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숨터학당(學堂)-진리를 깨달아 자유를....나는 나다.

윤정현 신부의 논문 중 "하느님 이해"(39) 본문

마스터와 가르침/다석

윤정현 신부의 논문 중 "하느님 이해"(39)

柏道 2021. 3. 3. 13:33

윤정현 신부의 논문 중 "하느님 이해"(39)

 

박사논문

2015. 8. 25.

다석사상, 삼법인, 없이 계시는 하느님, 유영모, 윤정현, 일체개고, 제법무아, 제행무상

 

 

 

제 개인적으로 한국 사회는 두개의 거대한 권력이 부조리를 만든다고 평가합니다.

삼성으로 대표되는 돈 즉 자본권력
사람의 정신세계를 지배하는 종교권력

 

여기서 말하는 종교권력이란 나쁜 의미로 쓴 것이지 전체 종교를 지칭하는 것이 아닙니다. 어쩌면 자본권력보다 인간을 종속적이고 속물스럽게 만드는 근본은 정신의 노예화이고 이것의 좋은 수단 중에 하나가 종교라 생각합니다.

그래서 윤정현 신부님의 다석 유영모의 사상을 이해하고자 합니다.
윤정현 신부님에게 필요한 부분을 동영상으로 직접 강의를 듣고 정리해 올립니다.
동영상은 유투브에도 올리고 있으니 필요하신 분은 공유하셔도 됩니다.
제가 올리는 모든 동영상은 공유가 원칙이니 마음껏 사용하십시요.

불교의 개념을 우리는 많이 들으면서 자랐기 때문에 당연히 다 안다고 착각합니다
그러나 막상 들어가 보면 전혀 모르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이번 기회에 불교에 대해 알아두시면 기독교나 다른 종교의 교리도 쉽게 이해를 하실 수 있으실 겁니다.

그 첫번째 동영상을 소개합니다.
화질이 좋지 않아 강의 내용을 자막처리했고 이곳에 글로 녹취했습니다.

인도 힌두교 카스트 제도 신분제도에서 신분의 억압, 고통에서 벗어날 수있는 해방과 자유함을 주는 깨달음이 불교의 배경이다.

깨달음으로 고통으로부터 벗어나고 자유, 해방감을 준 것이 불교탄생의 의미이다.

인도의 석가모니 말씀이 문자인 경전으로 정리되어 중국으로 넘어가면서 싼스크리트어나 팔리어가 한자로 번역이 조금 개념이 바뀌게 된다.
인도의 空(공 내려놓음 영적 빔) 사상이 중국으로 가서 無(무)로 번역됨
마음(형이상학)으로 보는 것이 실체라는 주장과 눈에 보이는 현상계(형이하학)를 실체라고 보는 관점이 생김

空(공 순야타)이 한자로 번역이 되면서 중국에선 이해하기 쉽지 않아 중국에서 많이 퍼졌던 노장사상 도교의 영향을 받아 無(무 없음)과 有(유 있음)으로 번역이 되었다.
중국 한국 일본에서 선불교가 발달하게된다.

空卽是色 色卽是空 (공즉시색 색즉시공)
空不異色 色不異空 (공불이색 색불이공 )
色(색 현상계 물질계 color)
반야심경의 핵심사상

대승불교 중생구제 중국
소승불교 개인의 깨달음 동남아

불교의 핵심사상 삼법인(三法印,tilakkhaṇa)
일체개고(一切皆苦) Sabbe Samskara Duhkha(괴롭다)
제행무상(諸行無常) Sabbe Samskara Anicca(항상 변한다)
제법무아(諸法無我) Sabbe Dharma Anatman(고유한 실체없다)

Sabbe(모든)
Samskara(혼합물) 영어의 compound
Anicca 변한다
Dharma(法 다르마) 진리 규정 규칙 등 40여개의 사용 용례가 있다
무아(無我,anatman) 고유한 실체가 없고 늘 변한다 영원한 실체란 없다
상대적인 세계에선 영원한 규칙이나 규범 규정 진리도 없다.

분자도 열를 가하면 빛으로 변하고 압력을 가하면 소리로 별할 수 있다
조건에 따라서 빛으로 소리로도 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