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터학당(學堂)-진리를 깨달아 자유를....나는 나다.
노자 도덕경 13장 본문
老子 道德經 13장
제13장
寵辱若驚
사랑도 미움도 모두 두려워하라.
貴大患若身
큰 어려움을 네 몸같이 귀히 여기라.
何謂寵辱若驚
사랑받거나 욕되나 늘 두려워하라’는 말은 무엇인가.
寵爲上辱爲下
사랑받음은 곧 그것을 잃게 된다(미움)는 뜻이니
得之若驚
그것을 얻어도 두려워하고
失之若驚
그것을 잃어도 두려워하라.
是謂寵辱若驚
이것이 바로 사랑받거나 욕되나 늘 두려워하라‘는 말이다.
何謂貴大患若身
큰 어려움을 네 몸같이 귀히 여기라’는 말은 무언인가.
吾所以有大患者
내가 큰 어려움을 가지게 되는 까닭은
爲吾有身
몸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及吾無身
내게 몸이 없다면
吾有何患
내게 무슨 근심이 있겠는가.
故貴以身爲天下
그러므로 몸과 같이 천하를 귀히 여기면
若可寄天下
그에게 천하를 맡을 수 있다. *寄 : 맡기다, 의지하다.
愛以身爲天下
몸과 같이 천하를 사랑한다면
若可託天下
그에게 천하를 맡길 수 있다.
개인적으로 13장은 여러모로 도덕경답지 않아서, 후대의 주석이 삽입된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일단 전제와 귀결의 연결이 긴밀하지가 못합니다.
큰 어려움은 몸과 같다 ->
몸이 없으면 어려움도 없다 ->
어려움을 몸과 같이 여겨라 ->
큰 어려움을 몸과 같이 여기는 자는 천하를 맡길 수 있다.
어려움이 몸과 같은 이유가, 몸이 없으면 어려움도 없기 때문이라는데, 이는 동일성과 인과성을 헛갈리고 있는 듯 여겨집니다. 한자원문의 해석이 잘못된 것일수도 있지만, 오류는 여기서 그치지 않고, '그러니 몸과 어려움을 같이 여겨라. 같이 여기는 자가 천하를 맡을 만하다.'라는 문장으로, 당위성까지 연결시킨데다가 마지막으로는 정치적 사회적 가치로 끝냅니다. 마지막 문장 자체가 도가적이지도 않지만, 문장 완성도로만 봐도 흐름이 조악합니다. 천하를 맡을만한 인재가 사랑과 믿음을 두려워해야 한다는 것까지 포함하고 있지 않아서 13장 전체의 통일성도 부족합니다. 그저 계명과 그에 대한 해석같은 느낌입니다.
도덕경에서, ~하라, ~하라는 말은 무엇인가. 라는 자기주석을 다는 경전을 설명하는 듯한 구조를 처음 보이는 것도 위화감을 느끼게 하죠.,
사랑과 미움이 두려움으로 본질이 같은 것임을 아는 것,
고난이 내 몸과 같은 것처럼 생각해야 하는 것,
그 문장의 의미에는 동의를 못하지는 않지만, 도덕경에서 보기에는, 조금 아쉽네요.
[출처]|작성자 무어
'마스터와 가르침 > 노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자 도덕경 15장 (0) | 2020.01.08 |
---|---|
노자 도덕경 14장 (0) | 2020.01.08 |
노자 도덕경 12장 (0) | 2020.01.08 |
노자 도덕경 11장 (0) | 2020.01.08 |
노자 도덕경 10장 (0) | 2020.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