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숨터학당(學堂)-진리를 깨달아 자유를....나는 나다.

윤정현 신부의 논문 중 "하느님 이해"(41) 본문

마스터와 가르침/다석

윤정현 신부의 논문 중 "하느님 이해"(41)

柏道 2021. 3. 3. 13:35

윤정현 신부의 논문 중 "하느님 이해"(41)

 

박사논문

2015. 8. 25.

다석사상, 범신론, 범재신론, 없이 계시는 하느님, 유영모

 

성공회 수동교회 윤정현 신부의 논문 중 "하느님 이해"(41)

 

다른 한편으로 다석 유영모의 이러한 사상은 범신론(汎神論)이며 이단(異端) 사상이라고 비판을 받고 있다. 다석의 가르침은 한국의 목회자와 신학자들에 의해 비정통주의 신앙이라고 오늘날까지도 비난받고 있다.

그러나 그들의 비판에 대하여 다석은 “나는 범신론자이며 이단이다” 고 말하였다.
다석 유영모는 범신론(汎神論)은 잘못된 것이 아니다고 주장하고 자신은 범신론도 좋아한다고 말였다.
그러나, 유영모의 하느님의 개념은 범신론(汎神論)보다는 범재신론(汎在神論)에 가깝다. 유신론(有神論)은 범신론이나 범재신론과는 종종 대립되지만, 전체로서 하나이거나 모든 것이 하나라는 사상은 고등 종교의 교리로서 유신론의 각 유형에서 지배적으로 나타나는 개념이다.

 

여기에서 유영모의 범재신론적 하느님 이해는 중요한 문제를 야기시킨다.
다석의 하느님 개념은 그리스도교의 하느님 개념과 일치하느냐는 문제이다.
다석의 실체에 대한 영적인 관점은 세계 안에 존재하고 그리고 하느님 안에 존재하는 세계로서 초월적이고 내재적인 개념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비록 초월적이고 인격적인 하느님을 강조하는 사람들은 범신론에 대한 이러한 영적 견해를 비판하지만, 유영모의 절대자 개념은 이원론(二元論)을 반대하는 입장에서 범신론(汎神論)에 빠지지 않으면서도 그리스도교의 하느님의 개념과 통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다석에 있어서 하느님은 실재 안에 있는 특별한 대상이 아니라 마음 안에 존재하는 분이시다. 다석의 하느님의 개념은 인격적인 면을 포함하고 있지만, 또한 인격적인 개념을 넘어 존재하는 하느님이다.
이러한 차원의 절대자를 초월적인 하느님이라 일컫는다.

존재의 현존, 힘 그리고 본질을 통하여 모든 것 안에 계시는 하느님은 하늘과 인간이 조화하여 하나가 되는 것이 기본적이며 최후의 목표가 되는 중국의 사상과 비교된다고 한스 큉(Hans Küng)은 말한다.
이러한 면에서, 동양사상에 근거한 상호연관과 연속성뿐만 아니라 상호보완과 조화의 원리에 의하여 하느님과 합일(合一)이나 하늘과의 일치는 인격적 개념의 신인동형론적인 주장을 넘어 있다.
다석 유영모는 이러한 하느님을 말한다.
따라서, 다석의 하느님 개념은 범신론보다는 범재신론에 가깝다.

============================================
동영상 강의 내용 보충자료입니다.

범신론(汎神論 Pantheism) 범재신론(汎在神論 Panentheism)

범신론(汎神論, pantheism)은 세계밖에 별개로 존재하는 인격신이 아닌 우주, 세계, 자연의 모든 것과 자연법칙을 신이라 하거나, 또는 그 세계안(신과 세계는 하나)에 하나의 신이 내재되어 있다는 철학,종교관이자 예술적 세계관이다. 만유신교, 만유신론(萬有神論)이라고도 한다.
범재신론(panentheism)은 세계가 신에게 포함되나, 신이 세계 그 자체는 아닌 것을 말한다.

“pan"은 “모든 것, 어디에나 ”을 의미하고,
"en "은 “안”을 의미하며,
“theos”는 “신, 하나님”을 의미한다.
One has many
One is in many
Many is in one

Kingdom of God
Kingdom of Heaven

초월적 존재
인격적 존재
내재적 존재
비인격적 존재

쉽게 비유된 글이 있어 옮겨봅니다.

범신론: All is God.
범재신론: All is in God.

범신론에서는 유일한 실재는 신 외에는 아무 것도 없다.
그걸 모르는 것은 단지 우리가 마야(無明)에 빠져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 개념 속에서는 나도 신이다.
그것도 파편이나 부분이 아닌.. 완벽한 하나의 신이 된다.

범재신론에서는 모든 존재에 신적 속성이 있게 된다.
따라서 초월과 내재가 동시에 존재하는 역설적 설명을 끌어안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