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숨터학당(學堂)-진리를 깨달아 자유를....나는 나다.

신심명 17 귀근득지(歸根得旨) 수조실종(隨照失宗) 본문

영성수행 비전/신심명(信心銘)

신심명 17 귀근득지(歸根得旨) 수조실종(隨照失宗)

柏道 2023. 10. 1. 08:58
 17 귀근득지(歸根得旨) 수조실종(隨照失宗)

    근본으로 돌아가면 뜻을 얻고 비춤을 따르다 보면 종취(宗趣)를 잃으리라.

 

귀근(歸根)의 근(根)은 뿌리 ‘근’으로 원점(原點)을 의미하는 것이니 마음속 근본이 되고, 득지(得旨)의 지(旨)는 맛있을 ‘지’이니, 합하면 뿌리의 맛, 혹은 원점의 맛을 알게 된다는 말씀이니, 즉 ‘마음속 근본에 돌아가면 대도의 뜻을 얻게 되지만’이 되고, 수조(隨照)의 수(隨)는 따를 ‘수’이고, 조(照)는 비출 ‘조’인데 앞의 근(根)의 상대는 마음 밖의 경(境)이 되니, 수조(隨照)는 밝게 비치는 외경(外境)을 따르면 실종(失宗), 즉 종취(宗趣)를 잃어버린다고 했다. 종취(宗趣)는 원칙(原則)이니 원칙을 잃는다는 의미이다.

먼저 귀근(歸根)의 근본은 어디에 있는가? 위 게송 16 절언절려(絶言絶慮) 무처불통(無處不通), 즉 말이 끊어지고 생각이 끊어지면 통하지 않는 곳이 없다고 한 곳에 근본이 있다고 볼 수 있고, 게송 11 지동귀지(止動歸止) 지갱미동(止更彌動), 즉 움직임을 그쳐 그침으로 돌아가니 그침이 다시 움직이게 되더라의 ‘지동귀지(止動歸止)’의 귀지(歸止)가 귀근(歸根)과 같은 뜻으로 해석된다. 귀지(歸止)는 지동(止動)에서 비롯되는 것이므로 절언(絶言) 절려(絶慮)가 곧 움직임을 멈추는 지동(止動)이 된다고 본다. 몸과 마음을 한 곳으로 모으고, 그 한 곳마저 사라지게 할 때 지동귀지(止動歸止)가 되고, 또 귀근(歸根)이 된다고 생각한다. 동(動)하는 것은 생멸하는 것이고, 지동(止動)은 생멸을 멈춘 것이니 귀지(歸止)는 생멸이 완전히 멈추어져 본래 고요한 자리, 불생불멸하는 자리로 돌아간 것이니, 바로 이 자리가 근본(根本)이 되는 것이다. 그러하니 귀근(歸根)은 근본이 되는 본래의 자리인 원점(原點), 즉 불생불멸의 자리로 돌아오다. 이다. 본래의 근본자리로 돌아오면 그 근본자리의 맛, 혹은 뜻을 얻을 수 있지만 눈 밖의 어떤 대상이 비추는 대로 따라가다 보면 오히려 망상에 걸려들어 제행무상(諸行無常) 제법무아(諸法無我) 적정열반(寂靜涅槃)의 종취를 잃게 된다는 뜻으로 해석한다. 화두를 잘못잡거나 그릇된 심상(心相)을 참된 것으로 알고 그를 비춰보고 따라가는 것이나, 지식을 쌓기 위한 노력, 명예(名譽), 재(財), 욕(欲)을 쫓는 것 등은 종취와 멀어지는 행위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