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기도 (63)
숨터학당(學堂)-진리를 깨달아 자유를....나는 나다.
다석어록-유교도 계시 다 받아 ▶정성 성(誠)은 말씀(言)이 이루어지(成)다는 글자이다. 말씀이 이루 어지고 예언이 이루어진 것이 그리스도라고 한다. 그리스도를 통해서 하느님에게 도달한 것이 기독교이지만 유교에서는 말씀을 이룬 지행일 치 (知行-致)의 사람을 성인(聖人)이라고 한..
다석어록- 불교도 진리의 말씀 ▶세상에 머물러 묵는(住)다는 것은 실상은 몸둥이만 묵는 것이지 참 나가 묵는 것이 아니다. 묵(住)는 것은 묶(束)이는 것이다. 몸이 묶이 지 참나는 자유다. 참나(얼나)에는 묵는다는 것은 없다. 상대적 존재인 몸이 묵지 절대 존재인 참나(얼나)는 묵는 일..
불교경전 요약 법화경(法華經) 목차펼치기 이 경은 기원 전후에 진보적이면서도 믿음이 두터운 대승의 불교도들에 의해 성립되기 시작하여 여러 차례에 걸쳐 증보되었는데, 예로부터 ‘대승경전의 꽃’ 또는 ‘모든 경전 중의 왕’이라 한다. 《법화경》은 전반부와 후반부로 나눌 수 ..
다석어록- 기독교가 바로 되어야 ▶ 동야자이야(同也者異也)는 같은 것이란 다른 것이란 뜻이다. 그러 므로 함부로 이단이라고 헤프게 불러서는 안 된다. 자기하고 다른 것이 이단이라면 자기 자체 속에도 다른 것이 좀 많겠는가? 그렇다면 죄다 가 이단일 것이다. 나 아니고서는 모두가 ..
다석어록- 평화를 이루자면 ▶ 인생의 평안을 생평(生平)이라 한다. 사람들은 생평을 보자고 평생 을 떠든다. 이 사람뿐만이 아니라 모든 사람 죄다가 이 말을 한다. 인 생의 생평, 인류의 평화는 전 인류가 두고두고 말하며 내려왔다. 꼭 무 슨 권력이나 재물을 얻어서 생평하겠다는 것이 ..
다석어록- 땀 흘려 농사해야 ▶ 돈을 모으면 자유가 있는 줄 아나 그것은 어리석은 생각이다. 영업 이나 경영이 자기 몸뚱이만을 위한 것이라면 그것은 서로의 평등을 좀 먹는다. 경영을 하게 되면 이익을 추구하게 되고 그렇게 되면 평생 동 안 모으려고만 하게 될 것이니 자유평등이 있..
다석어록- 공산주의는 않 돼 ▶ 『마르크스와 예수라는 책이 있다고 한다. 여기 무엇이 공통되는 것 이 있을 것이다. 예수의 이름을 부르는 사람들이 하느님께서 일러 주신 말씀 그대로 하면 공산주의가 어디 있겠는가? 결코 공산주의가 나올 수 없을 것이다. 불교사상이 원형대로 빈틈없..
다석어록 -나라 다스림(政治) ▶ 우리가 역사를 보면 임금이라는 것이 있어서 세상 사람들을 깔고 앉 아 충성을 바라고 있었는데 지금 생각하여 보면 참으로 우스운 일이다. 사람이 사람 위에 서 있는 것이 우스운 일이 아닌가? 그 뒤로 민주정 치가 발달되어 지금은 밝아진 세상이다. 사..
다석어록- 참 삶이란(眞善美) ▶증자(曾子)가 하루에 세 가지로 나 자신을 살핀다. (一日三省吾身) 는 것은 몸만을 살핀다는 것이 아니라 그 몸 속에 있는 정신을 살핀다 는 것이 될 것이다. 유교에서는 몸이라 할 때 우리가 가족을 집이라고 하는 것과 같이 정신을 가리킨다. 정신을 살핀..
다석어록- 올(理)을 타야(과학) ▶대낮처럼 밝은 게 한없이 좋긴 하지만 그 대신 잊어버리는 것이 많 게 된다. 더구나 굉장한 것을 잊게 되는 경우가 있다. 그건 다름이 아 니라 얼의 삶과 맘의 삶을 잊어버리게 된다. 사람들은 낮을 좋아하고 밤을 쉬는 줄 알고 있기 때문에 밤중에 저 깜박..
다석어록- 몸성히(건강) ▶먹는 것은 끄니 (끊이)로 먹어야 한다. 한참 끊었다가 먹으라고 끄니 또는 끼니라고 한다. 그런데 사람들이 줄곧 이어서 달아 먹으려는 것은 잘못이다. 먹음에 실컷 먹겠다는 생각을 버린 사람은 일부러 금식도 하 고 단식도 한다. 먹을 것이 모자라서 먹기를 끊..
다석어록- 가르침(교육) ▶좋은 것이라고 반드시 좋은 것이 아니고 싫은 것이라고 끝까지 싫은 것이 아니다. 싫은 것 중에도 좋아지는 조건이 있고 좋은 것 중에도 싫 어지는 조건이 있다. 좋고 싫고는 상대적이다. 좋은 것을 만났다가도 이것을 실컷 취하면 곧 싫어지게 된다. 그러니 좋..
다석어록- 얼사랑(仁愛) ▶우리가 만나 이야기하는 것도 감사할 일이다. 우리가 하루 품을 내 는데는 우리를 대신해서 우리 집안 식구의 수고가 있다. 우리가 오늘 이때까지 건강하게 살아온 까닭은 우리들보다 더 괴로움을 당하면서 우리를 살리기 위해 애쓴 앞서 간 사람들의 은혜 때문..
다석어록- 가온찍기 (「·」) ▶ 한글 모음에서 한 금(線)을 내려그은 I로 발음하며 영원한 진리의 생명줄을 뜻한다. 영원한 생명이 시간 속으로 터져 나온 순간이 이 긋 이다. 영원한 생명(얼)이 공간으로 터져 나와 몸을 쓰고 민족의 한 끄 트머리로 이 세상에 터져 나온 것이 '나'라고 하..
다석어록-우주와 신비 ●우주의 신비와 사람의 영성(靈性)은 한없이 깊은 곳에, 한없이 신비 한 곳에 깊숙이 담겨져 있다. 이것이 사람의 본체(本體)이다. (1956) ●하늘과 땅은 한 우주 안에 있다. 사람이 죽으면 땅속으로 들어간다 는 것과 하늘나라로 들어간다는 것과 무엇이 다른가?다 ..
다석어록- 예수그리스도 ●나는 예수 석가를 좋아하고 톨스토이·간디를 좋아한다. 그런데 예 수를 좋아하다 보니 예수의 이름에서 이러한 생각을 얻었다. 예수의 '예'는 여이가 합하여 예가 되었다. 예(玆)는 곧 여기다. '수'는 재주 의 능력이다. 할 수 있느냐의 수가 바로 능력이나 재주..
얼나 (靈 道 法) ● 우리 앞에는 영원한 생명인 얼(성령 정신)줄이 드리워져 있다. 이 우주에는 도(道)라 해도 좋고 법(法)이라 해도 좋은 얼줄이 영원히 드 리워져 있다. 우리는 이 얼줄(하느님)을 버릴 수도 없고 떠날 수도 없 다. 이 한 얼줄을 생각으로 찾아 잡고 좇아 살아야 한다. 이 얼..
다석어록- 생각(思想)하자는 삶 사람이 참된 생각을 하게 되는 것은 하느님이 계시어 이루어진다. 하느님께서 내게 건네 주는 얼(성령)이 참된 거룩한 생각이다. 하느님 께서 건네 주는 얼이 없으면 참된 생각을 얻을 수 없다. 참된 거룩한 생각은 하느님과의 연락에서 이루어진다. 몸의 ..
보도자료 죽음 공부 다석 사상으로 읽는 삶과 죽음의 철학 박영호 지음 / 분야 : 사상, 종교 “나의 말은 죽을 때 필요하고 죽은 뒤에 필요한 말이다. 내 말은 죽음에 관한 말이기 때문이다. 죽음 공부야말로 마지막 공부다.” - 다석 류영모 “죽음 공부가 삶 공부다” 다석 사상으로 통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