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터학당(學堂)-진리를 깨달아 자유를....나는 나다.
<도덕경> 64장 본문
<도덕경> 64장
64장
其安易持(기안이지) :
안<->난. 평안할 안. 이지-유지 하기가 쉽다
其未兆易謀(기미조이모) :
기미조-조짐이 없을 때. 조짐 조차 없다. 일 도모 쉽다
其脆易泮(기취이반) :
어릴 취. 어린 것은 격파 하기 싑다 <안 좋은 싹>
其微易散(기미이산) :
미세 할 적에 <먼지> 흐트리기 쉽다
난 難의 반대, 안 安
소나무 어릴 때 꺾지만 크면 톱으로도 힘 들다.
기안, 기미조, 기취, 기미
爲之於未有(위지어미유) :
뭔가 한다고 할 때는 일이 생기기 전에 하고
治之於未亂(치지어미란) :
뭔가 다스릴려 하면 혼란 전에 다스려라
혼란해 지버리면 다스리 지지 않는다
合抱之木(합포지목) :
아름드리 나무
生於毫末(생어호말) :
죄그만한 털 끝에서 싹이 나오더라
九層之臺(구층지대) :
구층의 누각은 <큰집>
起於累土(기어루토) :
한 줌의 흙으로 만들어 지더라
千里之行(천리지행) :
천리길은
始於足下(시어족하) :
발 아래로 부터 <그 자리> 시작 하나니
<한문 문장의 특이함 2,500년 3,000년이 지났는데 형태는 바뀌어도 뜻이 절대 안 바뀐다>
爲者敗之(위자패지) :
억지로 일을 하는 사람 <유위자> 실패하게 되어 있고
執者失之(집자실지) :
집자 <집착> 하는 것은 잃게 되어 있다.
是以聖人無爲故無敗(시이성인무위고무패) :
성인은 무위로 하기 때문 패하는 일이 없고
無執故無失(무집고무실) :
잡착 없다. 잊어 버린 것도 없느니라
民之從事(민지종사) :
사람들이 하는 일 <유심, 집착으로 하기에>
常於幾成而敗之(상어기성이패지) :
기성이 패지. 거의 이룰려다 실패.
愼終如始(신종여시) :
끝까지 조심을 처음처럼 한다면
則無敗事(즉무패사) :
실패 하는 일은 없을 것이다.
是以聖人欲不欲(시이성인욕불욕) :
정말로 성안은 하고자 하는데 욕심으로 안 한다.
不貴難得之貨(불귀난득지화) :
얻기 어려운 보배를 보배로 안 여기고
學不學(학불학) :
정말로 불학을 배워서 <도의 학문>
復衆人之所過(복중인지소과) :
모든 보통 사람들이 허물에서 복 <회복>
以輔萬物之自然(이보만물지자연) :
만물의 자연을 보좌한다
而不敢爲(이불감위) :
감히 하는 일이 없다
<PS>
철학무위한도인 哲學無爲閑道人
불교의 절학 絶學은 세속의 학문을 하지 않는 것
부처님 경전 공부 하지 말라는 것 아니다. <영양이 맞는 음식 먹는다>
학문에 집착하지 않는 학문 <불교는 타 종교와 부딪히지 않는다>
불자이면서 노자를 이야기 할 수 있고 <학불학 경지>에 왔기에 할 수 있다
복 復-허물 없는 되로 복귀 <그래서 공부 하는 거다>
불교의 진여연기 眞如緣起-자연에 순응하는 연기
태어났다. 20살애도 족하고 90에 죽어도 만족 <자연이치에 순응>
일반인은 화내고 성내는데 성인은 성 안내고 화 안내는 것 차이!
가장 미세한 것을 놓치지 <감정 하나 하나> 지켜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