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터학당(學堂)-진리를 깨달아 자유를....나는 나다.
윷판, 살판, 놀이판[5]윷판의 명칭 본문
윷판, 살판, 놀이판[5]윷판의 명칭수요강좌/한민족 희망의편지
윷판, 살판, 놀이판[5] 윷판의 명칭
우리나라 민중의 중심철학은 윷판에 있다. 윷판에는 우주중심(北極星)에 좌정 하시고 계시는 하나님께서 인간세계에 내려오시는 과정, 즉 북극성- 북두칠성- 산정의 높은 나무- 나무아래 천제 단(天祭壇)- 천제 단 옆의 천지(天池, 井)- 하천- 강물-사람(영혼)까지의 이야기를 엮은 것으로 여기에는 우리의 각종 신앙의 역사가 담겨있다.
단순히 하나님의 강림부터 역사의 진행과정에서 전쟁과 자연재해 등의 변혁된 국민정서의 상생을 위한 신앙, 개천신화(開天神話), 환웅천황 강림에 관한 이야기 내용들이 깔려있는, 칠성(七星, 熊)신앙, 신목(神木, 神檀樹)신앙, 지신(地神)신앙, 수신(水, 龍神, 天池, 井)신앙, 등이 포함되어 윷판에 깔려있다,
전통적인 진리철학이 숨어있는 윷판에는 일신, 원, 방, 각, 등 국민으로서 갖추어야 할 천문, 지리, 인사의 도는 물론 한민족의 진리교육 철학이 숨겨져 있다. 윷은 박달나무로 만든다, 박달나무는 한 가지가 태극이고, 쪼개면 음양이 나온다. 윷가락 네 개는 앞뒤가 있어 팔괘를 뜻한다, 윷밭은 도, 개, 걸, 윷, 모, 오행이다, 4개의 말은 우주를 달리고 추격하고, 죽고 사는 상생 상극의 이치가 있다,
윷판에는 국가경영의 전략이 있다. 계절과 춘추변이와 우주를 섭리하는 진리가 있다. 그리고 작게는 우리나라 국민통합의 길이 있으며 크게는 우리의 고대영토와 동북아 영토회복의 길이 보인다. 그리고 더 나아가면 심오한 생명철학과 상생의 교훈이 담겨있으며 한민족 신학의 결정판이라고 하겠다.
윷판은 북두칠성의 사계절의 위치를 추적하여 배치한 그림이다. 그래서 윷판을 한마디로 칠성4계도라고 한다. 우리 한민족 고인돌 돌판 위의 별자리와 윷판을 보면 우주문명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일만 년 전 한인 시절에 하늘을 알며 우주를 향하여 하늘 공간을 찾아 나셨다. 우리 선조들은 이미 이때부터 우주를 연구하고 이를 활용하였다. 윷판을 살펴보면 북쪽 하늘을 중심으로 눈에 보이지 않는 우주의 벽을 3개의 경계로 나누어 자미원, 태미원, 천시원으로 구분하여 천문도를 만들고 그 후 천상열차분야도 를 제작하였다.
(1) 자미원 : 북극성을 중심으로 모여 있는 별들의 구역을 말한다. 자궁 자미궁, 자궐, 중궁이라는 명칭을 사용하며 진극(별들이 잇는 공간의 끝) 이라고도 하며 하늘의 중심이 되는 별자리이다. 임금이 계시는 궁궐에 비유하며 하늘의 중심으로 삼는 별자리이다.
(2) 태미원 : 28성숙 중에서 25번째-28번째 성숙인 장(張), 익(翼), 진(軫) 이북의 구역으로 나라 일을 다스리는 조정 정부에 해당한다. 승상과 장군 등 문무백관 중신들의 별이 있는 곳이다.
(3) 천시원 : 28성숙 중에서 4번째- 8번째 성숙인 방(房), 심(心), 미(尾), 기(箕), 두(斗) 이북의 구역으로 임금이 신하로부터 조회를 받는 곳으로 제성(帝星)이 임하는 명당이다.
28성숙의 별자리는 달이 지구를 한 바퀴 도는 궤도 즉 백도의 주기에 있는 별자리이다. 달의 공전 주기는 27,33일 이기 때문에 매일 달이 옮겨가는 위치에 있는 별들의 성좌를 표시한 것이 28성숙이다. 이를 사(舍)라고도 하는데 운행 순서는 동궁에서 시작하여 북 궁, 서 궁, 남궁으로 한다.
달이 이동하는 동서남북 4궁에 각각 7개의 별들을 배치하고 동서남북에 따라 동물이름을 부치고 있다. 동궁은 청룡, 서 궁은 백호, 남궁은 주작, 북 궁은 현무이다. 28숙의 이름은 동서남북에 사용한 동물들의 각 부위의 이름을 각 7개씩 붙이고 있다
* 동궁(靑龍) : 동방 청룡 7숙
각(角; 용의 뿔)- 28성숙 전체의 기준, 하늘의 관문, 춘분점이 있는 곳,
생성과 소멸, 위엄과 신용을 의미한다.
항(亢; 용의 목)- 천자의 집무실, 조공을 받고 송사 심리를 의미한다.
저(氐; 용의 가슴)- 천자가 거처하는 궁, 왕후가 거처하는 궁, 휴식처 의미.
방(房; 용의 배)- 천자가 정치를 펴는 궁, 명당을 의미한다.
심(心; 용의 심장)- 천자의 올바른 자리로 명당과 상벌을 의미한다.
미(尾; 용의 꼬리)- 황후, 후궁들의 거처, 아홉 자식을 의미한다.
기(箕; 용의 항문).- 천자의 후궁들이 있는 곳, 변방부족 의미한다.
* 북궁(玄武) : 북방 현무 7숙
두(斗; 거북과 뱀의 엉킴)- 하늘의 사당, 재산과 대신들이 모이는 조당.
병사의 수명. 남두6성으로 국자모양.
우(牛; 뱀의 모양)- 하늘의 관문. 교량. 희생과 제사에 사용 할 짐승관리.
여(女; 거북의 모양)- 하급관청, 하녀와 여종, 옷감 짜기, 결혼 주관 처.
허(虛; 거북의 몸통)- 제사와 기원관리. 슬피 우는 곡소리 관장.
위(危; 뱀의 몸통)- 하늘의 곳간. 궁실과 가옥 건축 관리.
실(室; 거북이가 있는 곳)- 천자의 궁실로 군량, 곳간, 토목공사관장,
벽(壁; 뱀이 있는 곳)- 문장을 주관. 천하의 책들을 보관하는 장소.
* 서궁(白虎) : 서방 백호 7숙
규(奎; 호랑이 눈)- 하늘의 무기고. 군대로 침략 폭도를 진압. 농지와 수리 시설 관리 관장.
루(婁; 호랑이 위장)- 하늘의 정원이자 감옥. 군주의 소집을 의미한다.
위(胃; 호랑이 위)- 하늘의 창고, 오곡이 있는 곳.
묘(昴; 호랑이 떨)- 하늘의 귀와 눈으로 정보수집 주관. 옥사 상례 주관.
필(畢; 호랑이 입)- 국경의 군사 관장, 비와 구름 주관.
자(觜; 호랑이 몸)- 요새의 관문으로 군수창고, 물자 수송 관장.
삼(參; 호랑이 꼬리)- 효도와 충성, 형벌을 다스림, 변방도시 관장
* 남궁(朱雀) : 남방 주작 7숙
정(井; 봉황의 벼슬) - 샘물로 치수, 법령을 주관.
귀(鬼; 봉황의 눈) - 사망과 질병, 간사한 모략관장, 제사와 축원 관장.
유(柳; 봉황의 입) - 하늘의 주방, 잔치, 우레와 비를 관리. 초원을 관장.
성(星; 봉황의 목) - 하늘의 도읍으로 옷과 무늬를 주관.
민병과 도적을 관리.
장(張;봉황의 모래주머니) - 종묘에서 사용하는 기물 과 의복, 음식주관,
손님접대를 관장.
익(翼;봉황의 날개) - 음악과 연극을 주관. 먼 곳의 손님 외빈관리 접대.
진(軫; 봉황의 발) - 황제를 보좌하는 신하. 수례 바람 죽음을 관장한다.
'천지인 공부 > 단군과 한민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윷판. 살판. 놀이판[7] 윷판중심 태극점 (0) | 2019.08.29 |
---|---|
윷판, 살판, 놀이판[6] 윷판의 주인공 (0) | 2019.08.29 |
환인(桓仁)의 천산(天山)에 관한 올바른 이해 (0) | 2019.08.29 |
윷판, 살판, 놀이판(4) 윷판의 수철학 (0) | 2019.08.29 |
윷판, 살판, 놀이판[3] 윷판의 기원 (0) | 2019.08.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