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마스터와 가르침/석가 (117)
숨터학당(學堂)-진리를 깨달아 자유를....나는 나다.
Daum백과어학사전 불교의 모든 것 불교경전 요약 반야심경 반야바라밀다심경, 般若心經 본 이름은 《반야바라밀다심경(般若波羅蜜多心經)》이다. 반야(般若)는 프라즈냐(ⓢprajñā)를 소리 나는 대로 적은 것으로 ‘지혜’라는 뜻이고, 바라밀다(波羅蜜多)는 파라미타(ⓢpāramitā)를 소리 나는 대로 적은 것으로 ‘완성’, 심(心)은 흐리다야(ⓢhṛdaya)의 번역으로 ‘심장’ · ‘본질’ · ‘핵심’이라는 뜻이다. 즉, ‘지혜의 완성에 대한 핵심을 설한 경’이라는 뜻이다. 《반야심경(般若心經)》은 공(空)에 입각해서 불(不)과 무(無) 자를 반복 사용하여, 온갖 분별이 끊겨 어디에도 집착하지 않는 지혜의 완성을 설한 경이다. 즉, 온갖 분별이 소멸된 상태에서 설한 ‘깨달음의 찬가’이다. 《반야심경》에서 가..
관세음보살 觀世音菩薩 원불교대사전 무한한 자비의 힘으로 중생의 괴로움을 구제하고 왕생의 길로 인도한다는 불교의 보살. 관세음(觀世音)은 세상의 모든 소리를 살펴본다는 뜻이며, 관자재(觀自在)는 이 세상의 모든 것을 자재롭게 관조(觀照)하여 보살핀다는 뜻으로 관세음보살이나 관자재보살이나 같다. 결국 뜻으로 보면 관세음이나 관자재는 같으며 물론 그 원래의 이름 자체가 하나이다. 관세음은 불경 번역 역사에서 구역(구마라집 역)에서 사용하며 관자재는 신역(현장 역)에서 사용하는 용어이다. 본래 싼스끄리뜨 아바로키테슈바라(Avalokiteśvara)는 자재롭게 보는 이, 관자재자(觀自在者), 자재로운 관찰 등의 의미를 담고 있기 때문에 본래 뜻으로 본다면 관자재가 그 뜻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반야심경 아제아제(揭帝揭帝)의 진정한 뜻 프로필 산수유 "아제아제(揭帝揭帝)" 이 법문 속에는 석가모니부처님께서 반야심경의 모든 뜻을 함축(含蓄)하여 요약해 놓은 최고의 화두(話頭)라 할 수 있는 비밀이 들어있다. 그러면 부처님께서 화두로 말씀하신 아제아제(揭帝揭帝)의 뜻은 무엇일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신 아제아제는 자리(自利)와 이타(利他)를 말씀하고 있다. 즉 앞의 아제는 상구보리(上求菩提)를 하여 자신이 부처가 되라는 말씀이며(자리) 뒤에 아제는 하화중생(下化衆生), 즉 상구보리를 통해서 부처가 된 자들은 고통받고 있는 중생들을 제도하여 부처를 만들라는(이타) 뜻이다. 다시 말하면 아제아제는 먼저 위로 보리심(菩提心)을 구하여 자신의 완성, 즉 자신이 해탈하여 부처가 되라는 것이며(자리), 부처가..
반야심경 반야(般若)의 실체 산수유 반야(般若)의 실체 불교는 종교가 아니라 철학이라 말하기도 합니다. 왜냐하면 종교는 신을 대상으로 삼아 믿음을 키워나가는 것인데 불교는 신을 인정하지 않고 스스로의 노력, 즉 고행과 참선등 여러가지 수행방법으로스스로 깨달아 해탈을 한다고 말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석가모니 부처님이 해탈한 것은 그 어떤 신을 의지하거나 신의 도움을 받지 않고 스스로 깨달아 해탈하여 지혜인 반야를 얻게 되어 부처가 되었다고 주장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렇게 반야를 지혜라고 하며 지혜가 와서 해탈하였다고 말하고 있는것입니다. 그러나 부처님은 반야심경을 통해서 반야는 시대신주(是大神呪), 시대명주(是大明呪), 시무상주(是無上呪)라고 말씀하시면서 신(神)의 존재를 밝히 드러내고 있습니다. ..
반야심경 무아(無我) 산수유 2018. 1. 13. 13:03 무아(無我)의 진정한 뜻은? 거짓된 생각과 탐,진, 치로 인해 더러워진 마음을 깨끗이 씻어 모든 생각과 마음을 진실로 바꾸는 것이다. 사람의 잘못된 생각, 즉 고정관념을 씻는다는 것은 바로 자신의 존재를 버리라는 뜻이며 버린다는 것은 자신을 죽인다는 뜻이다. 바로 진실의 본체이신 부처님의 가르침을 통해 실제 수행(修行)을 하며 살아 갈 때 삶이 변하며 무아가 되고 진아(眞我)가 될 수 있는 것이다. 출처 : 의증서원 '반야심경'
반야심경 오온(五蘊)과 도일체고액(度一切苦厄) 산수유 2016. 6. 19. 23:12 * 오온(五蘊)과 도일체고액(度一切苦厄) 관자재보살(觀自在菩薩) 행심반야바라밀다시(行深般若波羅蜜多時) 조견오온개공(照見五蘊皆空) 도일체고액(度一切苦厄) 부처님께서 반야를 향해 바라밀(육바라밀)을 열심히 정진하실 때에 반야의 도우심(조견)으로 자신이 오온(五蘊)으로 구성되어 있는 무상(無相)한 존재라는 것을 깨닫고 모든 법과 제도의 틀과 고통에서 벗어나 관자재보살이 되신 것을 말씀하셨다. ---------------------------- 부처님이 말씀하시는 오온이란 과연 무엇이며 사람의 어떤 기관들을 말씀하시는 것일까? 오온(五蘊)이란 불교에서만 사용하는 용어로 오온은 인간의 존재가 다섯 부분인 색,수,상,..
사람들이 세상을 살아가면서 괴로움과 고통을 받는 근원적 원인은 모두 탐,진,치(貪,瞋,癡)때문이다. 중생들이 받는 삼재(三災), 즉 수재(水災),화재(火災),풍재(風災)로 인한 불의의 사고나 질병이나 기근과 같은 재앙들은 모두 탐,진,치로 인해 발생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지옥의 고통에서 영원히 벗어나려면 먼저 자신 속에 자리잡고 있는 탐,진,치를 알아야 하는 것이다. ---------------------------------------- 탐(貪)이란 인간내면에 자리 잡고 있는 욕심을 말하는 것이며, 진(瞋)이란 사람들의 성급한 성격, 즉 혈기로 인한 성냄을 말하며 치(癡)란 인간의 어리석음을 말하는 것이다. 이렇게 모든 고통과 괴로움은 탐심(욕심)과 성냄(혈기) 때문에 일어나는 것..

해탈에이르는 길 사성제(四聖諦)-도성제(道聖諦) 반야심경 2017. 6. 5. 17:11 해탈에 이르는 길 사성제(四聖諦)- 도성제(道聖諦) 도성제는 해탈로 가는 길에 가장 중요한 핵심이 되는 부처님의 말씀,즉 진리를 말하고 있다. 도(道)는 '마땅히 지켜야 할 도리, 깊이 깨달은 이치, 깨달음의 길, 해탈의 길,성불의 길 등을 말한다. 진리는 참이며 진실이며 영원한 것으로 부처님께서는 진리 안에 생명이 없다면 진리가 아니라 말씀하신다. 즉 진리는 생명이고, 생명은 곧 진리인 것이다. 그런데 부처님이 말씀하시는 생명은 인간들이 소유하고 있는 혼의 생명이 아니라 반야(般若)의 생명, 즉 시대신(是大神)의 영원한 생명을 말하고 있는 것이다. 이것은 성경 요한복음 1장 1절에 "말씀(진리..

해탈에이르는 길 사성제(四聖諦)- 멸성제(滅聖諦) 반야심경 2017. 5. 31. 0:05 멸성제(滅聖諦) : 집(욕심)을 멸하는 길을 가르쳐주신 성스러운 진리 멸성제란 중생들 안에 자리 잡고 있는 집착심, 즉 욕심을 버리라는 것이다. 그런데 대부분의 중생들이 신앙생활을 욕심을 버리기보다 오히려 욕심을 채우기 위해서 하고 있기 때문에 바른 수행(修行)을 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수행을 올바로 하지 못하는 까닭은 자신의 실체에 대한 무지, 즉 오온(五蘊)이 개공(皆空)한 것, 바로 인생이 무상(無常)한 것을 모르기 때문이다. 부처님의 가르침에 따라 중생들이 자신이 무상(無常)한 존재란 것을 깨닫고 오온(五蘊)에서 벗어나 무아가 된다면 모두 해탈하여 부처가 될 수 있는 것이다. 글/의증서원 '..

해탈에이르는 길 사성제(四聖諦)- 집성제(集聖諦) 반야심경 2017. 5. 26. 23:10 집성제(集聖諦) : 고통(苦)의 근원이 집착(慾心)이라는 것을 가르쳐주는 성스러운 진리 인간들의 번뇌망상은 모두 욕심 때문에 일어나는 것이며 모든 고통도 과욕 때문에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부처님은 인간의 내면에 깊이 자리잡고 있는 인간의 욕심을 집(集)이라 말씀하신 것이다. 불교에서는 탐욕을 셋으로 분류하며 말하고 있다. * 욕애(慾愛) : 심적 정신적 감각의 쾌락에 대한 집착. * 유애(有愛) : 물질의 소유욕에 대한 집착과 갈등. * 무유애(無有愛) : 무소유와 보이지 않는 세계에 대한 집착. 욕심은 어린아이가 이 세상에 태어나면서 자신의 부모로부터 시작이 되는 것이다. 부모들이 세상에서 못다 ..

해탈에 이르는 길 사성제(四聖諦) - 고성제(苦聖諦) 반야심경 2017. 5. 22. 18:38 고성제(苦聖諦) : 고통을 통해 진리로 인도하는 성스러운 진리 인간들의 고통은 무엇 때문에 일어나는 것이며 부처님은 무슨 이유로 사람들이 괴로워하고 싫어하는 고통을 거룩한 진리라 말씀 하셨을까? 인간의 욕심은 자신이 존재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것으로 부처님은 인간의 고통을 자신에 대한 집착(욕심)에 의해나타난다 하신다. 만일 중생들 안에 욕심이 없다면 고통은 발생하지 않는 것이다. 고(苦)는 인간 내면에 자리잡고 있는 욕심, 즉 삼독(三毒)인 탐(貪),진(瞋),치(癡)에 의해서 나타나게 된다. 육적고통과 정신적 고통은 모두 자신의 마음 속에서 일어나는 욕심 때문에 나타나는 것이다. 인간의 잘못된 ..
불경 佛經 요약 테이블성격유형분야 용어 문헌 종교·철학/불교 요약 불교의 교리를 밝혀 놓은 전적을 지칭하는 용어. 개설 경(經)은 범어 수트라(Sutra)를 의역한 말로서, 계경(契經)·정경(正經)·관경(貫經) 등으로도 번역된다. 수트라는 원래 실 또는 끈을 뜻하였는데, 뒤에 자[尺]로 사용하는 끈, 교훈·교리·금언(金言) 등의 뜻으로 통용되었다. 중국에 와서 불변의 진리를 뜻하는 경(經)으로 의역되었다. 좁은 의미에서 볼 때 불경은 부처님, 드물게는 부처님의 제자가 설한 교의(敎義)를 적은 서적을 말한다. 일정한 형식을 갖추어 짧은 것은 수십 단어, 긴 것은 수천 쪽에 이르는 것도 있다. 그러나 넓은 의미에서는 교단(敎團)의 규율을 규정한 율(律)과 철학적 이론을 전개한 논(論), 고승들이 이들 경·율..

두산백과 석가 [ 釋迦 ] 요약 불교를 창시한 인도의 성자(聖者)로 성은 고타마(Gautama:瞿曇) 이름은 싯다르타(Siddhārtha:悉達多)이다. 부처님, 부처, 석가모니, 석가세존, 석존, 세존, 석가, 능인적묵, 여래, 불타, 붓다, 불(佛) 등으로 다양하게 불린다. 이미지 크게보기 석가모니불 원어명출생-사망본명별칭국적활동분야출생지 Śākyamuni BC 563? ~ BC 483? 고타마 싯다르타 석가모니·석가문·능인적묵·석존·부처·붓다·여래·세존 인도 종교 룸비니 목차 출생 출가와 성도 설법 입멸 석가모니(釋迦牟尼)·석가문(釋迦文) 등으로도 음사하며, 능인적묵(能仁寂默)으로 번역된다. 보통 석존(釋尊)·부처님이라고도 존칭한다. 석가는 샤카(샤키야,Sākya)라는 민족의 명칭을 한자로 발음한 것..
반야심경 般若心經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 불교 경전. 개설 대승불교 반야사상(般若思想)의 핵심을 담은 경전이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널리 독송되는 경으로 완전한 명칭은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摩訶般若波羅蜜多心經)’이다. 그 뜻은 ‘지혜의 빛에 의해서 열반의 완성된 경지에 이르는 마음의 경전’으로 풀이할 수 있다. ‘심(心)’은 일반적으로 심장(心臟)으로 번역되는데, 이 경전이 크고 넓은 반야계(般若系) 여러 경전의 정수를 뽑아내어 응축한 것이라는 뜻을 포함하고 있다. 내용 『반야심경』은 수백 년에 걸쳐서 편찬된 반야경전의 중심 사상을 270자로 함축시켜 서술한 경으로 불교의 모든 경전 중 가장 짧은 것에 속하며, 한국불교의 모든 의식(儀式) 때 반드시 독송되고 있다. 『반야심경』의 중심 사상은..

性徹(성철)스님 法言 허당010ㅡ4327ㅡ2481 ・ 2020. 4. 30. 13:51 退翁(퇴옹) 性徹(성철) 스님 法言(법언) 虛堂(허당)이 漢譯(한역) 1.皆衆等勿尤心慮(개중등물우심려) 다들 너무 걱정하지 마라 2.若作心慮卽(약작심려즉) 걱정 할 거면 3.但慮二個(단려이개) 딱 두 가지만 걱정해라 4.只今痛乎不痛乎(지금통호불통호) 지금 아픈가? 안 아픈가? 5.不痛卽勿慮(불통즉물려) 안 아프면 걱정하지 말고 6.痛卽只慮二個(통즉지려이개) 아프면 두 가지만 걱정해라 7.能瘉病乎不能瘉病乎(능유병호불능유병 호) 나을 병인가? 안 나을 병인가? 8.治病卽莫憂(치병즉막우) 나을 병이면 걱정하지 말고 9.不治病卽只憂二個(불치병즉지우이개) 안 나을 병이면 두 가지만 걱정해라 10.將死病乎不死病乎(장사병호..
화엄 華嚴 두산백과 요약 불법(佛法)의 광대무변함을 비유적으로 표현하고 있는 말로 <화엄경>을 주요 경전으로 하는 화엄종의 가르침을 나타낸다. 본문 화엄(華嚴)이란 온갖 꽃으로 장엄하게 장식한다는 뜻의 잡화엄식(雜華嚴飾)에서 나온 말로 대승불교 초기의 주요 경전인 <화..
육바라밀 六波羅蜜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유형 개념용어 정의 보살의 여섯 가지 수행덕목인 보시(布施)·지계(持戒)·인욕(忍辱)·정진(精進)·선정(禪定)·반야바라밀(般若波羅蜜) 을 의미하는 불교교리. 내용 우리 나라 불교에서 가장 중요시하는 보살의 실천행이다. 생사의 고해를 건..
화엄경, 보살의 길을 열다 4년 반에 걸친 “화엄경” 강의 가운데, “화엄경”의 원문을 풀이한 책이다. 보살도의 매뉴얼인 “화엄경”의 저작 의도를 충실히 복원하여, 우리의 중생심을 6바라밀로 잘 경영하면, 누구라도 ‘보살’이 되어 ‘정토’를 현실에서 바로 구현할 수 있다고 해설하고 있다. 목차 들어가며 회향문 대승보살도 선언문 보살의 길, 6바라밀의 실천법 보살의 길, 인간의 길 화엄 10지, 보살이 닦아 가는 길 화엄경의 수행체계 ?능가경?에 나타난 의성신 1. 불법의 근본, 보살의 10단계 2. 환희의 단계, 1지 환희지歡喜地 3. 때를 벗는 단계, 2지 이구지離垢地 4. 지혜의 빛이 샘솟는 단계, 3지 발광지發光地 5. 지혜가 타오르는 단계, 4지 염혜지焰慧地 6. 방편이 갖추어진 단계, 5지 난승..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반야심경) 해석 과 뜻 전문 (상) 무릉도원 2019. 1. 19. 11:52 반야심경(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의 중심사상은 공(空) 입니다 공이란 아무것도 없는 상태라는 뜻에서 시작하여 "물질적인 존재는 서로 관계로써 변화하는 것이므로 현상으로 있어도 실체는 파악할수 없다" ..
반야심경 전문(한글,한문)해설 ●般若心經 原文 과 해석 (반야심경 원문과 해석) 摩訶般若波羅蜜多心經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 觀自在菩薩 行深般若波羅密多時 照見五蘊皆空 度一切苦厄 관자재보살 행심반야바라밀다시 조견오온개공 도일체고액 관세음보살이 큰 지혜로 저 깨달음의 언덕에 이르는 깊은 수행을 하실 때에, 인간을 비롯한 모든 존재를 이루고 있는 다섯 가지 구성요소인 물질적 형상과 느낌, 생각, 의지, 인식작용은 모두 고정된 실체가 없이 텅빈 것임을 훤히 비추어 보시고 모든 괴로움과 불행에서 벗어나셨다. 舍利子 色不異空 空不異色 色卽是空 空卽是色 受想行識 亦復如是사리자 색불이공 공불이색 색즉시공 공즉시색 수상행식 역부여시 사리불이여! 물질적 형상으로 나타나 우리 눈에 보이는 세계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