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숨터학당(學堂)-진리를 깨달아 자유를....나는 나다.

절대 기도의 비밀 1700년-두 번째 비밀 - 5 본문

영성수행 비전/명상과 기도

절대 기도의 비밀 1700년-두 번째 비밀 - 5

柏道 2020. 2. 18. 17:47


절대 기도의 비밀 1700년

두 번째 비밀 - 5

 


healing - 두 번째 비밀 - 5 

가장 두려운 것 

 

우리가 영혼의 어두운 밤길을 걸어가는 목적은 

각자 가지고 있는 크나큰 두려움을 치유하기 위해서다.

 

두려워하는 대상은 각자 다르기 때문에 

어떤 사람에게 몹시 두려운 것도 

어떤 사람에게는 대수롭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럴드는 혼자 남겨지는 것을 끔찍하게 두려워했지만, 내가 그날 저녁에 제럴드보다 먼저 이야기를 나누었던 어떤 여자는 "혼자 있는 것"이야말로 더할 나위 없는 기쁨이라고 말했다.

 

 

혼자 있는 것을 두려워하는 사람은 흔히 관계의 달인이 되곤 한다. 예를 들어, 제럴드는 과거에 겪었던 연애 사건과 교우관계와 직장 생활이 절대 오래 지속될 수 없는 것이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파국을 맞이할 때마다 그것을 "실패한" 관계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실상은 달랐다.

 

 

그의 인간관계는 너무나 훌륭하고 원만했기 때문에 

가장 두려워하는 혼자 남겨지는 외로움을 피해서 살아갈 수 있었다. 하지만 자신의 삶에서 반복되는 패턴을 고치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인식조차 하지 못했기 때문에 그 두려움은 갈수록 희미해졌다. 결국, 삶은 피할래야 피할 수 없는 벼랑 끝으로 그를 몰아넣고는 밑으로 밀어버렸다.

 

  

영혼의 어두운 밤길은 평생 수없이 걷게 되지만 원래 처음이 가장 힘든 법이다.

하지만 최초의 경험은 강력한 변화의 힘을 지닌 것 같다. 

왜 큰 상처를 입었는지 이유를 깨닫고 나면 뼈아픈 경험이 새로운 의미로 다가온다.

 

문득 어두운 밤길을 걷고 있다는 생각이 들면 이런 말이 나올 것이다.

 

 

"맞아! 전에도 이런 적이 있었어! 그래, 나는 분명히 영혼의 어두운 밤길을 걷고 있는 거야. 그렇다면 무엇을 극복해야 하는 걸까?"

 

 

시련쯤이야 문제없다는 식으로 고통스러운 어두운 밤을 잘 이겨내는 강인한 사람들도 있다. 그들이 그렇게 의연할 수 있는 이유는 첫 번째 경험도 이겨냈으므로 극복하지 못할 것이 없다는 것을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 경험의 정체가 무엇이며 왜 그런 일을 겪어야 하는지 이유를 알지 못한 채 시련을 겪을 때는 반복되는 패턴 속에서 수년, 어쩌면 평생을 갇혀서 허우적대다가 가장 아끼는 것들을 모두 잃거나 심지어 생명까지 빼앗기게 되는 것이다.

 

 

 

해결되지 않은 상처가 생명을 단축하는 것도 모자라 아예 생명을 앗아갈 수 있을까? 이 의문에 대한 해답은 가히 충격적이다!

 

  

우리는 왜 죽는가? 

 

우리가 왜 죽는지 의문을 품어본 적이 있는가? 

 

전쟁이나 살인, 사고, 자연 재해, 열악한 생활양식과 같은 뻔한 이유들은 배제하고 생각해보자.

  

인간이 죽는 근본적인 원인은 무엇일까? 

전통과 종교가 암시하는 대로 우리가 신의 영혼가 지구의 몸을 가졌다면, 

그리고 의학이 믿는 대로 우리의 세포가 치유와 재생의 능력을 가졌다면,

 

왜 우리의 몸은 시들고 소멸해 가는 걸까? 이른바 "중년"을 거쳐서 백 살을 향해 나이를 먹어가는 동안 건강하고 활력이 넘치는 인생에서 점점 멀어지는 이유는 무엇일까?

 

 

나는 전 세계를 돌아다니며 워크샵에 참가한 사람들에게 이 질문을 수없이 던졌다. 그럴 때마다 사람들은 위에서 말한 이유들을 나열하면서 "늙은 나이"가 우리의 생명을 앗아간다고 대답한다. "사람은 그냥 나이를 먹으면 기능이 멈춘다." 는 전형적인 대답인 것이다. 언뜻 보면 죽음의 원인을 밝힌 의학 연구들은 이렇게 상식적인 대답과 일맥상통하는 것 같다.

 

 

이런 시각은 <건강 백과사전>에 실린 한 기사의 첫 문장에 가장 잘 요약되어 있는 것 같다. "기관과 조직, 세포의 변화 Changes in Organs, Tissues, and

 

Cells" 라는 제목의 이 기사는 이런 첫 문장으로 시작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생물의 기관이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기능을 잃기 시작한다고 생각한다.“

 

 

 

나는 그 대부분의 사람들과 의견을 같이 하지 않는다! 나는 우리의 몸이 어떻게 이루어져 있고 어떻게 기능하는지를 조사하면 할수록 노화에는 뭔가 다른 요인이 있음을 확신하게 되었다.

 

현대 의학의 모델로는 설명할 수 없는 그 무엇이 있다.

 

같은 기사에는 이런 가능성을 시사하는 내용이 나온다. 글의 저자는 나이가 들면서 신체가 쇠퇴하는 이유는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다고 말한다.

 

 

"어떠한 이론도 노화라는 변화를 완벽하게 설명하지 못한다."

 

 

다른 말로 하면, 세월이 감에 따라 인체가 소멸하는 원인은 아직 정확하게 알 수 없다는 뜻이다.

 

누구나 때가 되면 세상을 떠나겠지만 나이가 들고, 고통받고, 죽어가는 필연적 과정을 극복할 가능성은 없는 것일까



[출처] 두 번째 비밀 - 5|작성자 사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