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터학당(學堂)-진리를 깨달아 자유를....나는 나다.
독송용 한글 참전계경 - 제8장 응리훈 본문
독송용 한글 참전계경 - 제8장 응리훈 참전계경 공부
* 한글 참전계경 *
제8장 응리훈(應理訓)
제321조:응(應)
응이란 악은 그 보답으로 재앙을 받고, 선은 그 보답으로 복을 받는 것이니,
이에는 6과(果)와 39형(形)이 있느니라.
제322조:적(積),1과
정성은 인간이 하는 일의 근본이며, 응은 하늘이치가 표현되는 시장과 같으니라.
화와 복은 악행과 선행의 쌓임으로 말미암아 오나니,
큰 화를 내리시어 악한 사람에게 갚으며, 모든 복을 내리시어 착한 사람에게 갚느니라.
제323조:극존(極尊)
극존은 존귀의 지극함이요,
밝은이는 큰 덕을 받아, 큰 자리에 처하여 하늘과 땅에 원도하는 제사를 맡아 행하고,
사람과 종족에게 교화를 펴나니라.
제324조:거유(巨有)
거유는 후한 덕을 받고, 검소한 생활을 하며, 땅을 널리 가지고, 보화를 저장하고 있으므로,
근심을 끊고 비참함을 막느니라.
제325조:상수(上壽)
상수는 적선하는 사람은 양생함에 절도가 있어 산골이 몸으로 화하였으니,
해의 빛남을 받으며, 이슬 물을 마시어, 힘줄은 억세고 기운은 맑으며,
따뜻한 옷을 휘날리고, 맛있는 음식을 먹으며, 머리는 희끗하되,
어린 아이같은 혈기있는 얼굴로 나이를 늘려 수를 더하는 것이니라.
제326조:제손(諸孫)
제손은 적선하는 사람은 한 집이 열 집이 되고, 열 집이 백 집으로 번창하여,
부모의 인자함과 자식의 효도함이 깃같이 벌어지고, 화목과 화평이 숲처럼 짙어,
먹을 것이 넉넉하고, 입을 것이 흡족하며, 글 읽는 소리가 낮과 밤을 새우느니라.
제327조:강령(康寧)
강령은 적선한 좋은 가문에 태어나 아름다운 모습이 짝하기 드물고,
비단 옷과 고기 반찬으로 자라서 몸이 맑고 건강하며,
안락 속에 놁어서 달고 쓴 것이 들려오지 않느니라.
제328조:선안(仙安)
선안은 적선하는 사람은 참전계로 성도하여 명산과 승지를 주로 찾고,
뜻을 숭상함이 높고 크며,
성실함을 이루고 청백함에 힘쓰며,
양생으로 오래 오래 살다가 높은 하늘에 날아 오르느니라.
제329조:세습(世襲)
세습은 적선한 집안은 높은 전통을 잇기 위하여,
문무의 재주를 품고 장수와 재상의 소임을 받아,
그 공이 한 세상을 덮고 이름이 천추에 떨치는 것이니라.
제330조:혈사(血祀)
혈사는 적선한 집안은 도가 높고 덕이 무거워 하늘을 대신하여 교를 세우고,
사람을 감화하는 법을 이루어 만세에 스승이 되는 것이니라.
제331조:중(重),2과
종(倧)을 중히 함은 나라의 주체이기 때문이요.
전(佺)을 중히 함은 백성의 교본이기 때문이다.
난을 다스리는 근본원리가 모두 여기에서 나온 것이니,
밝은이는 정기를 산천에서 빚어 내어,
종을 일으키어 다스림에 도달하니, 하늘 물이 먼저 맑아지고,
전으로서 교화를 행하니 백산이 먼저 영검스러워 지니라.
제332조:복중(福重)
복이 거듭되면 크게 영화로우며, 대대로 부귀가 끊어지지 아니하여,
영리하고 준수한 인물이 뒤를 이어가게 됨으로 그 가문이 빛나느니라.
제333조:옥백(玉帛)
적선한 사람에게는 축복이 따르나니, 화려한 집에 살면서 금,은,옥백을 저장하고,
상인이 문에 가득차서 교역이 날로 번성하며,
한평생 안락하여 시비도 없고 송사도 없느니라.
제334조:절화(節化)
적선한 사람은 모두 이름난 학자를 스승으로 섬기나니,
살아서는 맑은 덕이 있으며, 죽어서는 착한 절개가 있느니라.
제335조:현예(賢裔)
선을 쌓아 복이 많아지면 어진 후손이 태어나며,
가난한 집안도 부흥하여 귀하게 됨으로 이름이 드러나며, 부호로서 세상에 알려지나니,
육친이 화락하고 일가 친척이 그 은혜애 감화되느니라.
제336조:건왕(建旺)
선을 쌓아 복이 많아지면 운과 때가 왕성하여 원도가 성취되며,
이웃이 화평하고 마을이 칭송하여 말하는 바를 따르니,
나무 심고 밭을 갈아서 가도가 풍성하리라.
제337조:길경(吉慶)
길경은 흉사는 가고 길사가 이르니, 구하지 않고 당기지 않아도 경사가 때때로 이르고,
자녀가 집안에 가득 차서 종신토록 기쁘니라.
제338조:세장(世章)
선을 쌓아 복이 많아지면 세세로 학업을 닦아 글과 먹이 서로 접하며,
속됨없이 편안하게 녹을 얻어 우아하게 자연스럽게 살며,
속세의 시끄러움을 떠나 물욕밖에서 소요함이니라.
제339조:담(淡),3과
사람의 근본이 맑으면 복이 이에 응하나니,
모든 사람들은 덕을 이루어 천하에는 실성한 사람이 한 사람도 없고,
백성은 위법하는 일이 한 가지도 없어, 나라의 근본을 밝고 맑게 하여,
사람의 정분에 적절히 합하고,
만물의 힘을 두루 보호하여 즐거움을 뭇 사람과 더불어 취하는 것으로,
다 같이 법과 식을 위하느니라.
제340조:응복(應福)
선을 쌓아 하늘의 복이 응한 자는 일생에 시비가 없고,
일생에 질병이 없어,늙어서는 자손이 향연을 베풀어 드림을 받고,
좋은 벗으로 세월을 보내느니라.
제341조:유고(裕庫)
선을 쌓아 복을 받아 관리를 넉넉하게 하는 사람의 창고는 오곡이 가득 차고,
정성과 믿음으로 일을 하여 쌀을 사고,팔음에 자기 권위대로 하더라도 아무탈이 없느니라.
제342조:무액(無厄)
선을 쌒아 복을 받은 자는 환란이 이미 사라져 없으므로 환난이 없고,
곤욕이 이미 비었으므로 곤욕이 없으며, 액이 이미 다했으므로 액이 없느니라.
제343조:이수(利隨)
선을 쌓아 복을 받은 자는 방해는 물러가고 이익은 따라오니,
이익의 가벼움과 이익의 무거움은 부지런함의 작음과 부지런함의 큼에 있느니라.
제344조:천권(天捲)
선을 쌓아 복을 받은 자는 재앙은 사라지고 재액이 물러감에
푸른 하늘에 구름이 걷혀짐과 같아서,
모든 착한 사람의 아내는 남편과 화합하여 복을 같이하고,
남편이 없는 착한 여인은 자손과 화합하여 복을 같이 하느니라.
제345조:영(盈),4과
악을 지어 화(禍)의 가득함을 경계하는 이는 밝은이 이며,
그렇지 못한 이는 중인(衆人)이라.
악을 버림에 게으르지 않고 꾸준히 선을 지키고 변하지 않으면,
이것이 화의 가득참을 경계함이라, 분수에 맞음이 곧 편안이니라.
제346조:뇌진(雷震)
악을 지어 화가 가득하면 패망하나니,
천지가 아득하고 질풍과 폭우에 우뢰가 대발하고, 벽력이 치는 곳에 전신이 타느니라.
제347조:귀갈(鬼喝)
악을 지어 화가 가득하면 악귀가 몸에 따르니 경영하는 일이 거의 이루어지다가 막히며,
구하는 이익이 장차 이루어지려다 깨뜨려지고, 말마다 반드시 비방이 따르고,
움직이면 반드시 노염움을 사게 되니,
마음은 초조해지고 혀는 타니, 그 육신이 죽어서야 끝나느니라.
제348조:멸가(滅家)
악을 지어 화가 가득하면, 산업은 바람에 날려 흩어지고,
자손은 서리맞은 낙엽처럼 쇠잔하니,
부부는 외롭고 외로워 백발 늙으막에도 울부짖음 뿐이니라.
제349조:절사(絶祀)
악을 지어 화가 가득하면, 대로 물린 재산은 그 식구를 보호하나,
그 재산을 보존하여 생전은 마칠 수 있으나, 다만 아들 딸 하나 없이 그 제사가 끊어짐이라.
제350조:실시(失屍)
악을 지어 화가 가득하면, 타향에서 나그네로 기약없이 떠돌다가,
거치른 언덕바지에 죽어간들 쓸쓸한 그 인생을 뉘하나 돌보는가.
제351조:대(大),5과
악에 대한 느낌이 크면 그 반응 또한 크리니,
양심에 부끄러운 짓이 많았다면, 그 화가 뒤따르지 않으리오.
백귀가 침노하니 그 이름과 육신이 같이 멸해지느니라.
제352조:인병(刃兵)
짓는 악이 늙은 사람은 하나로부터 아홉에 이르고
젊은 사람은 한결같이 지어 아홉에 이르나니, 모두 군사의 칼날에 해침을 받느니라.
제353조:수화(水火)
지은 악이 크면 흐르는 물에 집을 잃고,새어나오는 불에도 집을 잃으며,
떨어지는 물에 목숨을 잃고, 타는 불에도 몸을 상하나니라.
제354조:도적(盜蹟)
지은 악이 커서 험한 곳에서 도적을 만나면 사업의 자금을 잃고,
집 안에서 도적을 만나면 남은 재산을 잃느니라.
제355조:수해(獸害)
지은 악이 크면 높은 산마루와 깊은 숲에서 사나운 짐승의 해침을 입느니라.
제356조:형역(形役)
지은 악이 크면 젊을 때에 감옥에서 형벌의 고역을 받음이 많으니라.
제357조:천라(天羅)
지은 악이 크니 매양 날씨의 불리함을 만나고,
어려움에 다다라서는 몸을 뺴지 못하고, 일에 나아가서는 끝맺지를 못하니라.
제358조:지망(地網)
지은 악이 크면 길한 땅은 저절로 멀어지고, 흉한 땅은 저절로 가까워져,
어려움에 다다라서는 몸을 빼지 못하고 일에 나아가서는 끝 맺지를 못하니라.
제359조:급신(及身)
지은 악이 크면 뭇 사람이 같이 위험할 때, 그 위험이 혼자에게만 미치고,
열 사람이 같이 거처하매 그 재앙이 자기 몸에만 미치느니라.
제360조:소(小),6과
비록 착한 것이나 작다고 하여 하지 않고, 비록 악한 것이나 크지 않다고 해서 행함은,
이 또한 응하는 것은 작은 것이나, 경계하지 않을 수 없느니라.
제361조:빈궁(貧窮)
지은 악이 적으나 가난함은 스스로 보전하지 못하고, 궁함도 스스로 보존하지 못한다.
이를 면하고자 하지만 종신토록 면하지 못하느니라.
제362조:질병(疾病)
지은 악이 적으나 일생에 질병이 많아 사시(四時)에 그 차례를 잃으면,
시들어 떨치지 못하느니라.
제363조:패망(敗亡)
지은 악이 적으나 일마다 패하고 망하니, 하나도 성취됨이 없느니라.
제364조:미실(靡室)
작은 악을 지어도 아내도 없고 자식도 없어, 외로운 한 몸이 동쪽 회오리 바람에 말려
서쪽에 가서 떨어져버리느니라.
제365조:도개(道 ?)
지은 악이 적으나 의지할 곳도 없고, 깃들일 곳도 없어,
길거리에서 구걸하고 있으니, 아무도 구제하는 사람이 없느니라.
제366조:급자(及子)
지은 악이 적어도 아들은 아비의 화를 받나니,
여러 악한 사람의 아내는 남편과 함께 화를 같이 받고,
남편이 없는 약한 여자는 자손과 함께 화를 같이 받느니라.
출처 : 三聖의 역사
[출처] 독송용 한글 참전계경 - 제8장 응리훈|작성자 수한
'천지인 공부 > 참전계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참전계경의 구조(한글) (0) | 2020.03.04 |
---|---|
독송용 한글 참전계경 - 제7장 보리훈 (0) | 2020.02.10 |
독송용 한글 참전계경 - 제6장 복리훈 (0) | 2020.02.10 |
독송용 한글 참전계경 - 제5장 화리훈 (0) | 2020.02.10 |
독송용 한글 참전계경 - 제4장 제리훈 (0) | 2020.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