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마스터와 가르침/중용 (51)
숨터학당(學堂)-진리를 깨달아 자유를....나는 나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odW4c/btqFgwGG668/AKFoHnaIuEznhnvoBfjo11/img.png)
中庸章句중용장구 중용 제5장 자왈도기불행의부(子曰道其不行矣夫) 곡두 제5장 子曰:「道其不行矣夫!」 자왈 "도가 세상에 행해지지 못하겠구나!" 夫!( 부/ - 도다, - 구나 :감탄사) 由不明,故不行。 밝혀지지 않았으므로 행하여지지 않는 것이다 右第五章。 此章承上章而舉其不行之端,以起下章之意。 이장은 앞장을 이어서 道가 행해지지 않는 端緖(단서)를 들어 다음장의 의미를 일으키고 있다 [출처] 중용 제5장 자왈도기불행의부(子曰道其不行矣夫)|작성자 곡두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Ayq7d/btqFhMhw897/LjqOUR14NpGFbjQmPd1zlk/img.png)
中庸章句중용장구 중용 제4장 자왈도지불행야(子曰道之不行也) 곡두 제4장 子曰:「道之不行也,我知之矣, 知者過之,愚者不及也; 道之不明也,我知之矣,賢者過之,不肖者不及也。 자왈 "도(道)가 행해지지 않는 이유를 내가 안다. 지혜롭다는 자는 아는 것이 지나치고, 어리석은 자는 아는 것이 미치지 못하기 때문이다 도가 밝게 드러나지 않는 이유를 내가 안다 어질다는 자는 행동이 지나치고 못나고 어리석은자는 행동이 미치지 못하기 때문이다 道者,天理之當然,中而已矣。 道는 천리의 당연(마땅히 그럼함)함이니 中 한글자로 족한 것이다 知愚賢不肖之過不及,지(知)와 우(愚),현(賢)과 불초(不肖)의 過,不及은 則生稟之異而失其中也。타고난 천품차이로 생기며 그 중을 잃음이다 知者知之過,지자는 아는 것이 지나쳐 既以道為不足行;이미 道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a2OSF/btqFgH2igpH/0LlmwBblEsUo9i2O3lcJE0/img.png)
中庸章句중용장구 중용 제3장 자왈중용기지의호(子曰中庸其至矣乎) 곡두 제3장 子曰:「中庸其至矣乎!民鮮能久矣!」 자왈 "중용의 지극함이여! 그러나 제대로 행하는 사람이 드물어진지 오래 되었다! 鮮,上聲。下同。 過則失中,지나치면 중을 잃고 不及則未至,미치지 못하면 이르지 못한다 故惟中庸之德為至。고로 오직 중용의 덕만이 지극함이 되는 것이다 然亦人所同得,그러나 또한 사람이 같이 얻는 바이므로 初無難事,처음에는 어려운 일이 아니었으나 但世教衰,단지 세상의 가르침이 쇠하여 民不興行,백성이 왕성하게 행하지 않했으니 故鮮能之,능히 행하는 백성이 드물게 되었고 今已久矣。오늘에는 그런지가(중용의 도를 행하지 못한지) 이미 오래되었다 論語無能字。논어에는 能字가 없다 논어 옹야편/ 中庸其至矣乎!民鮮久矣 右第三章。 태그 취소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dT3GSD/btqFiAumJy9/zl8iIY6ETNKN8GJXqb97d1/img.png)
中庸章句중용장구 중용 제2장 중니왈군자중용(仲尼曰君子中庸) 곡두 제2장 仲尼曰:「君子中庸,小人反中庸。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군자는 중용의 도를 취하고 소인은 중용의 도에 반한다 中庸者,不偏不倚、중용은 한쪽으로 치우쳐(偏) 기울어짐(倚)이 없고 無過不及,지나치거나 미치지 않음이 없고 而平常之理,보편적이며 항상한 이치로 乃天命所當然,하늘이 명한 마땅히 그러함이며 精微之極致也。정미함의 지극함에 이르름이다 惟君子為能體之,그러므로 오직 군자만이 능히 체득할 수 있고 小人反是。소인은 이와 반대이다 君子之中庸也,君子而時中; 군자가 중용의 도를 행하는 것은 군자의 덕이 있어 때에 맞게 하기 때문이며 小人之反中庸也,小人而無忌憚也。」 소인이 중용의 도에 반하게 행하는 것은 소인의 마음이 있어 아무 꺼릴바가 없기 때문이다 ..
중용 제1장 천명지위성(天命之謂性) 中也者,天下之大本也;和也者,天下之達道也。 中庸章句 中者,不偏不倚、無過不及之名。庸,平常也。 중이란 치우치지 않고 기울지 않으며 지나치거나 미치지 못함이 없는 것을 이름한다. 용(庸)이란 평범하고 항상함이다 偏(치우칠/편),倚(기울다/의) 子程子曰:「不偏之謂中,不易之謂庸。 정자께서는 "치우치지 않음을 중(中)이라하고 변화하지 않음을 용(庸)이라한다 中者,天下之正道,중(中)이란 천하의 정도(正道)이며 庸者,天下之定理。」용(庸)이란 천하의 정해진 이치이다"라고 말하였다 此篇乃孔門傳授心法,이 책은 곧 공자의 문하에 전수되어 온 심법으로 子思恐其久而差也,故筆之於書,以授孟子。자사는 전수되어 온 심법이 오래되어 차질이 생길까 염려되어 이 중용을 기록하여 맹자에게 전수한 것이다 其書始..
中庸章句序 中庸은 何爲而作也오. 중용은 하위이작야오. 중용은 어찌하여 지었는가? [해설] 중용장구서는 자사가 중용을 지은 뜻에 대하여 주자가 스스로 질문을 던지며 답해 나가는 글이다. 자사(기원전 483년~기원전 402년)는 춘추시대 때의 학자로 공자의 제자인 증자의 제자이자 공자의 손자다.자사는 자(字)이며 이름은 급(伋)이다. 주자(1130~1200)는 남송시대의 학자로 이름은 희(憙), 호는 회암(晦庵)으로 이정(二程) 형제의 학문을 계승하고, 공자의 학문을 더욱 발전시켜 ‘주자학’이라는 一家를 이루었으며 조선시대의 정치와 학문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경전에 대해 꼼꼼한 해설을 달아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그의 해설을 통하지 않고는 경전에 대한 이해를 제대로 할 수 없을 정도로 정통 유학의 큰 스승으로..
中庸章句중용장구 중용 제33장 시왈의금상경(詩曰衣錦尙絅) 곡두 2018. 7. 25. 18:56 제33장 詩曰 시경에 왈 「衣錦尚絅」, 의금상경/"비단옷을 입고 더하여 겉옷을 입었네"라함은 尚(더하여/상),絅(홑옷/경) 惡其文之著也。 그 비단의 무늬가 드러남을 꺼려서이다 文(무늬/문,채색/문) 故君..
中庸章句중용장구 중용 제32장 유천하지성위능경륜천하지대경 (唯天下至誠爲能經綸天下之大經) 곡두 2018. 7. 25. 18:46 제32장 唯天下至誠, 오직 천하의 지극한 誠을 이룬분이라야 為能經綸天下之大經, 천하의 큰 법칙으로 천하를 능히 다스리고 經綸(경륜/천하를 다스리는 것),經(다스리..
中庸章句중용장구 중용 제31장 유천하지성(唯天下至聖) 곡두 2018. 7. 25. 18:42 제31장 唯天下至聖,오직 천하의 지극한 성인이라야 為能聰明睿知,총명과 예지로서 足以有臨也; 족히 군림할 수있으니 寬裕溫柔,너그러움과 온화함이라야 寬裕(관유/너그러움),溫柔(온유/온화하고 유순함 ..
中庸章句중용장구 중용 제30장 중니조술요순(仲尼祖述堯舜) 곡두 2018. 7. 25. 18:39 제30장 仲尼祖述堯舜, 공자는 요순의 도를 근간으로 그 뜻을 펴고 서술하였으며 祖述(조술/성인(요순)의 말씀을 근본으로 하여 그 뜻을 펴 서술함) 憲章文武; 문왕과 무왕의 법을 높이 받들어 憲(높이다,본..
中庸章句중용장구 중용 제29장 왕천하유삼중언(王天下有三重焉) 곡두 2018. 7. 25. 18:35 제29장 王天下有三重焉, 천하의 왕이 되어 다스리는 데 3가지 중요한 것이 있으니 其寡過矣乎! 이것이 제대로 되면 허물(過)이 적을(寡) 것이다 王,去聲。 呂氏曰:여씨가 이르기를 「三重,謂議禮、..
中庸章句중용장구 중용 제28장 자왈우이호자용(子曰愚而好自用) 곡두 2018. 7. 25. 18:29 제28장 子曰:「愚而好自用, 어리석으면서 자기생각대로 행하기를 좋아하고 賤而好自專, 천(賤)하면서 자기 마음대로 하기를 좋아하고 生乎今之世, 지금의 세상에 태어나 살면서 反古之道。 옛날..
中庸章句중용장구 중용 제27장 대재성인지도(大哉聖人之道) 大哉聖人之道!위대하도다!성인의 도여! 洋洋乎!發育萬物,양양하다! 만물을 발육케 하니! 洋洋(양양/바다가 한없이 크고 넓은모양) 峻極於天。높고 지극한 道는 하늘에 닿아있다 峻,高大也。此言道之極於至大而無外也..
中庸章句중용장구 중용 제26장 고지성무식(故至誠無息) 故至誠無息。 그러므로 지극한 정성은 쉼이 없다 既無虛假,自無間斷。 이미 헛되고 거짓됨이 없으니 스스로 간단이 없다 虛假(허가/진실하지 않음),間斷(간단/잠깐 끊임,쉴사이) 不息則久,久則徵, 쉬지 않으면 오래가고 오래가..
中庸章句중용장구 중용 제25장 성자자성야(誠者自成也) 誠者自成也, 誠은 스스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而道自道也。 道는 스스로 행해야 하는 당연한 道理이다 道也之道,音導。道也의 道는 행하다 (導)이다 * 導(행하다/道) 言誠者物之所以自成,誠이란것은 만물이 스스로 이루는 바이..
中庸章句중용장구 중용 제24장 지성지도(至誠之道) 至誠之道, 지극한 정성의 도는 可以前知。 가히 앞일을 미리 알 수 있으니 國家將興, 국가가 장차 흥함에 必有禎祥; 반드시 상서로움이 있고 禎(상서로울/정),祥(상서/상),禎祥(정상/경사스럽고 福스런 조짐) 國家將亡, 국가가 장차..
中庸章句중용장구 중용 제23장 기차치곡(其次致曲) 其次致曲, 그 다음은 일부분의 선(善)을 미루어 지극히 하는것인데 致曲/치곡:일부분의 선에 지극히함,곡에 이르게함,사소한 일에도 극진함 曲能有誠, 일부분의 선(曲)을 지극히 함에도 정성이 있어야하며 誠則形, 정성이 있으면 ..
中庸章句중용장구 중용 제21장 자성명위지성(自誠明謂之性) 自誠明,謂之性;自明誠,謂之教。誠則明矣,明則誠矣。 성(誠)으로 말이암아 선(善)에 밝은 것을 본성이라하고 선(善)을 밝힘으로 말미암아 진실해지는 것(誠)을 교(敎)라 하고 진실하면 이치에 밝고 이치에 밝으면 진실해진..
中庸章句중용장구 중용 제22장 유천하지성(惟天下至誠) 제22장 唯天下至誠, 오직 천하의 지극한 誠에 도달한 분만이 為能盡其性; 자신의 본성을 능히 다 할 수 있으며 能盡其性, 자신의 본성을 다 할 수 있으면 則能盡人之性; 타인의 본성도 능히 다 할 수 있고 能盡人之性, 타인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