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배움과 깨달음/역사와 철학 (165)
숨터학당(學堂)-진리를 깨달아 자유를....나는 나다.
칼럼 장계황 칼럼 [칼럼] ‘조선책략’과 한반도 운명 2020년 11월 30일 09시 54분 입력 [시사타임즈 = 장계황 박사] 지리적 환경의 영향으로 구성된 역사는 순환구조를 가진다. 다시 말해 지리적 특성에 의한 주변국과의 상관관계에서 역사는 반복된다는 것이다. 지금 한반도의 형세는 140년 전 한반도의 형세와 너무 비슷하다. 한반도를 둘러 싼 미, 일, 중, 러의 관계가 예나 지금이나 같은 양상을 띠고 있는데 해법은 역시 역사에서 찾아야 한다. 우리는 늘 지정학적 관계를 말하는데 지정학이란 지리학에 정치가 개입되는 현상을 말한다. ▲영토학자 장계황 박사 (한국역사영토재단 이사장) (c)시사타임즈 ‘조선책략’ 말하는 한반도 ‘조선책략’은 청나라 외교관 황준헌이 쓴 책으로 호는 인경려주인(人境廬主人)이..
우담서숙(책 소개) 포로로 잡혀간 고구려 유민의 역사를 더듬는 ⌜1,300년 디아스포라, 고구려 유민⌟ - 김인희 저_ 포로로 잡혀간 고구려 유민의 역사를 더듬는 ⌜1,300년 디아스포라, 고구려 유민⌟ - 김인희 저_ ⌜1,300년 디아스포라, 고구려 유민⌟을 오래 전에 읽었다. 중국에서 머무는 동안에 조선족을 비롯한 소수민족에 대하여 눈이 떠졌기로 최근에 다시 읽었다. 처음 읽을 때도 가슴이 아릿아릿 아팠지만 지금도 여전히 아프다. 우리는 668년 고구려가 신라와 당나라 연합군에 의해 망했다는 사실을 알지만 포로로 잡혀간 유민들에 대해서는 아는 바가 없다. 기록도 거의 없지만, 이를 우리 역사의 아픔으로 받아들이고 배우고 익혀 교훈 삼으려는 의지도 없고 연구자도 없기 때문이다. 중국은 고구려가 망한 ..
독립운동사(시대와 사람) 노론, 친일 매국노와 부일민족반역자 그리고 대한민국 극우∙보수파 노론, 친일 매국노와 부일민족반역자 그리고 대한민국 극우∙보수파 100년 후 역사가들이 20세기 한반도 중심의 우리 역사를 조선, 일본제국주의 식민지시대, 남북분단의 시대로 정리할 것이다. 남북분단의 시대는 남쪽의 대한민국과 북쪽의 조선이 대립한 시기로 기록될 것이나 나는 대한민국을 ‘포스트 조선’으로 생각한다. 아직도 한국사회는 성리학적 이념에 지배되고 있고, 계급의식과 양반의 기득권으로 그 사회를 주도하며 정권을 장악하였던 노론 후손들의 이합집산과 작당으로 나라가 흔들리기 때문이다. 조선을 멸망으로 이끈 노론의 세력이 일본제국주의 시대에는 친일 매국노와 부일배로 변신하고 대한민국에서는 반공과 친미, 극우∙보수파로..

원불교 배경[편집]강화도조약 이후 개항이 이루어지면서 조선은 각종 새로운 사상과 종교의 활동이 두드러졌다. 불교계 내에서도 불교의 혁신과 근대화에 대한 요구가 있었고, 개신교의 선교 활동, 동학이나 증산교와 같은 신흥 종교의 전파 등으로 새로운 사상과 종교가 우후 죽순처럼 생겨나던 때였다. 원불교의 개조인 박중빈 역시 이러한 시대에 여러 종교를 접하고 새로운 종교를 열게 되었다.[4] 창시[편집] 박중빈 문서도 참고하십시오.원불교의 역사는 1916년 교조(敎祖)인 소태산(少太山) 대종사(大宗師) 박중빈의 대각(大覺)으로부터 시작된다. 그는 개교(開敎)의 동기를 "물질이 개벽(開闢)되니 정신을 개벽하자"로 요약해서 표현했다. 이는 정신 문명의 주체성을 확립해서 물질문명을 올바른 방향으로 활용하여 정신문명과..

무( 無 ) 철학 무(無)는 일반적으로 아무것도 없는 상태를 가리키며, 이는 철학, 물리학 등에서 여러 가지 의미로 받아들여진다. 어떠한 것이 '있다'고 말을 하기 위해서는 인간의 인식 능력을 통한 판단이 필요하다. 여기의 판단이란 분별인데 분별이란 다른 것과 구분하여 가르는 것이다. 유(有)에 대한 판단을 내리려면 유와 구분하여 가를 수 있는 반대 항이 필요하다. 이것이 없음, 무(無)이다. 무(無)는 이렇게 유(有)를 끌어 들여와야 설명이 가능한, 유와는 상대적인 개념이다. 무와 유는 서로 관련 없이 독자적으로 성립할 수 없다. 무(無), 없음은 두 가지 차원에서 살펴볼 수 있다. 하나는 있음, 존재 그 자체와 관련되어 있는 무로서 살피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현상 속의 실재와 관련하여 살피는 것이다...

《 성서에 있는 신들의 비행물체의 진실을 밝힌다 》 = 성서에 있는 신들의 비행물체는 UFO이다 = 성서는 신들의 생명창조에 의한 인류의 기원, 신과 인간의 관계, 신의 보호에 의한 국가창건 과정, 민족간의 전쟁에 개입하는 신들의 모습, 인간에 대한 신들의 지도와 훈육 및 간섭 등 고대역사뿐 아니라 인류문명의 발전과 미래에 대한 예고도 포함되어 있으므로 역사서 겸 미래예측서라고도 할 수 있다. 성서, 특히 구약성서에서 신의 모습에 대한 묘사는 신들이 타고 있는 비행물체를 당시 사람들이 목격하고 표현한 것을 중심으로 하고 있으며, 에스겔서 등의 기록에서 보듯 고대인들은 신들의 비행물체를 신과 동일하게 숭배했다. 고대인들이 목격한 것은 오늘날 우리가 UFO라 부르는 것들이었으며, 그들은 당시의 이해수준에 맞..
종교의 진리를 찾아서 수천년동안 100여명에 이르는 예언자들을 집대성한 방대한 자료의 세계로 초대합니다.10년을 연구해 작성한 최고의 글! 예언의 비밀을 밝힌다.모든 예언에는 4가지의 공통점은 무엇일까요? 두차례 세계대전, 시작과 끝은 한반도 관리자 2017-09-03 20:59:55 │ 조회 1510 190..
11. 새로운 율법 새로운 율법 그리고 야훼는 말했다. “당신을 따르기를 원하는 사람들은 내가 지금부터 당신에게 주는 율법을 지켜야 합니다. ‘당신은 적어도 생애에 한 번은 최고가이드 앞에 나가야 한다. 최고가이드나 인정된 가이드가 손을 당신의 이마에 댐으로써 당신의 세포설계..
제3권 우주인을 맞이하자 Book Three : Let’s Welcome The Extra-Terrestrials 1 가장 빈번하게 제기되는 질문들 첫 번째 메시지와 두 번째 메시지 사이에서의 외견상 모순점 295 엘로힘의 창조작업연대 299 이스라엘 민족과 유태인 301 라엘리안 무브먼트와 돈 302 시간과 공간 속에 일정불변한 것은 아무..
UFO를 은폐하는 4가지 이유 여러분이 익히 들어 알고 있는 UFO는 Unidentified Flying Object의 약자로서 ‘확인되지 않은 비행물체’ 란 뜻이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보통 ‘우주인(외계인)들이 타고 오는 것으로 추정되는 비행물체’를 통칭하는 말로 쓰인다. 이 UFO는 지구 밖 세계(외계)나 지구 ..
지 적 설 계 설계자들로부터의 메시지 라 엘 Copyright©The Raelian Foundation 2005 이 책은 국제 라엘리안 무브먼트를 통해 저자와 한국어판 번역에 대한 계약을 체결하고 완역 출간한 것이다. 이 책의 어떠한 부분도 재출판되거나 검색시스템에 저장되어서는 안 되며, 판권소유자 또는 저작권소..
[문선명 총재 사상 탐구]① 세계사적 의미 동서양 문명의 융합 통한 '통합적 세계관' 제시 '21세기 르네상스 한반도서 주도' 메시지 던져 서양의 근세는 르네상스와 더불어 시작된다. 르네상스는 고대문명의 부활을 뜻한다. 르네상스는 지리상의 발견시대가 이끌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
[문선명 총재 사상 탐구]② 한국사적 의미 관련이슈문선명 천지인참부모 천주성화(天宙聖和) 입력 : 2012-09-16 16:39:24 수정 : 2012-09-16 16:39:24 인쇄 메일 글씨 크기 선택 가장 작은 크기 글자 한 단계 작은 크기 글자 기본 크기 글자 한 단계 큰 크기 글자 가장 큰 크기 글자 하늘 자손 믿음 가진..
본성 本性,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관련문헌 맹자 관련철학자 맹자 본성(性)은 마음(心)과 태어남(生)의 두 자가 합성되어 이루어진 글자로, 글자 뜻 그대로는 ‘태어나면서 갖춘 마음'이라는 의미이다. 그런데 맹자는 동물은 갖지 못하고 인간만이 가진 특징을 인간의 본성으로 규정..
아렌트의 ‘정신의 삶’(vita contemplativa)과 양명의 ‘치량지’(致良知) (2) 한나 아렌트의 탄생성(natality)의 교육학과 왕양명의 치량지(致良知) (4) 이은선 명예교수(한국 信연구소, 세종대) | 승인 2019.07.24 19:29 아렌트의 ‘판단력’(judging)과 양명의 ‘양지’(良知) 지난 편에서 아렌트와 양..
종교. 선한 신이 창조한 세상에 왜 악이 존재하는가? 종교의 본질에 관한 24가지 질문 / 게르하르트 지음 종교. 선한 신이 창조한 세상에 왜 악이 존재하는가? 종교의 본질에 관한 24가지 질문 / 게르하르트 지음. 이화북스. 신이 존재하지 않거나 무능하거나 선과 악이 싸우는 악취미를 가..
중용(中庸) : 중용장구서(주자) 천명지위성 솔성지위도 수도지위교 天命之謂性 率性之謂道 修道之謂敎 하늘이 명한 것을 성(性)이라 하고, 성(性)에 따르는 것을 도(道)라 하고, 도(道)를 닦는 것을 교(敎)라 한다.
심즉리 (心卽理) 철학사전 마음이 곧 이치이다라는 의미로서 양명학(陽明學)의 중요한 명제의 하나. 성리학(性理學)에서는 심(心)과 성(性)의 개념을 명확하게 구분하고, 성즉리(性卽理)의 명제를 세워 심(心)은 이(理)가 아니라고 하였다. 여기에 대해 육구연(陸九淵)과 왕수인(王守仁)의 ..
절대지식 중국고전 전습록 (傳習錄) 왕수인 요약 1518~1556년에 편찬되었다. 왕수인[왕양명(王陽明)]의 어록과 서간을 모은 책으로, 양명학의 정수가 담겨 있다. ‘전습(傳習)’이란 『논어』 「학이편(學而篇)」에 나오는 증자(曾子)의 말 ‘전불습호(傳不習乎)’(전수받은 것을 익히지 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