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터학당(學堂)-진리를 깨달아 자유를....나는 나다.
천부경과 수심정기 2 - 천부경 전문해석 소개 본문
천부경과 수심정기 2 - 천부경 전문해석 소개천부경 해설
3) 천부경 해석
ㅡ, 글자 뜻대로 해석
하나(一)는 시작(始)이 없는(無) 시작(始)이다. 하나(一)는 세 끝으로 쪼개지되(析三極), 근본은 다함이 없다(無盡本). 하늘의 하나는 하나요(天一一), 땅의 하나는 둘이요(地一二), 사람의 하나는 셋이다(人一三). 하나를 쌓아(一積) 열로 커서(十鉅), 다함이 없이(無櫃) 셋이 된다(化三). 하늘의 둘은 셋이요(天二三), 땅의 둘도 셋이요(地二三), 사람의 둘도 셋이다(人二三). 큰(大) 삼(三)을 합(合)하면 여 섯(六)이니, 일곱 . 여덟 . 아홉을 낳아(生七八九) 돌고(運), 셋(三)과 넷(四)으로 고리를 이룬다(成環). 다섯(五) . 일곱(七) . 하나(一)는 묘하게(妙) 넘쳐흘러(衍), 무수히(萬) 가고(往) 와서(萬來), 쓰임(用)은 바뀌어도(變) 뿌리는 움직이지 않는다(不動本). 본래 마음(本 心)은 본디(本) 태양(太陽)이 높이 뜬 것처럼(昻) 밝으니(明), 사람(人)은 가운데(中)로서 하늘(天)과 땅(地)의 으뜸(一)이다. 하나(一) 는 끝(終)이 없는(無) 끝(終)인 하나(一)이다.
ㅡ, 최재충 선생의 해석
최재충 선생의 해석은 이 글에서 채택한 해석이므로, 약간 상세히 소개하기로 한다.
※ 천부경의 기본원리 까지 우리가 갖고 있는 수에 대한 모든 지식을 버리고 새로운 수의 세계가 펼쳐지는 양(量)과 질(質)의 수치를 지니고 있는 천부경을 통 하여 수를 볼 수 있어야 한다. 을 뿐이다. 있음과 없음이 한에서 나왔으며 없음속에서 만물이 나온다. 한은 시작의 끝이요,끝은 시작의 마지막이며 마지막의 시작이다. 이요 셋은 하나라는 의미이다. 만물의 구성요소는 셋으로 이루어진다. 모든 사물은 삼자의 관계에서 이루어진다고 볼 수 있다. 무진본은 다함이 없는 본디이니 존재의 사상의 근본을 말한다. 우리가 살고 있는 우주의 모습은 시공간이 처음과 끝, 상.하, 좌.우가 없 는 궁극적으로는 나로 돌아가는 둥굴음이다. 우주의 구성은 하늘. 땅. 사람이며 자연을 이루는 구성체는 공간, 물질, 시간이고 공간적으로는 가로, 세로, 높이이며 시간적으로는 과 거, 현재, 미래이며 인간을 이루는 구성체는 얼. 몸. 맘이다. 하나로써 우주와 자연과 인간을 만들었나니 그 근본은 한에서 이루어 졌고 한 은 영원한 것이다. 은 한인이요, 땅은 한웅이요, 사람은 한검이니 하나는 셋이요, 셋은 하나가 되는 삼위일체가 된다. 서 중성은 홀.짝의 반복만있기 때문에 양의 세계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무괘화삼은 일석삼극의 기본원리에 의한 것으로서 3진법을 기본구조로 한 30진법을 말한다. 따라서 수로 표시하면 1x10x3=30진 법을 나타내며, 각 개체수에는 3개의 조직수를 포함하고 있으며 각기 존재할 수 없고 상대적으로 합일하므로서만이 존재하는 기본을 구성 하고 있다. 10진법의 세계에서는 무한히 양을 더해가는 자연수의 성격을 지닌데 반하여 30진법은 구조적인 기본요소의 조직수가 되며 그 자체로 원심력(하늘,+), 구심력(땅,-), 중성력(사람, +-. -+)의 물리적인 힘의 합성이며 항상 30수로 순환한다. 그러나 개체수와 조직수만으로는 수의 체계적인 완성을 이루지 못한다. 이것은 다음에 나오는 '육생칠팔구운'에 의한 6생수 종합계열의 상위구조에 의해 총괄되므로 조직수의 수마다 종합수와 개체수를 함께 하는 3단구조를 이루어야 비로소 전체적인 유기조직이 완성된다. 수의 배열을 말하는데 30조직수는 내면조직의 10진수를 다시 상위 구조적인 생성종합수에 포함된다. 그러므로 다시 상대적인 수의 구조를 가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二)는 천지의 상대성과 삼(三)은 6생수로 일석삼극의 법칙을 구조화 한 것이다. 체계적으로 된 수의 조직화는 삼단구조에 의해서 하나의 질서율을 낳고 이 질서율에 의해서 공간, 물질, 시간이 통일된 운동을 하게 된다. 돌아가는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대삼합'은 종합생성수, 개체존재수, 법칙조직수의 세차원을 구조적인 큰 하나로 합하는 것이 된다. 이러한 삼중구조는 종합계 열의 6수에 우주가 생성하는 의미를 지녔으므로 '얼'을 이루는 종수가 되며, 개체계열의 10진수는 사물이 개체를 형성하는 존재적 의미를 지녔으므로 '몸'을 이루는 체수가 되고 조직계열의 30수는 사물이 변하는 운동원리와 자연법칙의 응용수가 되므로 '맘'을 이루는 용수가 된다. 루게 된다. 따라서 육(六)은 여섯으로 '열과 섯'의 합성어이며 여섯(종합수)으로써 열(개체수)은 성립된다. 이는 조직 6진이 다섯번 거듭 하여 30조직수를 이루고 다시 30조직수가 하나의 종합 6진형식을 구성한다. 또한 칠(七)은 일곱으로 일어나 곱하므로 일곱에 다시 6진형식이 제곱으로 시작되며 팔(八)은 열과 덜의 합성으로 된 여덟으로 미흡하 니 삼(三). 삼(三)은 구(九)로써 천지와 인간, 유무와 본체, 음양과 중성을 의미하며 이 아홉까지를 내포하는 것이 '열'이라는 체수이다. 왜냐하면 열개의 수사이에는 홈인 고랑이 아홉개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와 4계절의 순환을 의미하기도 하며 겨울의 삼한사온의 모습을 보여 주기도 한다. 셋(三)x넷(四)=12로서 시계바늘의 한바퀴에 해당되는 12시간이 되며 1년의 12개월이 되며 이것은 순환을 통하는 둥근원을 이룬다. 또한 셋은 '서다'로 물질은 3개의 다리가 있는 삼발이처럼 셋이 있어야 서서 존재할 수 있고 넷은 '너와 나'의 복합어로 무리를 나타내는 복수개념을 의미한다. 즉, 너는 인식의 대상이 되는 객체이며 상대적인 개념이고 나는 독자적 주체인 존재 자아이다. 그러므로 사람은 천지의 기운을 함께 지니게 된다. 따라서 기운을 받는 존재구조, 셋으로 '위. 오른. 아래'는 공간과 물질과 시간속에서 돌고 도는 것이다. 또한 그 하위구조인 13, 14, 15의 조직수를 갖기도 한다. 13은 다시 7과 1이라는 혼수로 복합구성을 한다. 따라서 '오칠일묘연'은 조직수 13의 구조를 분석하여 보면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게 된다. 왜냐하면 5 + 7 + 1=13이라는 수에서 열셋(13)은 발음구조상 '열세-열 쇠'임을 암시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5, 7, 1수는 상하, 좌우를 합하여도 모두 13이라는 수가 된다. 사실 조직수 13은 구조기호(+-, +, +)로 되었고 이것을 분해하면 '+ + +"와 '- + +'의 복합체이므로 조직수 1은 '+ + +'이며 조직수 7은 '- + +'이고 존재수 5는 창조수 3에 해당하는 인(人)으로 천지의 합성수이며 합성수는 중성성격으로 혼수(1, 7)인 복합구조를 갖는 묘수가 되므 로 '묘연'이라고 한다. 또한 존재수 10의 첫번째 조직수인 '28'의 혼수는 16과 22이므로 '오칠일묘연'의 댓기는 10, 22, 16묘연이 된다. 사라진다. 자연과 더불어 영원한 생명을 지니는 길은 스스로 마음을 해와 같이 하는 일이다. 사실 태양은 해이니 시간적으로 볼 때 지구가 태양의 둘레를 한바퀴 돌면 공전주기가 되는 1년이 되고 일(日)은 지구의 자전시간인 하루가 된다. 사람의 마음을 세월의 흐름에 관계없이 온누리에 드러낸다면 비로소 우주와 인간이 하나가 되는 것이다. 태양과 일체가 된 사람은 달이 태양에 겹쳐서 테가 나타난 일식처럼 성인들의 머리뒤에 나타나는 빛나는 띠처럼, 머리골에는 하나님이 내려와 빛을 나타낸다. 태양이 맘이요, 맘이 태양이니 자연과 인간은 일체가 되어 새로운 우주를 창조한다. 중성이며 중심자리가 된다. 모든 사물의 존재목적은 그 중심이 되는 인간의 가치완성에 있으며 가치완성은 사랑의 실천에 있다. 참다운 사랑의 실천은 널리 사람을 존중하며 이롭게 하는 핵이며 자기완성의 극치다. 법칙적으로 말한다면 마지막 일(一)은 끝의 일(一)과 동일한 숫자로 천부경 전문의 숫자는 30자가 되어 그 경문 자체로 이미 30진법임을 암시하고 있으며 이러한 법칙이 공식적으로 되풀이 되면서 보다 높은 차원으로 진행 변화된다. 따라서 이것을 순환법칙으로 볼 때는 처음과 끝이 마주치는 자리로 '0'이 되는데 '0'은 공(空)이며 무극의 자리가 되므로 숫자상의 표시 는 없게 된다. 그러므로 한(一)에서 낳음을 받은 '나'의 존재는 나의 완성을 나 스스로 깨우쳐 우주와 더불어 일체가 되는 일이다. -김창수, 천부경에 의한 정치윤리분석에 관한 시도(연세대학교대학원논문)-
ㅡ, 노주 김영의 선생의 해석
2 ) 노주 김 영 의 도에 사무치는 그 묘함도 하나만 같음이 없으니 하나의 뜻이 크도다. 고 하나는 둘을 낳고 둘은 셋에 이르되 그 변화가 다함이 없으므로 셋이 만물을 낳는다” 하였느니라. * 無 盡 本. 이 없느니라. 나뉨이라. 면 삼극이 되고 합치면 한 근본이 되느니라. 근본이니 그 이치 또한 깊이 합하니라. 사람을 세움의 도는 어짊과 옳음이라. 삼재를 겸하여 두 번 하나니 그러므로 역은 여섯 그음(六劃)으로 그 괘를 이룸이니라.’ 이 여섯에 하나와 둘과 셋을 더하면 일곱과 여덟과 아홉이 되는지라. 불어 깊이 합하니라. 란 삼극의 크게 합침이요, 일곱이란 여섯으로부터 나는 것이니 이 또한 근본의 변화함이라. 이룸도 말했으니 그 여섯을 말하지 않음은 뜻이 그 가운데 있음이니라. 이요, 이룬다 함은 만 가지가 다름으로 한 근본이라. 그 묘한 작용의 변화를 가히 측량하여 잴 수 없나니, 그 근본이 되어 일찍이 동작하는 바 있지 않으니라. 의 마음이라’ 하였으니 또한 이 뜻이니라. 다’하니 도의 근본이 있음을 말함이니라. 천지만물의 근본이 나와 일체가 되므로 이른바 천하의 큰 근본을 세우는 이는 이것에서 얻음이니라. 얻으면 만사가 끝난다’하였으니 그 정밀하고 미묘함을 다시 어찌 이에서 더하랴.
더 소개하고 싶지만 천부경 연구 방에 모아 놓은 것들이 있으니, 궁금한 분들은 그 자료들을 참고하기 바라며 다음 설명으로 넘어가기 로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