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터학당(學堂)-진리를 깨달아 자유를....나는 나다.
빛 힘 숨 5 본문
빛 힘 숨 5
머리말
요한복음 강해 서문
제16장 성부, 성자, 성령
65. 보혜사 성령(요한 16:5~15)
66. 예수의 차원(요한 16:16~24)
67. 한국 사람이 할 일(요한 5:17, 6:29, 16:9)
68. 예수의 일(요한 16:25~33)
제17장 기도
69. 지행합일(요한 17:1~5)
70. 깨끗(요한 17:6~19)
71. 사실과 진실(요한 17:20~26)
제18장 신앙
72. 예수의 신앙(요한 18:1~11)
73. 예배(요한 18:12~27)
74. 하나님 나라(요한 18:28~40)
제19장 십자가
75. 하나님의 형상(요한 19:1~16)
76. 십자가의 고난(요한 19:17~27)
77. 사랑과 정의(요한 19:28~42)
제20장 부활
78. 사랑의 신비(요한 20:1~18)
79. 영원한 생명(요한 20:19~31)
제21장 교회
80. 교회란 무엇인가(요한 21:1~14)
81. 내 양을 먹이라(요한 21:15~25)
부록 1 요한복음의 목적
후기
부록 2 차례(제1~4권)
찾아보기
* 언제나 났다가 죽는 것이 아니고, 왔다가 간다. 났다가 죽는 것은 자연이고, 왔다가 가는 것이 인생이다. 우리는 자연이 아니고 인생이다. ( p.86-7)
* 일은 돈 안 받는다. 그러나 노동이라고 하는 것은 돈을 받는다....
예수는 절대 돈을 안 받았다. 예수는 일하는 사람이다....
일은 자기가 만드는 것이고, 노동은 남이 시키는 것이다....
진리를 탐구한다, 이것은 일이다. 이것은 노동이 아니다. 우리가 돈 받고 진리 탐구하나, 그거 아니다. 이건 우리가 자발적으로 하는 거다. 이게 일이다....
후세 사람들에게 주는 것은 일이 영향을 주는 것이지, 노동은 아무 의미가 없다....
사람은 죽기까지 할 일이 있어야지, 할 일이 없어서 파고다 공원에 가서 앉아 있겠다, 이렇게 되면 이건 인생이 비참한 것이다.
그래서 언제나 늙으면 한가하다 생각하는데, 늙으면 절대 한가하지 않다. 더 바쁘다. 왜? 시간이 얼마 없으니까 할 일이 자꾸 많아진다. 더 바쁜 것이다....
늙어지면 더 바빠져야 한다. 할 일이 더 많아서, 그렇게 살아야 사는 것이다. 그렇게 살아야 나는 왔다가 간다, 이렇게 되지, ( p.89,92-4)
예수는 절대 돈을 안 받았다. 예수는 일하는 사람이다....
일은 자기가 만드는 것이고, 노동은 남이 시키는 것이다....
진리를 탐구한다, 이것은 일이다. 이것은 노동이 아니다. 우리가 돈 받고 진리 탐구하나, 그거 아니다. 이건 우리가 자발적으로 하는 거다. 이게 일이다....
후세 사람들에게 주는 것은 일이 영향을 주는 것이지, 노동은 아무 의미가 없다....
사람은 죽기까지 할 일이 있어야지, 할 일이 없어서 파고다 공원에 가서 앉아 있겠다, 이렇게 되면 이건 인생이 비참한 것이다.
그래서 언제나 늙으면 한가하다 생각하는데, 늙으면 절대 한가하지 않다. 더 바쁘다. 왜? 시간이 얼마 없으니까 할 일이 자꾸 많아진다. 더 바쁜 것이다....
늙어지면 더 바빠져야 한다. 할 일이 더 많아서, 그렇게 살아야 사는 것이다. 그렇게 살아야 나는 왔다가 간다, 이렇게 되지, ( p.89,92-4)
* 부활이라는 것, 이것은 사실이 아니고 진실이다. (p.135-36)
* 기복신앙은 신앙도 아니다. 욕심이다. 이것이 말하자면 원시종교다. 기독교 하면 고등종교인데, 기복신앙에서 벗어나야 고등종교다. 이걸 벗어나지 못하면 고등종교라고 할 수가 없다. ( p.187)
* 플라톤도 언제나 진리의 나라라고 하는 걸 말했다. 플라톤의 『이상 국가』에 보면 이 세상을 동굴에 비유했다. 동굴의 비유라는 것이 무엇인가 그러면, 사람들이 동굴 속에 들어가서 벽만 바라보고 있는데, 사람들은 꼼짝 못하고 묶여있다. 꼭 동굴 안쪽만 보고 있다. 거기에는 밖에서 지나다니는 사람들의 모습들이 비친다. 그렇지만 사람들은 절대 밖의 세계로 나갈 수는 없다. 그래서 밖의 세계라고 하는 것, 이것이 진리의 세계이고, 동굴 속의 세계, 거기는 가상假像의 세계다. 플라톤은 그렇게 설명을 한다. 그래서 밖에 나갔던 사람이 들어와서 말해도 그 안에 있는 사람들은 절대 믿지 않는다. 안에 있는 사람은 안에서 그 세계만 알고 있지 밖에 있는 세상은 모른다. 결국은 밖에 있는 사람은 안에 있는 사람과는 전혀 다른, 그런 세계다.
그러니까 우리가 이 세상에 살 때 우리는 하나님의 세계, 그런 데에 대해선 전혀 관심도 없지만 알 수도 없는 세계다. 그래서 플라톤 같은 사람은, 그 하나님의 나라에, 밖에 나갔다 들어온 사람이 소크라테스다, 플라톤 얘기는 그것이다. 밖에 나갔다 온 사람이 소크라테스다. 그런데 소크라테스가 아무리 밖에 나가서 보고 온 말을 해도 사람들은 믿지 않고 그 사람을 죽이고 말았다. 그게 소크라테스의 죽음이다.
기독교도 그 얘기나 비슷하다. 기독교에서 하나님 나라에 갔다 온 사람이 예수님인데, 예수님이 아무리 하나님 나라 말을 해도 사람들이 그만 예수님을 죽이고 말았다. 그런 점에 있어서는 소크라테스의 말과 기독교의 말이 비슷하다. 그 사람이 하나님의 나라라고 하는 것, 그것이 진짜고, 이 세상이라고 하는 것은 가짜다. 이것이 플라톤의 생각인데. 우리는 아무리 생각해도 이 세상이 진짜고, 하나님의 나라라는 것은 가짜고, 그렇게 생각이 된다. 하나님이 있다는 것부터가 도저히 믿어지지 않고, 느껴지지도 않고, 그렇잖은가....
또 낮의 세계하고 밤의 세계하고. 낮의 세계에만 사는 사람은 밤의 세계를 전혀 모른다. 여름에만 사는 곤충들은 겨울이라는 세계를 전혀 모르는 것이다. 전혀 모르는 세계, 그 세계가 열리고, 하나님 나라도 그렇다. 이것은 전혀 모르는 세계, 느낄 수도 없는, 그런 세계가 하나님의 나라라는 것이다. 진리의 왕국이다. 그런 세계에 대해서 말하면 거짓말이다 해서 다 죽이고 만다. 아주 어려운 것이다. ( p.196-98)
그러니까 우리가 이 세상에 살 때 우리는 하나님의 세계, 그런 데에 대해선 전혀 관심도 없지만 알 수도 없는 세계다. 그래서 플라톤 같은 사람은, 그 하나님의 나라에, 밖에 나갔다 들어온 사람이 소크라테스다, 플라톤 얘기는 그것이다. 밖에 나갔다 온 사람이 소크라테스다. 그런데 소크라테스가 아무리 밖에 나가서 보고 온 말을 해도 사람들은 믿지 않고 그 사람을 죽이고 말았다. 그게 소크라테스의 죽음이다.
기독교도 그 얘기나 비슷하다. 기독교에서 하나님 나라에 갔다 온 사람이 예수님인데, 예수님이 아무리 하나님 나라 말을 해도 사람들이 그만 예수님을 죽이고 말았다. 그런 점에 있어서는 소크라테스의 말과 기독교의 말이 비슷하다. 그 사람이 하나님의 나라라고 하는 것, 그것이 진짜고, 이 세상이라고 하는 것은 가짜다. 이것이 플라톤의 생각인데. 우리는 아무리 생각해도 이 세상이 진짜고, 하나님의 나라라는 것은 가짜고, 그렇게 생각이 된다. 하나님이 있다는 것부터가 도저히 믿어지지 않고, 느껴지지도 않고, 그렇잖은가....
또 낮의 세계하고 밤의 세계하고. 낮의 세계에만 사는 사람은 밤의 세계를 전혀 모른다. 여름에만 사는 곤충들은 겨울이라는 세계를 전혀 모르는 것이다. 전혀 모르는 세계, 그 세계가 열리고, 하나님 나라도 그렇다. 이것은 전혀 모르는 세계, 느낄 수도 없는, 그런 세계가 하나님의 나라라는 것이다. 진리의 왕국이다. 그런 세계에 대해서 말하면 거짓말이다 해서 다 죽이고 만다. 아주 어려운 것이다. ( p.196-98)
'마스터와 가르침 > 다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흥호 선생의 <노자 · 노자익 강해> (0) | 2019.03.02 |
---|---|
하나님 나라가 땅에서도 이루어지이다 l 김흥호 사상 전집 '기독교 설교집' 3 (0) | 2019.03.02 |
빛 힘 숨 4 (0) | 2019.03.02 |
빛 힘 숨 3 (0) | 2019.03.02 |
빛 힘 숨 2 (0) | 2019.03.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