호(戶)가 있느니라. 1문 인(仁) 2문 선(善) 3문 순(順) 4문 화(和) 5문 관(寬) 6문 엄(嚴) 제233조 (1문) 인(仁) : 어짐 인은 사랑의 저울추와 같으니, 사랑은 무엇이나..
참전계경(參佺戒經) 2 <제 3 장> 애리훈 (愛理訓) 제96조 애(愛) : 사랑 사랑이란 자비한 마음에서 자연히 일어나는 것이며, 어진 성품의 가장 근본적인 성질이 되는 것이니, 이에는 6범(範)과 43위(圍)가 있느니라. 1범 서(恕) 2범 용(容) 3범 시(施) 4범 육(育) 5범 교(敎) 6범 대(待) 제97조 (1범..
출처: 역사광복운동본부 참전계경(參佺戒經) 1 참전계경(參佺戒經)의 유래 1. 참전계경과 을파소(乙巴素) 선생 1) 고구려 제 9대 고국천왕때에, 압록곡 좌물촌(지금의 평안북도 선천지역) 태생의 사람으로서, 고국천왕 13년 안유(安留)의 천거로 대정(大政)을 맡아 유명한 재상이 되어, 우리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lVD2E/btqE1uoLokS/WHFA7qXlB0OFdFVOC639Sk/img.jpg)
[부도지(符都誌)] 해설서 '마고복본을 꿈꾸며' [부도지 해설서] "마고복본을 꿈꾸며" 김 태형 머리말 처음 시작에 앞서… 처음에 부도지(符都誌)를 봤을 때 난 무척이나 당황을 했다. 강단 사학자들이 주장하던 역사, 내가 공부를 했었던 재야사학자들이 주장하던 역사와도 차이가 있는 또 하나의 역사…. 난 이 역사를 어떻게 해석을 해야 할지를 놓고 많이 고민을 했었다. 태백일사의 삼신오제본기편에 나오는 창조신화와도 내가 별도로 연구를 했던 창조신화와도 틀린 또 다른 하나의 세계창조관을 가지고 접근을 하여 나로 하여금 선택의 기로에 서게 한 그런 책 이였다. 그리고 지금은 확신을 한다. 적어도 선도를 하는 사람이라면 이 책을 반듯이 읽어야만 선도의 목적을 이해를 할 수 있으리라고… 한단고기의 삼성기 편에 보면..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2ims1/btqE1DMzdHU/lKh94gT6KgJq0sKSRRfY8k/img.jpg)
부도지(符都誌) 출처: 역사광복운동본부부도지는 징심록 상교 제1지라고 하며, 우리의 상고사를 기술한 사서중에 가장 오래전의 역사를 비교적 자세히 기술한 문헌으로 서기 1953년(단기 4286년) 박금선생의 프린트본으로 세상에 알려진 책이라 전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 사서의 저자는 영해 박씨의 시조인, 신라 눌지왕때, 치술령 망부석의 주인공인 관설당 박제상으로 전해지고 있으나,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부도지의 내용을 율과 려, 음과 성, 음상과 향상, 5음 7조의 율려등으로 이치를 설명한 것으로 보아, 부도지는 박 제상의 아들이며 방아타령의 대악으로 유명한 백결선생이 지어서, 사회적으로 이름있는 아버지 박제상의 이름으로 전한 것으로 생각됩니다. 영해 박씨의 시조인 관설당 박제상은 또한, 천부경을 아들인 백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