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터학당(學堂)-진리를 깨달아 자유를....나는 나다.
중용 제16장 자왈귀신지위덕(子曰鬼神之爲德) 본문
중용 제16장 자왈귀신지위덕(子曰鬼神之爲德)
제16장
子曰:「鬼神之為德,其盛矣乎!
자왈 "귀신의 행위와 은덕은 盛大하다!
程子曰:「鬼神,天地之功用,정자왈 "귀신은 천지의 공용이요
(=공효/功效 :공을들인 보람이나 효과)
而造化之跡也。」천지조화의 功積(공적/업적)이다
張子曰:「鬼神者,二氣之良能也。」장자왈 귀신은 음양의 타고난 재능이다
愚謂以二氣言,우(주자)가 이르기를 음양二氣로 말하면
則鬼者陰之靈也,귀는 음의 영(靈)이요
神者陽之靈也。신은 양의 영(靈)이다
以一氣言,一氣로 말하면
則至而伸者為神,지극함이 펼쳐지면 신이고
反而歸者為鬼,반대로 돌아가면 귀이다
其實一物而已。그러나 그 실재는 一物이다
為德,猶言性情功效。귀신의 行爲와 隱德은 性情의 功效라고 말하기도 한다
視之而弗見,聽之而弗聞,體物而不可遺。
신은 보아도 보이지 않고
들어도 들리지 않지만
만물의 본체가 되므로 이것을 빼놓고는 존해할 수가 없다
鬼神無形與聲,귀신은 형체가 없고 소리 또한 없으며
然物之終始,그러나 만물의 始,終이
莫非陰陽合散之所為,음양이 합해지고 흩어져서 하는 바가 아닌것이 없다
是其為物之體,이것이 만물의 본체가 되면서
而物所不能遺也。만물로부터 빼놓을 수 없는 바이다
其言體物,만물의 본체라는 그 말은
猶易所謂幹事。주역 건괘 문언전에서 말한 幹事 "모든 일의 근간"이라는 것과 같은 것이다
使天下之人 齊明盛服,천하의 사람으로 하여금 재계하고 정결히하여
성대히 祭服을 차려입고
以承祭祀。제사를 받들게 하고 (承/받들 : 승)
洋洋乎!如在其上,如在其左右。자신은 양양하게 위에 있는 듯이 하고
사람의 좌우에 있는 듯이 한다
齊(재계하다/재),明(깨끗하다/명),盛服(성복/잘차려 입은 옷)
齊,側皆反。
齊之為言齊也 齋는 가지런한 것을 말함이다
所以齊不齊而致其齊也。不齋함을 재계하는 까닭은 재계에 이르기위함이다
明,猶潔也。명은 깨끗함이다
洋洋,流動充滿之意。양양은 거침없이 흘러움직이며 가득찬다는 뜻이다
能使人畏敬奉承,
능히 사람으로 하여금 공경하고 두려워하며 받들게 함이며
而發見昭著如此,
(昭著/소저 :환하게 드러남)나타나고 환하게 드러남이 이와 같으니
乃其體物而不可遺之驗也。
그 만물의 본체인 귀신을 빼놓을 수 없다는 증험인것이다
孔子曰:「其氣發揚於上,為昭明焄蒿淒愴。此百物之精也,
神之著也」,正謂此爾。
공자왈 "그 氣가 위로 펼쳐저 일으키면(發揚), 소명(昭明), 焄蒿淒愴(훈호처창)함이 된다.
이것이 만물의 精髓이고 신의 드러남이다"하니 바로 이를 이름이다
昭明/사물을 분간함이 밝고 똑똑함
焄蒿淒愴(훈호처창/귀신의 분위기가 서림)
焄(향기/훈),蒿(향기나다/호),淒(소름이 끼치다/처),愴(차겁다/창)
詩曰:『神之格思,不可度思!矧可射思!」
시경에 "신(神)이 와 다다른 것도 헤아릴 수가 없는데!
하물며 신(神)을 싫어할수 있겠는가!
度,待洛反。
射,音亦,射 , 역으로 읽는다(싫어할 역)
詩作斁。(섞을/斁 :두)
詩大雅抑之篇。詩대아억지편
格,來也。格 은 오다(來)
矧,況也。신(矧)은 (하물며) 況이다
射,厭也,射(역)은 싫어할 염이다
言厭怠而不敬也。싫어하고 게으르면서 공경하지 않는것을 말한다
思,語辭。사는 어사 (생각,느낌을 입으로 나타내는 소리)
夫微之顯,誠之不可揜如此夫。」
이는 대저 귀신의 은미한 본체가 드러남을 말함이니
진실(誠)을 숨길 수 없음이 이와 같음이라
揜(가릴/엄,숨기다/엄)
誠者,真實無妄之謂。誠은 진실되어 무망함을 이름이요
陰陽合散,음양의 합산이
無非實者。진실되지 않은 것이 없음이라
故其發見之不可揜如此。그러므로 귀신의 나타남과 드러남을
가릴 수 없는것이 이와 같은것이다
右第十六章。
不見不聞,볼수없고 들을 수 없는 것을
隱也。은미함이라한다
體物如在,만물의 본체가 존재하는 것도 이와같이 은미하게 존재함이다
則亦費矣。그 널리쓰임 역시 이와 같다
此前三章,以其費之小者而言。이앞3장은 널리쓰임의 작은 것을 말했고
此後三章,以其費之大者而言。이뒤3장은 널리쓰임의 큰것을 말했다
此一章,兼費隱、包大小而言。이 1장은 널리쓰임(費)와 은미(隱)을 겸해서 큰것과 작은것을 포함해서 말했다
[출처] 중용 제16장 자왈귀신지위덕(子曰鬼神之爲德)|작성자 곡두
'마스터와 가르침 > 중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용 제18장 자왈무우자(子曰無憂者) (0) | 2020.07.01 |
---|---|
중용 제17장 자왈순기대효야여(子曰舜其大孝也與) (0) | 2020.07.01 |
중용 제15장 군자지도(君子之道) (0) | 2020.07.01 |
중용 제14장 군자소기위이행(君子素其位而行) (0) | 2020.07.01 |
중용 제13장 자왈도불원인(子曰道不遠人) (0) | 2020.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