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숨터학당(學堂)-진리를 깨달아 자유를....나는 나다.

신지학 기본원리 본문

영성수행 비전/신지학

신지학 기본원리

柏道 2018. 10. 7. 23:26


신지학

신지학 기본원리



                                       목 차



기본사항

인간의 7 원리

에텔체(에테르복체)

아스트럴체(astral body)

멘탈체(mental body)

원인체

진화의 기본법칙

일곱 광선



기본사항


o 신지학 : 생명진화의 영적 법칙에 관한 학문

o 신지학의 역할

 - 개인적 차원 : 자아의 영적 실체를 보다 과학적으로 이해하고 그 존재가치를 삶의 과정 속에서 구현

함으로써 주체적, 창조적 생명으로 개화하는데 기여함

 - 집단적 차원 : 물질문명발달로 인한 인류의식의 변화(순기능과 역기능)에 적절히 대처하기 위한 구

체적 지식 또는 방향의 제시

 - 사상적 차원 : 종교, 과학, 철학의 불합리한 모순 및 상호간 대립의 해소를 위한 공통적 연결고리

o 근원집단

 - Theosophical Society : H.P. Blavatsky(Master K.H), Secret Doctrine

 - arcane school : Alice Bailey(Master D.K), 24권

 - agni yoga society : Helena Roerich(Master M), 13권

o 지식획득의 방법론

 - 자연과학 : 자연현상 및 대상에 대한 가설설정, 물리적 실험기구를 통한 대상의 반복적 관찰, 관찰

과의 일반화, 법칙화

 - 신지학 : §계시성

              §인간 본성에 내재되어 있는 영적 감수능력을 통한 대상의 직접적 인식 및 법칙의 증득

o 연구대상 : 인간의 지각범위 및 그를 넘어선 존재영역 모두에 작용하는 보편적 영적원리

 - 우주론 : 우주발생 및 구조론, 주기의 법칙, 신지학적 관점에서의 신의 본질, 생명의 통일성

 - 인간의 본질 및 구성 : 인간의 기원 및 자아의 본질, 존재목적, 영적 구조론, 비전심리학

 - 영적 에너지의 원리 : 프라나, 쿤달리니, fohat, 일곱광선, 색과 소리 등의 작용원리

 - 영적 진화이론 : 생물 진화의 거시적 법칙, 인류진화의 영적 과정

 - 영적 위계론 : 비가시적 존재들의 계층 및 역할

 - 윤회의 일반적 원리

 - 상념의 본질

 - 초상현상의 이해

 - 기타....


인간의 7 원리

 

- 신체의 존재이유 및 성격

 

 o 특정 종교 : 육체에 한정할 경우 인간의 영적타락의 산물, 원죄적 관념

 

 o 신비주의적 관점 : 우주적 무명과 분리의식으로 인한 자아의식의 산물, 비실재, 자기구속적 존재,

피의 대상, 자기창조의 산물

 

 o 신지학적 관점 : 현상계의 구체적 경험을 통한 영적 진화와 자각을 위해 필수불가결한 매체, 불멸

순수영이 물질과 접촉하기 위한 궁극적 수단,

   · 대상세계를 해석하고 통제, 통합하는 interface

   · 자아와는 별개로 독자적 생명체들의 복합체

   · 탈피의 대상→완성의 대상

   · 구속적 관계→상호협력, 공생관계, 진화적 동반자 관계

 

- 인간존재의 복합구조

 

 o 상이한 기능을 수행하는 영적 원리들의 다차원적 결합체

   · 모나드, Ego, 하위자아의 3중적 관계

   · 인간의 영적 진화는 하위자아가 상위자아의 속성을 반영, 표현하는 정도에 비례함

 

- 공통용어

 

sanskrit식

명칭

대응계

현대용어

10

monad

모나드

모나드계

monad

9

atma

영체

아트마계

spiritual body

8

buddhi

직관체

부디계

intuitional body

7

higher manas

상위지성체

상위멘탈계

higher mental body

6

buddhi-manas

원인체

상위멘탈계

causal body

5

lower manas

하위지성체

하위멘탈계

lower mental body

4

kama rupa

정서체(욕망체)

아스트럴계

astral body

3

프라나

생명에너지

 

ether(vitality)

2

linga sarira

생기체(복체)

에테르계

etheric body(double)

1

sthula sarira

육체

물질계

physical body

 

- 적용상의 차이점

 

구  분

구성 principle

Theosophy1

SPIRIT

atma, buddhi

SOUL

higher manas, lower manas, kama

BODY

프라나, linga sarira, sthula sarira

Alice Bailey

Monad

will or power, love-wisdom, active intelligence

Ego

(Higher Self)

Atma, Buddhi, Higher Manas

Personality

(lower self)

lower manas, astral body,

etheric & physical body


- 주의사항 : 해당 신체(body)와 활동의 주체인 self(또는 Self)를 구별할 것

 

- 신체의 창조에는 다양한 내부, 외부적 존재들의 작용이 선행됨

 

 o 특정 싸이클에 사용되는 인간 신체의 보편적 원형 : Manu

 o 개별적 신체 : Ego, 개인의 permanent atoms + , devas, elemental, lipika

 

- 제 신체를 통한 대상세계의 인식방식

 

o 육체 : 대상세계에 대한 일상적, 3차원적 인식

o 에텔체 : 단순투시적 인식

o 아스트럴체 : 4차원적(입체적) 인식

o 멘탈체 : 일상적 감각을 넘어선 단일감각을 통한 대상의 순간적 인식

o 부디체 : 대상과 의식적 일체상태를 통한 내부로부터의 인식


에텔체(에테르복체)

 

o 정의 : 육체의 비가시적 원형

 

o 존재이유 : ·우주(태양계)의 모든 물질적 생명체의 존재방식은 정묘한 에너지 대사에 의하여 이루

지며 이에는 육체 이외에 매개기능을 담당하는 별도의 에너지체의 존재를 필요로 함

 

o 형태 : 육체와 거의 동일한 형태 및 크기(인간의 경우)

 

o 구성 : 에텔계의 4종 에텔로 구성

 

o 기능 : ·신체기능에 필요한 에너지(프라나)의 흡수저장(receiver), 동화작용(assimilator)및 배분작용

(transmitter)

            ·프라나에너지 흡수의 중추 :

                      견갑골(shoulder blades) 사이

                      횡경막(diaphragm) 윗 부분

                      비장(spleen)

            ·육체의 물리적 지지대 역할, 형태구현, 유지 및 신경(감각)기능, 순환기능, 소화기능 등 제반

생리적 기전의 원천

            ·육체와 상위체 사이의 보호막(방어망)

            ·상위매체의 영향력(카르마)을 반영하기 위한 물질적 거푸집(틀)의 역할(멘탈체, 아스트럴체

의 진동상태에 의하여 상태가 결정되나, 에텔체 자체의 왜곡이 역으로 이들에 영향을 미치기

도 함)

 

o 태아의 에텔체 : ·모체로부터 그 구성성분을 공급받으므로 어머니가 섭취하는 물질들의 질적 청결성

에 주의하여야 함.

                        ·어머니의 상념의 내용이 태아의 에텔체 형성에 영향을 미치므로 올바른 상념관리

외부환경이 주는 자극에 대한 현명한 선별적 선택(태교)의 중요성을 사실적으로 해야 함.

 

o 에텔체의 적절한 진동상태(에너지의 흡수 및 배분능력) 및 감수성은 에텔체의 올바른 형성 및 활성

화에 의존함

 

o 기본적 준수사항 : ·건전한 상념형태의 유지(카르마의 조절)

                          ·태양광선의 적절한 흡수

                          ·식생활습관의 개선(단백질 및 비타민의 충분한 섭취)

                          ·피로와 감정적 동요의 자제

 

o 목적 : ·에텔체의 올바른 내적 형성과 이에 상응하는 외부로부터의 양질의 에텔에너지 및 질료의 유

            ·외부세계와 타인에 대한 오염된 에테르물질의 방출 최소화

            ·하위 생명체(elemental)의 진화에 대한 기본적 의무이행

            ·바른 영적 존재들로부터의 비가시적 영향력(감화)

 

o 주의점 : ·불건전한 생활태도/습관에 기인한 프라나 흡수능력의 저하 및 왜곡 (에텔체의 울혈/정체는 신체활동에 지대한 영향을 주어 건강상태를 크게 약화시킴. 명상시 쿤달리니 에너지의 각 성 시기에 장애 초래)

              ·과도한 에너지의 흡수 및 배출로 인한 무력증 및 활력상실(부적절하거나 과도한 명상 및 호 흡수련의 금지)

 

o 변성의 원리 : 의식진화 → 에텔체의 정화 및 고양 → 에텔체의 구성성분에 질적 변화를 초래(상위차 원의 질료로 전환됨)

 

o 시사점 : ·자기 존재에 대한 영적 자각과 이해가 선행되었을 때 비로소 단순한 육체적 건강이 아닌 올 바른 정신-육체 통합적인 조화와 변화, 그리고 자기완성이 가능해짐.

             ·이는 소아적 욕망과 이기심, 세속적 생활방식과 가치관에 대한 부단한 극복의 노력으로만 가능하며 이에는 올바른 영적 이해력, 절대적인 인내심과 용기가 수반되어야 함.

              ·이러한 과정은 결과적으로 영적 진화의 산물인 의식의 연속성 획득에 기여함.


차크라

 

o 정의/기능 : 인간의 제 신체에 존재하는 비가시적 에너지의 통로(channel), 힘의 중점(center), 상위차 원의 진동 및 경험을 물질육체로 전달하는 중개기관(organ)

 

o 위치 : 에텔체의 표면(육체의 대응기관과 중첩되지 않음)

 

o 형태 : 회전하는 원형의 바퀴모양(disk)+중앙으로부터의 방사형 살 = 꽃잎 형태로 인식됨

 

o 크기 : 약 지름 5~15cm로 개인별 발달상태에 따라 상이함

            (신생아는 주화 정도의 크기)

 

o 육체와의 상응관계 : 각각의 센터는 육체의 특정 내분비기관(endocrine gland)과 대응됨.

 

 

센터의 위치

잎의 수

색깔

대응 내분비기관

기능

1

정수리

12

960

백색,

금색

송과선

(pineal gland)

의식의 연속성 획득

2

미간

96

장미, 노랑,

청색, 자주색

뇌하수체

(pituitary body)

투시능력

3

16

은색이 섞인

자주색

갑상선

(thyroid gland)

투청능력

4

심장

12

방사하는

황금색

흉선

(thymus gland)

타인의 정서에 대한 감수능력

5

비장

6

-

비장

(spleen)

신체/아스트럴체에 생기부여,

아스트럴 여행 및 기억능력

6

태양

신경총

10

녹색을

포함한 장미색

췌장

(pancreas)

아스트럴계의 전반적인 감수성

7

미저골

4

오렌지색을

포함한 적색

부신

(adrenal glands)

쿤달리니의 각성

8

천골

6

주홍색

생식선

(gonads/ovaries)

혈액을 통한 체내 열에너지 공급

3종 에너지의 두뇌 유입 →인격 변화

·암적색→진홍색으로 = 애정

·오렌지색→노랑색으로 = 지성

·검자주색→연보라색으로 = 영성

※ 각 주요센터에는 일곱광선들이 각각 대응됨. 센터의 숫자나 위치배열 등은 신비학파의 전통별로 상 이함을 주의할 것. 비장센터는 경우와 학파에 따라 배제되기도 함. 비장센터를 포함할 경우 미저골( base of spine)과 천골(sacral) 센터는 하나로 간주하기도 함. 서양 신비전통의 경우 양발을 주요센 터로 포함시킴.

 

Kundalini Fire

 

o 형태 : 뱀의 형상을 한 불 에너지

 

o 주요기능 : ·육체의 유지에 필요한 생명활력(vitality)으로 작용

               ·상위차원의 진동을 육체로 전달하기 위한 채널 개통의 견인에너지

 

o 속성 : 프라나와는 전혀 별개의 생명에너지로서 양자는 서로 전환되지 않음

 

o 척추 내부의 3중의 에테르 통로

① Ida : 물질, 지성(intelligence) 측면에 관련됨

② Pingala : 영혼, 사랑-지혜(love-wisdom) 측면에 관련됨

③ Sushumna(중앙통로) : 모나드, 의지(will) 측면에 관련됨. 두뇌센터에 반응함

 

o 각성경로 : 미저골에서 각성 시작 → 에테르 통로를 따라 두정까지 나선형으로 상승 → 상승경로에 있는 주요 에테르 센터들을 자극, 활성화, 개방시킴

 

o 각성 결과 : 물질-에테르계/아스트럴계와의 통로 구축 → 다차원계의 의식적 경험 및 기억을 가능케 함 → 의식의 연속성 획득(상위자아와의 의식적 연결)


주의사항


o 호기심 및 개인적(이기적) 욕망, 조급한 심령적 열망으로 인한 차크라 및 쿤달리니의 각성충동 절대금지

 

o 이유 : ·쿤달리니의 조기각성은 에너지의 상승이 아닌 하위센터로의 하강을 초래할 수 있음 → 결과 적으로 하위차원의 상념 에너지를 통제불능 상태로 강화시킴 → 부정적 카르마의 극대화 위 험성

           ·에테르체의 정화 부족시 미정화된 불순물 소각으로 인한 극심한 신체적 고통수반

           ·과도한 에너지의 급격한 상승 → 두뇌/척수신경계통의 손상유발 가능성 → 정신이상/환각 및 육체적 기능파괴 위험

 

권고사항

 

o 차크라 및 쿤달리니 에너지의 올바른 각성은 점진적이고 꾸준한(장기적인) 영적진화의 산물로 필요 한 시기에 자연히 이루어 짐

 

o 에텔체/아스트럴체의 부단한 정화노력 요망(저급본능/부정적인 감정적 충동에 대한 확고한 통제력 의 획득이 필히 선행되어야 함 → 올바른 영적 지식 및 이해력의 제고 필요)

 

o 하위자아를 지배하는 의지력 및 이성, 순수한 애정의 함양 자체가 센터의 감각적 각성보다 중요한 영 적 진화의 과정이자 목적임을 분명히 자각해야 함(주객전도의 함정에 빠지지 말 것)

 

o 영적 사고방식의 확립 및 도덕적, 이타적 생활태도의 체화

 

에텔체의 건강과 관련된 기초사항

 

o 신지학적인 관점에서의 건강

 - 육체의 건강을 포함한 제 상위매체의 청결 및 올바른 기능유지

 - 영적 진화를 위한 필요조건이자 그 자체가 영적 진화의 부분적 결과임

 - 단순한 육체적 건강이 영적으로 항상 올바른 상태라고는 볼 수 없음

 - 영적 진화는 많은 경우 정신적/육체적 고통과 질병을 수반함

 - 가능한 범위 내에서 의식진화의 부작용을 최소화해야 함

 - 육체적 건강상태는 에테르체의 관리상태에 절대적으로 영향받음

 

o 에테르체의 건강상태에 영향을 주는 오컬트적 요인

 - 상위매체인 멘탈체, 아스트럴체의 상태.

 - 외부로부터의 심령적 자극물.

 

o 상념과 에테르체와의 직접적 관련성

 - 상념체→에테르 두뇌→에테르체→육체의 내분비선, 신경, 장기, 조직, 세포

  ·예 : 손바닥의 성흔발현(멘탈적 영향력), 꿈속의 상처가 신체부위에서 지각되는 경우(아스트럴적인 영향력)

 - 시사점 : 우리의 신체는 에테르체의 작용결과이며 에테르체는 인간의 상념(의지적 신념, 무의식적 암시 등), 감정, 심상화, 상상력, 의지력에 직접적으로 반응함

 - 주의점

  ·왜곡된 형태의 이미지에 노출되거나 그러한 이미지를 방출하지 말 것

    (예 : 특정인물을 대상으로 한 극단적으로 왜곡된 풍자화 등)

     → 피노출자/방출자/왜곡대상 모두의 에테르체에 부정적 영향을 미침

  ·부적절한 이미지를 흉내/모방하지 말 것

    이유 : 상상력의 작용→자기본연의 에테르적 패턴에 혼란 야기→장기화 될 경우 신체에 부적절한 특 성발현 가능성

  ·Imperil(심령적 독소)에 대한 주의(음식, 물건, 장소 등)

  ·물리적으로 단순 재생된 물을 섭취하지 말 것

  ·물의 심령적 특성에 대한 이해 필요

  ·파괴적 진동음(소음, 조악한 음악)과 영상에 노출되지 말 것

  ·부적절한 언어사용 순화

   (사용언어는 멘탈체와 아스트럴체의 직접적 반영임.)

  ·알콜, 담배, 마약류의 사용 원칙적 금지

 

o 자가치유의 근본원칙

 - 예방적 차원 : 올바른 자아관(Self Image)의 확립, 잠재의식의 작용원리에 대한 이해, 아스트럴체의 소모적 자극 금지

 - 치료적 차원 : 멘탈체와 아스트럴체의 정화, 상념창조력의 활용, 에테르에너지의 효율적 관리

 

o 프라나를 이용한 타인치료시의 주의점

 - 치료자 본인의 건강상태 유지

  (육체/에테르체의 에너지수준, 아스트럴체/멘탈체의 청결성)

 - 환자에게서 유입된 자기적 에테르질료의 확실한 배출

  ·대기중에 방출하는 방법

  ·물에 투입시키는 방법

  ·유사한 엘리멘탈에 전이시키는 방법

 - 배출이 불완전할 경우 치료자 본인이 질병의 일부를 감수하게 됨

 - 환자의 카르마 패턴에 대한 이해

 

o 타인에 대한 프라나 전달 및 타인의 오염된 에테르흐름을 배출시키는 것이 가능한 이유 : 프라나, 또는 에테르에 대한 상념/의지력의 지배력 때문

 

o 타인의 에테르체의 상태에 의해 영향받는 경우

 - 이성과의 신체접촉

 - 에테르적 뱀파이어

 

기타 에테르 현상

 

o 마취현상

 - 신체로부터 에테르체를 일시적으로 강제 분리시키는 현상

  → 결과적으로 감각의 마비현상 초래

 - 성립근거 : 신경기관을 통한 대상과의 접촉에서 발생된 정보(감각)를 의식에 전달하는 매체가 에텔 체이기 때문

 - 이 경우 흔히 꿈도 꾸지 못하게 되며 마취에서 회복된 후 아무런 기억이 없게 됨

  ·이유 : 마취로 신체에서 분리된 에텔체가 아스트럴체를 포위, 작용을 둔하게 하기 때문

 - 마취와 반대현상 : 절단되어 없어진 신체부위에서 통증을 느끼는 경우

 

o 에테르 시력

 - 대상에 대한 투과적 인식. 하위 자연령과 에텔 생명체 및 기타 자연의 에텔적 현상의 관찰이 가능해 짐. 인체투시를 통한 질병 진단효과.

 - 긍정적 방법 : 영적 각성의 결과로 자연 획득되는 경우

 - 부정적 방법 : 이 경우 부정적 현상만을 일시적으로 접하게 됨

  ·알콜, 특수한 약물, 주술적 의식, 과도한 신경의 긴장, 건강의 심한 악화, 강한 정서적 흥분, 기타 비 정상적 환각상태에서 유발되기 쉬움

  ·특히 에텔체는 알콜의 휘발성 성분에 쉽게 영향 받음

 - 기타 방법 : 자연령의 도움을 얻는 방법

 

o 물체의 자화

 - 오염된 에테르물질에 장기 노출된 물품과의 접촉 및 소유자제, 타인에 제공하는 물질에 대한 선의의 상념집중 필요, 호부의 작성원리.

 

o 영매

 - 에텔체의 일부가 육체에서 정상인보다 훨씬 쉽게 분리되는 체질의 소유자

  ·카르마에 의한 선천적 현상이 많음

 - 분리된 에텔체는 물질화의 재료로 이용됨

  [비교]

 - 아스트럴계에 의식적/무의식적으로 의식의 초점이 이루어져 있는 경우

  ·선천적인 경우 및 잘못된 영적 이해와 부적합한 수행으로 후천적으로 개발되는 경우 → 영적 진화에 매우 부정적 영향초래

 - 부정적 상념과 감정에 지속적으로 노출된 경우 발생가능

  ·민감한 청소년기나 예민한 감수성의 소유자의 경우 주의를 요함

 - 위험성

  · 물질화현상에 수반한 체내 에테르 에너지의 급속한 고갈현상 초래

    →생명력의 위축/질병에 대한 저항력 저하, 정신병 초래가능.

  · 부정적 카르마의 상속, 영적 진화에 막대한 장애 초래

  · 타인들에 대한 건강 및 심령적 위험성 유발

  · 심령현상에 대한 대중의 잘못된 이해 확산


아스트럴체(astral body)

 

o 정의 : 인간의 신체 중 정서와 욕망의 작용을 주관하는 비가시적 원리

 

o 형태 : 육체 및 에텔체의 내부에 침투되어 있으며 외부의 일정범위에 확산되어 있음(astral aura). 구 형(ovoid)을 띠고 있음

 - 의식진화의 정도에 따라 크기와 색채에 차이가 많음

 

o 구성질료 : 아스트럴계의 7종 질료

 - 대부분의 경우 하위 4계의 질료로 구성

 

o astral의 의미 : 연금술사들이 별과 같다고(starry) 표현한데서 유래(성기체)

 - 아스트럴 질료의 광휘에 대한 은유적 표현

 

o 기능 : 카마 루파(kama-rupa), 즉, 어원적으로 욕망체의 의미. 대부분의 인간의 자극적 충동과 본능,

감정작용은 아스트럴체의 의식적, 무의식적 활동의 산물임

 - 아스트럴 엘리멘탈(astral elemental)의 개념 및 작용에 대한 이해 필요

 - astral projection : 육체, 에텔체와 별개의 신체이므로 특정 조건하에서 독립적 분리 가능(의식적, 무의식적 메커니즘)

 - 대부분의 심령현상의 궁극적 원천

 

o 아스트럴체의 활동은 오라내부에 진동의 속성에 상응하는 다양한 형태의 색채변화를 수반함(occult c hemistry의 비물질적, 비의적 의미)

 

o 지속적인 아스트럴체의 자극은 에텔체와 육체에 지대한 가시적 영향을 초래함→감정과 본능 조절의 절대적 필요성

 

o 올바른 아스트럴체의 활성화

 - 정서순화, 고급예술 및 문학에 대한 관심 및 식별력의 제고, 고등종교에 대한 순수한 애정과 헌신, 인류에 대한 박애적 사고방식 함양

 

o 부정적 아스트럴체의 활성화

 - 의식의 초점을 아스트럴체에 맞추는 일체의 행위

 - 심령현상에 대한 감각적 호기심, 아스트럴 능력의 각성을 위한 행법수련(예 : 유체이탈, 마법적 만트 람 등), 아스트럴 실체와의 접촉욕구.

 

주의사항

 

o 아스트럴체는 물리적 실체이며 독자적 기능을 지니고 있으나, 영적 관점에서는 사실상 허상에 해당

 

o 아스트럴체의 부정적 활성화는 영적 진화에 치명적 위험 초래

 

o 환영(glamour)에 대한 집착 및 영적 식별력(실재에 대한 바른 인식)의 개발에 심각한 손상유발

 - 육체, 에텔체의 손상보다 더 큰 카르마로 작용할 가능성

 

o 자아(EGO)와의 관계성에 손상 초래

 

o 심령적 공격에 직접적으로 노출됨

 

o 멘탈체의 발달이 수반되지 않는 단순한 아스트럴적 각성은 현시대의 인류에게 부적합한 과정임

 

권고사항

 

o 아스트럴체의 물리적, 인공적 활성화보다 엘리멘탈의 정화 및 통제력의 비상한 획득이 일차적 급선

무임

 

o 멘탈체의 개발 및 자아(EGO)와의 관계성에 대한 뚜렷한 방향감각의 획득에 주력할 것

 

o 네거티브적 명상, 무의식적 몽상, 최면적 기도 및 감정적인 대중적 종교의식 등에 사로잡히지 말 것

 

o 일상적 활동에 전념할 것

 

아스트럴계

 

o 구성 : 우주적 물질계의 하위 2차원으로서 다시 상이한 속성을 지닌 자체의 하위 7계로 이루어짐.

 

o 속성 : ·지구적 차원의 정서와 욕망, 환영의 집합의식적 성격

            ·물질계와는 독립적 차원이지만 상호작용하고 있는 비가시적 실체

            ·상위계는 부디계의 속성을 반영하는 특징을 지니고 있음(예술적 영감의 부분적 원천)

            ·다른 차원들과의 요소적 상호관계 속에서는 "물"에 상응하는 속성을 지님

 

o 작용 : ·4차원적 인식기능을 가능케 하는 진동양식(투청, 탐흔, 투시...)

 

o 주의점 : ·현재 인류의식이 올바로 진화하기 위해 바로 이해하고 극복해야 할 이중적 측면의 영역

              ·대부분의 고등종교에서 말하는 천국으로 오해하지 말 것

              ·단순한 사후세계로서 심령적 중간영역으로 영적 구원의식과는 무관함

              ·아스트럴계와의 인위적, 일반적 교류는 현재 단계에서 금기사항임

 

o 대표적인 구성원

인간적 존재

비인간적 존재

인공적 존재

분류

육체적 존재

비육체적 존재

1

일반인

일반인

엘리멘탈

에센스

무의식적으로 형성된 엘리멘탈

2

영능자

Shade

동물의

아스트럴체

의식적으로 형성된 엘리멘탈

3

아데프트 및 제자

Shell

자연령

 

4

흑마술사 및 제자

활성화된 Shell

Devas

 

5

 

자살/사고사의 경우

 

 

6

 

Vampire/Werewolf

 

 

7

 

흑마술사 및 제자

 

 

8

 

환생 대기중인 제자

 

 

9

 

니르마나카야

 

 


멘탈체(mental body)

 

o 인간의 정신능력을 가능케 하는 의식의 장(field of consciousness)

o 의의

 - 인간이 하위차원에 대한 영적 이해력과 지배력을 형성하고 상위차원에 올바로 진입/기능하기 위해 완성해야 하는 필수적인 오컬트적 매체(manas)

 - 궁극적 실재에 대한 이해 및 접근에 있어서 일반적 신비주의(mysticism)의 방법론/존재론적 관점에서 오해되고 있는 영적 실체

o 기능

 - 심리적 기능 : 분석, 추론, 기억, 상상, 연상 등 제반 사고작용

 - 오컬트적 기능 : ·물질계에 구체적 결과를 야기하는 원인으로서의 상념발생작용

                          ·상위차원의 영적 진동을 전달하는 변압기의 역할

o 구조 : ·상위 마나스 : 상위자아(spiritual triad)의 현상계적 연결점

            ·하위 마나스 : 인성자아(personality)의 자기인식의 전초기지

o 형태 : ·육체와 아스트럴체를 내포한 난형의 오오라장

            ·물질두뇌의 특정부위에 대응하는 줄무늬

            ·상부에서 하부에 걸친 구성질료의 영적(질적) 속성별 색채분포

o 구성 : 일반적으로 멘탈 단위(mental unit) + 하위 멘탈계의 질료 + 멘탈 엘리멘탈 에센스(제2 엘리 멘탈계)

o 육체 신경망과의 관계 : 아스트럴체는 교감신경계, 멘탈체는 뇌척수신경계

 

o 사고의 물질적 작용경로

 - 외부의 (물질적/정서적/개념적) 자극 → {육체적 감각→아스트럴체의 감정} → 멘탈체의 개념화 → 자아의 사고행위(의지적 표현·충동적 반응) → 멘탈체의 질료 진동 → 아스트럴체의 질료 진동 →두 뇌의 에테르입자 활성화 → 두뇌 물질세포의 전자기적 반응 → 구체적 사고작용의 표현/반응

 - 특정분야의 상념에 대한 반응도/민감도/이해력의 개인적 차이

  ·에텔·물질/아스트럴/멘탈 질료간의 결합상태의 차이

  ·해당 상념의 전달경로 미개발(특정 주제에 대한 뇌의 커뮤니케이션망 미개발) → 반복적 학습의 효과 (해당 상념에 대한 입자·통로의 경로구축)

o 멘탈체의 개발 : 의식의 중점이동 초래(아스트럴체→멘탈체), 감정과 관념에 대한 반응의 상대적 민 감도 차이, 제5인종의 진화목표.

o 멘탈 언어 : sound, color, form (상념체의 표현방식)


멘탈체의 진동방식

o 상념파

 - 멘탈체 내에서의 진동이 야기하는 포괄적 에너지 방출

 - 구체적 대상을 목적으로 방출되지 않음

 - 방출자가 형성한 상념의 구체적 내용이 전달되지 않고 상념의 질적 특성이 전달됨

 - 상념파의 영향력 전달범위 : 방출거리의 3제곱에 반비례하는 것으로 추정

o 상념체

 - 멘탈체의 진동 + 멘탈 엘리멘탈 에센스로 만들어지는 인공적 반생명체

 - 형성원칙

   ·상념체의 색채 결정요인 : 상념의 질적 특성

   ·상념체의 형태 결정요인 : 상념의 구체적 내용

   ·상념체의 형태의 명확성/구체성

     : 사고자의 사고행위의 명확함→상념체 재현의 효과에 핵심요인

 - 생성목적에 따른 상념체의 분류

   ·사고작용의 흔적으로서의 상념체

   ·사고자 주위에 침투되어 있으며 사고자와 항상 동반하는 상념체

   ·특정 대상을 목적으로 하며 대상을 향하여 투사/전달되는 상념체

 - 상념체 형성의 신지학적 의미

   ·인격자아 차원 : 사고자(인성자아)의 영적진화 과정에서 멘탈적 발달을 도모하기 위한 다양한 진동 방식의 경험 및 사고능력의 획득

   ·현상계의 무한히 다양한 존재방식 및 활동영역에 구체적인 결과를 초래하는 원인세력으로서의 개인 적/집단적/행성적 카르마의 형성

   ·하위계층의 영적 실체와의 공동진화를 위한 상호협력 및 공생작용

     : 멘탈 엘리멘탈 에센스의 진화촉진

 - 상념체의 제반 작용 및 기타현상

   ·이미지와 연관된 전 분야에서 표현을 위한 일차적 내적 과정으로 진행

    : (예 : 예술, 문학, 과학, 교육, 철학, 종교 등 인간의 모든 정신적 분야)

   ·최면을 통한 상념체의 객관적 감지현상

   ·의식적/무의식적 상념체의 공간투사(아스트럴 투사와 혼동 가능성)

   ·상념체를 통한 투시현상(진보적 형태의 투시원리)

   ·상념체의 흡수/반동작용(상념체를 통한 비가시적 원조/심령적 공격)

   ·특정 종교에서 고급 영적 존재의 발현현상(천사, 불보살 등의 현현)

 - 상념체의 반복적 재생현상에 대한 주의(부정적 카르마의 형성)


상념전이

 

o 상념전이의 기본 과정

 - 송신자 : 멘탈체(→아스트럴체{→에텔 두뇌→물질 두뇌})

 - 수신자 : ({물질 두뇌→에텔 두뇌→}아스트럴체→)멘탈체

 - 육체를 경우하는 경우의 중개기관 : 송과선

 - 에텔파동의 형태 : 이미지 자체가 아닌 이미지와 관련된 정보

o 무의식적인 상념전이

 - 집단상념의 작용원리 : 여론형성, 자연현상, 사회적 혼란 등

 - 개인적 상념전이 : 효과적 강의진행의 단서, 비가시적 참여자들의 원조

 - 비육체적 존재들과의 상호전이, 아동들의 인성형성에 대한 핵심요인

 - 특정인에 대한 부정적 소문의 형성에 대한 주의

 - 타인들과의 카르마적 관계 및 미래환경 형성의 기초

 - 동물들간의 감정적 자극전달의 매개기능

o 의식적인 상념전이

 - 멘탈적 치유의 기본원리 : 특정인의 심리적 부조화 상태에 대한 비가시적 원조기능(수신자의 개인적 의지에 대한 직접적인 통제를 배제할 것)

 - mind-cure : 최면효과의 긍정적 기능의 활용

 ·신경계통의 장애 : 의지력을 이용한 자기치유에 가장 효과적 질환

 ·주의사항 : 카르마의 억압현상(상위매체로의 인위적 환원 가능성)

 · 상념의 물현현상을 이용한 새로운 조직/기관의 재형성 방법

 · 물리적 치료법의 병행(메스메리즘)

 · 근본적 예방책 : 멘탈체/아스트럴체/에텔체의 정화, 통제, 적절한 자극

 - 기도의 효과적 작용이유 : 집중과 강도, 동기의 순수성에 비례/비물질적 존재들의 감응

 - glamour의 성격 : 타인의 오라권에 진입한 의식적 멘탈 이미지

 - 영적 훈련을 위한 스승과 제자간의 개인적 연결 및 생활

 

<상념센터>

o 특정주제에 관한 멘탈계의 단일 정보저장소

 - 아스트럴계의 집단적/다발적 아스트럴 block과 구별

 - 멘탈계에 형성된 상념체들의 진입경로

 - 상념의 실제 창조자의 의식에 직접적인 접촉 가능성

 - 특정 개념에 대한 상호공유 및 동일 정보의 물질계로의 동시적 표현가능


원인체

 

o 정의 : 현상계적 인간의 영적 자아가 거주하는 상위 신체

o 생성배경 : 개체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상위자아의 교두보 확보 필요성

o 위치 : 멘탈계 7차원 중 상위 제3계

o 형태

 - 의식진화 이전 : 구체적 형상을 지니지 못한 잠재적 상태

 - 의식진화 초기 : 미분화된 꽃봉오리 형태

 - 의식진화 이후 : 4쌍의 꽃잎의 형태를 지닌 방사성 원형

 - 영적 완성 이후 : 궁극적으로는 해체됨

o 구조 :  (4쌍×3=12개의 꽃잎)

 - 물질, 아스트럴, 멘탈 항구원자 : 존재의 질료적 차원

 - 주변의 3쌍의 꽃잎 : 존재의 의식적, 심령적 차원

  ·헌신의 꽃잎/사랑의 꽃잎/지식의 꽃잎

 - 중앙의 1쌍의 꽃잎 : 존재의 순수한 영적 차원

o 구성질료 : 상위자아의 영적 실질

o 기능

 - 인성자아의 카르마를 결정하는 물질, 아스트럴, 멘탈 항구원자의 결집장소

 - 의식 진화의 산물로서의 영적 진동(에너지)의 저장소

 - 상위 자아가 인성자아와 의식적으로 교류하기 위한 매개기능

 - 상위차원의 에너지를 인성자아에 전달하기 위한 중개기능

  ·각각의 꽃잎들은 물질계, 아스트럴계, 멘탈계에 대응하는 고유한 영향력을 행사하도록 설계되어 있

 - 각 항구원자에 내재한 스파릴래의 활성화에 기여함

  ·스파릴래의 순차적 각성→인간의 상위차원과의 의식적 교류증가→하위계에 대한 창조력과 영적봉

의 증가

o 다른 명칭 : 연꽃, 성배, 성전

o 상응하는 에너지

에너지의 차원

아트마계

부디계

상위 멘탈계

전달 에너지

영적 의지

사랑

영적 지성

수용기관

아트믹 항구원자

부딕 항구원자

마나식 항구원자

헌신의 꽃잎

사랑의 꽃잎

지식의 꽃잎

o 꽃잎의 개화순서는 모나드의 광선 및 개인적 카르마, 봉사활동 등에 따라 다름


진화의 기본법칙


태양계의 주기별 에너지 속성(현현에 사용된 질료에 반영됨)

작용광선

현현 상태

제1 현현기

Mind(Intelligence) Principle

3rd ray

pralaya

제2 현현기

Love­Wisdom Principle

2nd ray

현재의 태양계

제3 현현기

Will Principle

1st ray

다음 cycle

[ 태양계의 비가시적 진화구조 ]

7(/10) schemes

최하위차원행성기준

Vulcan, Mercury, Venus, Earth, Mars, Jupiter, Saturn

1 scheme

7 Chain periods

1, 2, 3(Moon Chain), 4(Earth Chain), 5, 6, 7

1 Chain

7 Rounds

43억2천만년. Maha-manvantara, kalpa,day of Brahma

1 Round

7 Globe periods

A, B, C(Mars), D(Earth Globe), E(Mercury), F, G

1 Globe period

7 root races

1.Etheric, 2.Hyperborean, 3.Lemurian(개체화),

4.Atlantean, 5.Aryan(현재), 6∼7(미도래)

1 root race

7 sub races

1.Hindu, 2.Aryo-Semitic, 3.Iranian, 4.Keltic,

5.Teutonic, 6.태동기, 7.미등장

1 sub race

7 branch races

 

o 진화의 일반경로 및 계층구조

Involution stage

Evolution stage

Life-wave의 흐름

 ⑧ Spiritual kingdom

   (영계, 7개의 상위 진화과정으로 세분화됨)

 ① 1st elemental kingdom

  (상위 멘탈 엘리멘탈 에센스)↓

 ★Initiation(비전)

 ⑦ Human kingdom(인간계)↑

deva계

 ② 2nd elemental kingdom

  (하위 멘탈 엘리멘탈 에센스)↓

 ★ Individualisation(개체화)

 ⑥ Animal kingdom(동물계)↑

 ③ 3rd elemental kingdom

  (아스트랄 엘리멘탈 에센스) ↓

 ⑤ Vegetable kingdom(식물계)↑

④ Mineral kingdom(광물계)↑

 - 각 kingdom의 진화기간은 평균적으로 one chain period.

  ·진화정도에 따라 기간이 조정됨

지구 Scheme의 chain 주기별 진화목표(human kingdom 진입후)

Chain period

1

2

3

4

5∼

Initiation level

1

3

4(Arhat)

5(Asheka)

6∼

o 집단 incarnation의 주기법칙

 - 특정 chain, round, globe, race에서 고등 진화된 집단은 다음 주기의 초기에는 하강하지 않음. ·이유

= 집단간 진화의 균형유지를 위한 목적.

o 대분리기

 - 일정 주기동안 진화의 목적을 달성한 집단과 비 집단간의 분리작용

 - 제4chain의 경우 : 1차=제5 round의 중반기. 최종=제7 round


일곱 광선

 

- 현상계의 현현 또는 창조과정은 상호 구별되는 몇 가지 독립적 작용들 및 이들의 상호작용으로 이루 어짐

- 이들 작용은 그 자체를 완성시키기 위한 상위계로부터의 에너지의 흐름으로써 자기 구현함

- 이러한 에너지는 전 우주의 다차원적인 측면에 포괄적으로 작용하여 현상계의 다양한 진화양상을 가 능케 함

- 그러므로 현상계의 모든 존재는 이들의 영향하에 놓여 있으며 직·간접적인 각종 심리적 충동/반응을 야기함

- 분류 : 1차적 원인광선 (제1∼제3광선), 2차적 파생광선 (제4∼제7광선)

[인간계에 대한 심리적 작용양태]

광선

명칭

유발되는 정신적 속성/기능

긍정성

부정성

1

의지와

생명, 자아와의 강한 동일성 인식

동일성에 근거한 강한 통합력

목표에 대한 직선적 몰입

지도력/효과적 감독능력/통치력

대담성/초연함/강한 독립심

자기중심성/완고함

지나친 자부심/거만함

타자에 대한 분리와 고립주의

권력욕/지배심/타자에 대한 억압/무모한 야망

파괴성/분노·폭력성/경직성/잔인성

2

사랑과

지혜

사랑을 통한 지혜의 인식

자력적·견인적 사랑

사랑을 통한 본질에 대한 이해력

정묘한 감수성(강한 고통의 원인)

순수진리에 대한 강한 사랑→직관적 이해

교수능력/포용성/인내심/평온함/성실성

두려움/자기연민/열등감

과민성/취약성

과도한 집착/지나친 자기보호/방어본능

지나친 수용성/신속성의 부재

축적 지향적인 공부(완벽주의 성향)

타인의 정신적 한계에 대한 경멸심

3

창조적

지성

추상적 사유능력

상관관계 및 상대성의 이해력

예리하고 강한 지성/엄격한 분석력

사유상의 논리적 결합력/커뮤니케이션

능력

지적 창의력/정신적 활동성 및 민첩성

Plan 및 전략수립/강한 적응력

경제행위의 이해 및 비즈니스능력

자금관리능력 및 자선행위

지적 오만/과도한 비판

모호하거나 지나치게 복잡한 생각의 표현

/방심상태(현실감각의 부재)

실제행동이 없는 과도한 사고작용

조작적/이해타산적/기회주의적

부정직함/지나친 현실적응

가치보다 효율성 및 성취도의 추구

과도한 활동/비휴식/무질서

4

조화와

갈등으로부터 조화의 창출

끊임없는 위기를 통한 성숙함

중재와 화해 및 조정능력

미에 대한 애정 및 창조, 표현력

섬세한 예술적 미적 감각

색채 및 소리, 음악에 대한 애착

작극 능력/유머 및 연예감각

창조적 상상력을 통한 문학적 재능

즉흥성/임기응변능력

갈등과 혼란에 끊임없이 말려듬

근심/동요/성마름

변덕스러움

과장, 과도한 극적 표현

신경질적(정서적 불안정), 비현실성

예측할 수 없는 행동

우유부단함. 양면감정(회피접근갈등)

지나친 타협주의/도덕적 소심함

무력증/나태/감정적 낙담/일의 연기

5

구체적

지식

과학적 사고 및 행동

사고 및 행동의 정확성

앎을 위한 예리하고 집중된 지성

수학적 계산능력/탁월한 분석 및 관찰력

얽매이지 않은 객관성

실험을 통한 검증능력

도구사용 및 실용적 발명능력

명확한 설명능력

지적 활동에의 지나친 몰입(하위 마나스에의

입)

지나친 분석/극단적 합리성

선형적 사고방식/감관에의 구속

지나친 의심과 회의주의

직관적 감수성의 결여/경직된 사고패턴/편협성

과 편견

오류에 대한 가혹한 비판의식

정서적 민감성의 부족

6

헌신과

이상

초월적 이상주의/추상작용

강한 헌신/자기헌신적 열정/충성심

불굴의 신념과 낙관주의/일심집중

진실성/영적 인도에 대한 수용성

정서적 고취 및 설득력

순수성/성스러움

광신, 군국주의

감정주의/이기적, 시기적 사랑(지나친 집착)

타인에 대한 현명치 못한 의존성

미신, 고지식함

자기비하, 자학주의, 순교자 컴플렉스

자연적 본성에 대한 억압

7

질서와

의식

질서와 규칙의 창조

물질계에 현현시키는 능력/의식주의

계획 및 조직능력/집단의 조절능력

세부사항의 관리능력(완벽주의)

탁월한 타이밍 감각/구축능력/통합능력

법의 이해력 및 시행의지

완고한 규율/형식주의

경직된 관례화/무의미한 의식의 반복/극단적

봉주의/극단적 완벽주의

물질주의

개인성에 대한 비관용/외면에만 근거한 피상적

판단

심령현상에 대한 탐착


일곱 광선과 인간 신체 패턴과의 관계

광선

1

2

3

4

5

6

7

멘탈체

방출형

단정적

통합형

 

원칙지향형

 

비판형

 

정신적인내

 

간결성

현실적

추상적

직관적

흡수형

 

보편적수동

 

포용적

불명확

부정확함

비단정적

(nondecisi

ve)

무비판적

활동적

논리적

분석적

 

연역적

(비실증적)

 

조작적

비판적

창의적

추상적

전략적

중개적

조화지향적

 

우유부단함

(indecisiv

e)

 

수용적

탈논리적

정서결합형

상상형

심미적

역설적

과학(구체)

집중적

분석,분리적

개념정의적

세부중시적

귀납적

객관적

기술적

탐구적

비판적

비자기적

비상상형

일심집중형

 

강한 고착

 

폐쇄형

 

극단적반복

 

완고함

 

선택적수동

사고구축형

조직적

조정형

규범(규칙)

사고

정제된 사고

세부중시형

의례 중시형

습관적

모방적

마법적

만트라적

비율

 

적음

D.K. 제자

적은

 

 

가장 적음

1비전 근처

서 발생가

아스트랄

정서적 힘

억압적

 

숨겨진 긴장

불안

 

파괴적

비통합적

강요적

 

애착기피형

정서적고립

애정형

평온함

신사적

 

비감정적

민감성

사교성

 

진실된 애

 

공감, 연민

보호형

심령현상유

 

자동적

정서반응

 

과도한활성

 

정서적 혼란

물질적 탐착

 

적응적 욕망

(욕망의 변

경)

지속적 갈등

호·불호의

반복

지나친

심기의 기

 

(부)조화에

한 빠른

반응

 

평화와 미

대한 정서

추구

예술적 감각

부재

 

비정서적상

 

멘탈체에

쉽게 통제됨

 

구체적 사물

대한 정

서적 관심

헌신적

의존적

통제력의부

과도한 욕망

일관된 감정

강한 집착

 

협소한

반응대상

 

용이한 gla

mor

규율화

통제된 감정

 

예측가능한

서반응

 

신체리듬에

속됨

 

물현화 충동

 

영매적 경향

비율

적음

적지 않음

매우 적음

적을 것으로

추정됨

매우 적음

매우 높음

매우 적음

육체/에텔체

물질환경에

강한

영향력

 

강한 신체적

너지

 

긴장,경직,

거북한 동작

 

신체적 분리

 

금욕적

 

활동적 두뇌

부드러움

 

예민함

 

비활동적

 

신체접촉형

 

물리적 충격

대한 과

도한 보호

강한 활동성

 

물리적 환경

에 대한 조

작능력의 발

 

신체적 회복

력과 내구성

 

물질적 환경

의 질서에

대한 무관심

고통에 대

저항력

활동적 성대


 

 

 

 

 

 

 


-

-

-

섬세함

균형잡힌동

힘과 민감성

구비

 

규칙적인

신체의 통제

 

훈련의용이

 

치료, 건설

적, 실용적

활동에서의

손의 사

비율

비교적 적음

매우 적음

매우 높음

-

-

매우 적음

매우 높음


o 인간의 영적 통합과정 : 인성의 통합→영혼과 인성간의 통합

o 영혼과 인격자아의 통합과정 : 양자간의 광선의 상호작용

 - 양자간의 상호작용 이전단계

 - 이원적 인식에 근거한 갈등의 과정

 - 점진적 교정, 적응, 조화의 단계

 - 복종의 단계

 - 점진적 통합과 상호작용 단계

 - 융합의 단계

o 광선간의 상호작용

 - 인간구성단위의 각 광선은 타 단위에도 영향을 줌

 - 의식진화 이전 상향작용, 진화 이후 하향작용 증가

o 영혼의 광선의 기능

 - 영혼과의 통합단계 이전 : 인성자아의 부정적 측면 심화

[광선별 통합단서]
광선1234567
인격자아의
통합방식
의지력사랑의
견인력

지적 적응력

조작능력

유동성

중재를 통한
갈등해소

관찰,분석력

실험능력

적용능력

열망

전투적 추구

일심집중

계획

조직·통제

구성

영혼과의
통합 단서
포용중심화평정확고부동함분리절제

올바른

방향감각

o 영혼과의 통합단서는 제1광선과 제2광선 중 필요 에너지의 유입을 의미함

 - 주의 : 인격자아의 통합단계에서 영혼과의 통합 단서를 강요해서는 안 됨

  → 물질계에서 필요한 기능획득을 위한 성장에 장애요인으로 작용 가능함

o 영혼과 인격자아의 광선조합 패턴 및 진화의 정도

 - 개인적 차원 : 물질계에서의 개인적 성격, 적성, 진로의 선택 및 합리적인 영적 진화방식에 단서를

제공함

 - 거시적 차원 : 광선에너지를 현상계에 유입하여 상위계의 계획을 구체화시키는 사실적 영향력

행사함(에너지의 초점기능)

o 영혼과 인격자아의 광선 조합 : 7×7=49

 - 영혼과 인격자아의 동일광선 여부 : 의식진화 후반기에 부분적으로 발생

o 인격자아 및 하위신체들의 광선은 매 화신마다 변경가능

 - 인격자아의 일부 선택가능성


출처: 마나스 스쿨


1. "Theosophia", Lydia Ross and Charles J, Ryan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