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마스터와 가르침 (1207)
숨터학당(學堂)-진리를 깨달아 자유를....나는 나다.
a:link{text-decoration:none !important; color:#444;} a:hover{text-decoration:none !important; color:#444;} /*책속에서*/ .prod_sentence_list { clear:both; padding:10px 0; margin: 0; } .prod_sentence_list ul { padding:0; margin:0;} .prod_sentence_list ul li { list-style:none; position:relative; padding:0 0 15px 0; margin:0; } .prod_sentence_list ul li .Lpage { position:absol..
a:link{text-decoration:none !important; color:#444;} a:hover{text-decoration:none !important; color:#444;} /*책속에서*/ .prod_sentence_list { clear:both; padding:10px 0; margin: 0; } .prod_sentence_list ul { padding:0; margin:0;} .prod_sentence_list ul li { list-style:none; position:relative; padding:0 0 15px 0; margin:0; } .prod_sentence_list ul li .Lpage { position:absol..
1996년 봄부터 1998년 가을까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교회 연경반(硏經班)에서 행한 주역 강의를 책으로 엮은 것이다. 강의교재는 (명문당)을 사용하였다. 에는 저자의 서문을 비롯하여 ‘주역이란 무엇인가’라는 서론이 있으며 제1괘 건위천(乾爲天)에서 제30괘 리위화(離爲火)까지 수록되어 있다. 각 괘마다 저자의 고유한 사상을 읽을 수 있는 부제가 붙어 있다. 부제에 나타나 있듯이 저자는 유불선의 종교사상과 기독교 사상 및 동서양의 철학 사상을 통해 주역에 대한 현실성 있는 해석을 전개해 나간다. 는 31괘 택산함(澤山咸)에서 시작하여 64괘 화수미제(火水未濟)에서 끝난다. 1권에서와 마찬가지로 각 괘마다 저자 고유의 사상을 읽게 하는 부제가 붙여져 ..
a:link{text-decoration:none !important; color:#444;} a:hover{text-decoration:none !important; color:#444;} /*책속에서*/ .prod_sentence_list { clear:both; padding:10px 0; margin: 0; } .prod_sentence_list ul { padding:0; margin:0;} .prod_sentence_list ul li { list-style:none; position:relative; padding:0 0 15px 0; margin:0; } .prod_sentence_list ul li .Lpage { position:absol..
하나님 나라가 땅에서도 이루어지이다 l 김흥호 사상 전집 '기독교 설교집' 3 머리말 4 제1부 1980년 설교 세례요한 12 누가 3:7~17 아베마리아 22 누가 1:46~56 예수의 탄생 32 누가 2:1~20 제2부 1981년 설교 율법의 완성 46 마태 5:17 권리의 포기 59 마태 6:5~15 제3부 1982년 설교 새해 예배 74 요한 4:21~26 ..
빛 힘 숨 5 머리말 요한복음 강해 서문 제16장 성부, 성자, 성령 65. 보혜사 성령(요한 16:5~15) 66. 예수의 차원(요한 16:16~24) 67. 한국 사람이 할 일(요한 5:17, 6:29, 16:9) 68. 예수의 일(요한 16:25~33) 제17장 기도 69. 지행합일(요한 17:1~5) 70. 깨끗(요한 17:6~19) 71. 사실과 진실(요한 17:20~26) 제18장 신앙 72...
빛 힘 숨 4 머리말 요한복음 강해 서문 제12장 나알알나 48. 죽음에의 존재(요한 12:1~11) 49. 진리의 왕(요한 12:12~19) 50. 밀알 철학(요한 12:20~28) 51. 빛의 아들(요한 12:29~36) 52. 나알알나(요한 12:37~50) 제13장 새 계명 53. 구족제자具足弟子(요한 13:1~20) 54. 서로 사랑하라(요한 13:21~38) 제14장 기독교의..
빛 힘 숨 3 머리말 요한복음 강해 서문 제8장 진리란 무엇인가 31. 진리란 무엇인가(요한 8:30~32) 32. 진리와 자유(요한 8:30~36) 33. 하나님: 근거根據의 근거根據(요한 8:37~47) 34. 예수님: 하나님을 나타내는 사람(요한 8:48~59) 제9장 하나님께서 하시는 일 35. 하나님께서 하시는 일(요한 9:1~7) 36. 안..
빛 힘 숨 2 머리말 요한복음 강해 서문 제5장 깨달음(견성見性) 17. ‘본다’는 것: 견성見性의 필요성(요한 5:16~30) 18.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것(요한 5:31~47) 제6장 영생永生 19. 하늘의 문제(요한 6:1~15) 20. 자유의 체득(요한 6:16~21) 21. 예수를 찾는 이유(요한 6:22~59) 22. 속죄와 부활(요한 6:60~71) ..
빛 힘 숨 1 빛 힘 숨 김흥호 사상전집 성경강해’ 요한복음 강해 편. 저자는 십자가를 통해서 빛이 되고, 부활을 통해서 힘이 되고, 승천을 통해 숨(생명)을 얻는다고 한다. 그것을 “빛-십자가-본질직관, 힘-부활-근본경험, 숨-승천-인간구원”이란 등식으로 풀어간다. 저자는 요한복음이 ..
다석 강의저자 류영모, 다석학회 저자소개류영모 다석 류영모는 불경, 성경, 동양철학, 서양철학에 두루 능통했던 대석학이자 평생 동안 진리를 좇은 우리나라의 큰 사상가였다. 그는 우리 말과 글로써 철학을 한 최초의 사상가였으며, 불교, 노장 사상, 공자와 맹자 등을 두루 탐구하고 ..
이 사람을 보라! - 물소리 오강남의 류영모 이야기 2018.12.14. 13:11 닫기 이 사람을 보라! 한국이 낳은 특출한 종교 사상가 류영모 “우리는 모름지기 이 신격의 나인 얼나를 참나로 깨달아야 합니다. 삼독(탐·진·치)의 제나를 쫓아버리고 얼나를 깨달아야 합니다.” 그의 삶 함석헌의 스승..
종교를 넘어서 [이 사람의 삶] 다석 유영모 선생의 하나뿐인 제자 박영호 [이 사람의 삶] 2005 년 07 월 01 일 (통권 550 호) 신동아 글: 김서령 자유기고가 다석 유영모 선생의 하나뿐인 제자 박영호 “김용옥이 하버드 나온 걸 자랑하지만, 나는 똥 푸며 진리 깨쳤소” 오직 땀 흘리고 농사지..
[공유] 다석 유영모를 다시 본다 ...........(중앙일보) 당포 다석 유영모를 다시 본다 1. 다석과 제자들 다석(多夕) 유영모(柳永模, 1890~1981)는 인도의 간디와 견줄만한 `큰 사상가` 로 평가 받는다. 그러나 평생 나서기를 꺼려하며 수도(修道)와 교육에만 힘쓴 `은둔자` 로 산 탓에 그의 사상은 ..
아흔살 김흥호 목사에게 듣다 [중앙일보] 당포 폐암과 싸우며 ‘시편’ 강의, 아흔살 김흥호 목사에게 듣다 <상> 21일 오전 9시 서울 대현동 이화여대의 대학교회 연경반(硏經班) 강의실. 올해 구순인 김흥호 목사의 ‘일요강연-시편’을 듣기 위해 150여 명이 자리를 꽉 메웠다. 청중 ..
생각없는 생각(김흥호) 당포 생각없는 생각 저자 : 김흥호 목사 김흥호 다석 유영모 선생의 제자이다. 위당 정인보 선생과 춘원 이광수 선생으로부터 다석 선생을 소개받고 다석선생께서 세상을 뜨기까지 30년 이상 다석 선생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919년에 기독교 집안에서 출생하였으..
늙은 유영모 선생님 당포 제소리 - 다석 류영모 강의록 김흥호, 솔출판사, 2001 내가 유선생님을 처음 뵌 것은 서울역전 기독교청년회 총무 현동완씨 댁에서 모인다는 일요집회에서였다. 나는 그때 정인보 선생이 주관하는 국민대학에서 철학개론을 강의하고 있었다. 그때 국학대학에는 ..
다석 선생의 수제자 김흥호 전 이화여대 교수 당포 기독교·儒·佛·禪에 두루 밝았던 철학자들의 스승 기독교와 유(儒)·불(佛)·선(禪)에 두루 밝아 '철학자들의 스승'으로 불렸던 현재(鉉齋) 김흥호(金興浩·93) 전 이화여대 교수가 5일 오전 7시 28분 별세했다. 김 교수는 개신교 사상가..
성경을 문자로 공부하는 성서문자주의의 병폐 당포 “저가 또 우리로 새 언약의 일군 되기에 만족케 하셨으니 의문으로 하지 아니하고 오직 영으로 함이니 의문(儀文)은 죽이는 것이요 영은 살리는 것임이니라”(고후 3:6) 혹시 아직도 의문(儀文)을 의문(疑文)이라고 읽고 있는 분이 있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