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터학당(學堂)-진리를 깨달아 자유를....나는 나다.
신심명 16 절언절려(絶言絶慮) 무처불통(無處不通) 본문
16 절언절려(絶言絶慮) 무처불통(無處不通)
말이 끊어지고 생각이 끊어지면 통하지 못할 곳이 없느니라.
말이 끊어진 절언(絶言)이란 말은 말을 하지 않는다는 의미로 말이 끊어졌다고 한 것이 아니다. 그런 의미에서는 다음 순간에 또 말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심지(心地)의 자리에 대해 공부하다 보면, 심지(心地)의 자리가 있다고 해도 틀리고 없다고 해도 틀리며, 있지도 않고 없지도 않다고 해도 틀리고 무엇이라 입만 열면 틀리니 무엇이라 말로 표현할 수 없음을 깨닫고 묵언(黙言)을 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 절언이다. 그리고 생각이 끊어진 곳, 절려(絶慮)된 곳은 곧 무념(無念)에 든 곳이다. 무념에 든 곳은 곧 무상삼매(無相三昧)에 든 것이고, 무상삼매에서는 ‘나’는 사라지고 법계와 하나가 된 것이니 시간과 공간 개념이 사라진다. 시공(時空)과 하나가 되었으니 통하지 않는 곳이 없다고 했다.
그래서 법성게에서 법성원융무이상(法性圓融無異相) 제법부동본래적(諸法不動本來寂) 무명무상절일체(無名無相絶一切) 증지소지비여경(證智所知非餘境)이라고 했다. 법성(法性)인 대도는 원융하여 두 모양이 없고, 모든 법은 부동(不動)하여 본래부터 고요하네, 이름도 없고 모양도 없어 일체가 끊어지니, 깨달으면 알 수 있는 바이나 다른 경계가 아니라고 했으니, 대도(大道)는 부동(不動)하여 본래부터 고요하다고 한 것은 본래부터 시(時)와 공(空)이 갈라지지 않았기 때문에 불생불멸이라는 뜻이니, 생멸하는 말이나 생각과 상응할 수 없다.
법성게의 법성은 신심명의 대도(大道)요 지도(至道)이다. 그리고 법성은 원융하다고 했으니 이도 통하지 않는 바가 없다는 뜻이다.
우리들의 수행목적이 무처불통(無處不通)을 얻는데 있고, 무처불통(無處不通)은 말이 끊어지고 생각이 끊어진데 있다고 했다.
생각할 수 있고 말로 할 수 있는 것은 좋다 나쁘다, 옳다 그르다, 있다 없다 등으로 표현되는데 이러한 표현은 나름대로 개념화된 것이다. 개념화된 것은 경험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제행무상(諸行無常)의 법칙에 따라 기복(起伏)이 있게 마련이다.
그러나 절언절려(絶言絶慮)는 말과 생각이 끊어진 자리이니, 무슨 생각이나 말로 표현될 수 있는 자리가 아니라는 말씀이니 적정(寂靜)한 자리 혹은 해탈한 자리이다. 적정한 자리에서는 아무리 작은 생각이 일어나도 움직이는 것이므로 고요함에 위배된다. 고요함 속에 있으려면 절언절려(絶言絶慮)가 되어야만 한다. 절언절려할 수 있는 것은 무념(無念) 무상(無相)에 들은 것이고, 무념무상에 들게 되면 해탈하여 적정(寂靜)에 든 것을 의미함으로 불생불멸속에 있는 것이다. 이를 무상삼매(無相三昧)라 한다. 일체(一切), 즉 시공(時空)이 하나가 된 자리이니 불생불멸하는 본래의 자리이고 무처불통(無處不通), 즉 통할 수 없는 곳이 없는 대도에 든 것이다.
이를 또 법성게에서는 ‘일중일체(一中一切) 다중일(多中一), 일즉일체(一卽一切) 다즉일(多卽一), 일미진중(一微塵中) 함시방(含十方), 일체진중(一切塵中) 역여시(亦如是), 무량원겁(無量遠劫) 즉일념(卽一念), 일념즉시(一念卽是) 무량겁(無量劫)이라 했다. 즉 하나 속에 모두 있고, 여럿 속에 하나 있어 하나가 모두이고 모두가 하나이니 한 티끌 가운데에 시방(十方) 세계 머금었고, 낱낱의 티끌마다 시방세계 들어있네. 한량없는 긴시간이 한 생각 순간이고, 한 생각 순간 속에 무량세월 들어있네.’라고 했으니 이를 간단히 표현하면 무처불통(無處不通)이 된다.
'영성수행 비전 > 신심명(信心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심명 18 수유반조(須臾返照) 승각전공(勝脚前空) (1) | 2023.10.01 |
---|---|
신심명 17 귀근득지(歸根得旨) 수조실종(隨照失宗) (0) | 2023.10.01 |
신심명 15 다언다려(多言多慮) 전부상응(轉不相應) (1) | 2023.10.01 |
신심명 14 견유몰유(遺有沒有) 종공배공(從空背空) (0) | 2023.10.01 |
신심명 13 일종불통(一種不通) 양처실공(兩處失功) (0) | 2023.1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