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터학당(學堂)-진리를 깨달아 자유를....나는 나다.
오강남교수의 도마복음 (1절) 올바르게 풀이하는 사람은 본문
도 마 복 음
The Gospel of Thomas
오강남교수의 도마복음 풀이
또 다른 예수
Patterson and Robinson Translation
1. 올바르게 풀이하는 사람은
해석과 깨달음의 중요성
그가 말씀하셨습니다. “이 말씀의 뜻을 올바르게 풀이하는 사람은 결코 죽음을 맛보지 아니할 것입니다.”
And he said, "Whoever finds the interpretation of these sayings will not experience death."
And he said, "Whoever finds the correct interpretation of these sayings will never die."
And he said: "Whoever finds the meaning of these words will not taste death."
이는 우리에게 주어진 종교적 진술에 대해 어떤“해석hermeneutics"을 하느냐가 우리의 영적 사활에 직결될 정도로 중요하다는 이야기이다. 이 중차대한 문제를 좀더 쉽게 이해하기 위해 크리스마스와 산타클로스 이야기를 예로 들어본다. 어릴 때는 내가 착한 어린이가 되면 크리스마스 이브에 산타 할아버지가 와서 벽난로 옆에 걸린 내 양말에 선물을 잔뜩 집어넣고 간다는 것을‘문자 그대로’믿는다. 이런 식으로 믿는 산타 이야기는 나에게 기쁨과 희망과 의미의 원천이기도 하다. 1년 내내 산타 할아버지의 선물을 위한 착한 아이가 되려고 애를 쓴다.
그러다가 나이가 들면서 우리 동네에 있는 집이 100집도 넘는데 산타 할아버지가 어떻게 그 많은 집을 밤 12시라는 같은 시각에 한꺼번에 찾아와 선물을 주고 갈 수 있는가, 우리 집 굴뚝은 매우 좁은데 그 뚱뚱한 산타 할아버지가 어떻게 굴뚝을 타고 내려올 수 있는가, 학교에서 배운 것에 의하면 호주는 지금 여름이라 눈이 없다는데 어떻게 눈썰매를 타고 갈 수 있을까 하는 등의 의심이 들기 시작한다.
그러다가 어느 날은 아빠 엄마가 내 양말에 선물을 넣는 것을 보게 되었다.‘아, 크리스마스는 식구들끼리 이렇게 서로 사랑을 주고받는 시간이구나. 이제 엄마 아빠에게서 선물 받을 것만 바랄 것이 아니라 나도 엄마 아빠와 동생에게 선물을 해야지.’하는 단계로 심화된다. 산타 이야기의 문자적 의미를 넘어서서 가족 간의 사랑과 화목과 평화스러움을 느끼는 계기가 된 것이다.
좀더 나이가 들어 크리스마스와 산타 이야기는 교회의 교인 전부, 혹은 온 동네 사람들 전부가 다 같이 참여하여 서로 선물이나 카드를 주고받음으로써 사람과 우의를 나누며 공동체의 유대를 더욱 강화하는 기회가 되고, 그러다가 교회나 동네뿐 아니라 온 나라 혹은 세계 여러 곳에서 고통당하는 사람들, 억울한 사람들까지 생각하는 사회적 의미를 깨닫게 된다. 좀더 장성하면, 혹은 더욱 성숙된 안목을 갖게 되면, 크리스마스 이야기란 어쩌면 신이 땅으로 내려오시고 땅과 인간이 그를 영접한다는 천지합일, 신인합일의‘비밀’을 해마다 경축하고 재연한다는 깊은 신비적 의미도 있을 수 있구나 하는 것까지 깨닫게 된다.
사실 산타 이야기만이 아니라 거의 모든 종교적 이야기에는 이처럼 여러 가지 뜻이 다중적多重的 혹은 중층적中層的으로 들어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실제로 영지주의 가르침에 의하면, 모든 종교적 진술에는 좀더 구체적으로 네 가지 의미 층이 있다고 한다.
문자적hylic 의미가 있고, 나아가 심적psychic 영적pneumatic 신비적mystic 의미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유대교 카발라 전통에서도 성경에는 표면적Peshat, 비유적Remez, 미드라쉬적Derash, 신비적/비의적Sod 의미가 있다고 가르친다.
따라서 종교적 진술을 대할 때 우리는 올바른 풀이를 통해 점점 더 깊은 뜻을 깨달아 나가야만 한다. 그렇지 못하고 문자적이고 표피적인 뜻에만 매달리면 우리의 영적 삶은 결국 죽어버리고 만다. 바울도“문자는 사람을 죽이고, 영은 사람을 살린다.”(고후3:6)고 했다.
이처럼 올바른 풀이를 통해 여기 주어진 메시지의 가장 깊은 차원의 영적ㆍ신비적
뜻을 깨달아 아는 사람은 우리 속에 있는 신성을 발견하게 됨으로써 새 생명을 찾을 수 있다. 육체가 죽어도, 옛 사람이 죽어도 그 속에 죽지 않는 생명이 있기 때문이다.
참고로 중국 도가道家 사상가 장자에 의하면, 들음에 4가지 단계가 있다고 한다. ‘귀’로 듣는 단계,‘기氣’로 듣는 단계, ‘비움[虛]’을 통해 도道가 들어와 도와 하나가 되는 단계가 바로 그것이다. 똑같지는 않지만 영지주의나 카발라에서 말하는 물리적 차원, 심적 차원, 영적 차원, 신비적 차원과 대략 상응하는 것 같아 신기하게 여겨진다. 세 단계를 지나 완전히 마음을 비우고 우리 속에 도가 들어오도록 준비하는 과정을 두고 장자는 심재心齋(마음 굶김)라고 했다.
“죽음을 맛보지 않는다.”는 말은 도마복음에 네 번 나온다.(제18, 19, 85, 111절)
이런 표현이 나오는 곳의 가르침은 특별히 중요하다는 뜻을 가지고 있음을 강조한 것이라 볼 수 있다. 특히 첫 절에서 해석의 중요성을 이야기하고 그것이 영적 사활과 관계된 것이라 했다는 사실은 의미심장하다.
'영성수행 비전 > 도마복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마복음서』에 나타난 영지주의 (0) | 2019.01.03 |
---|---|
오강남교수의 도마복음 풀이 -살아 계신 예수의 비밀의 말씀 (0) | 2019.01.03 |
오강남교수의 도마복음 (2절) 찾으면 혼란해지고 (0) | 2019.01.03 |
오강남교수의 도마복음(3a절) 천국이 하늘에 있으면 새들이 (0) | 2019.01.03 |
오강남교수의 도마복음 (3b절) 너 자신을 알라 (0) | 2019.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