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터학당(學堂)-진리를 깨달아 자유를....나는 나다.
論 語-제 12 편 안 연 ( 顔 淵 ) 본문
論 語-제 12 편 안 연 ( 顔 淵 )
♣ 안연편은 공자와 제자, 제후들과의 대화를 기록한 것으로 주로 정치 쪽으로 많이 기록이 되었으며
바름(正)과 솔선을 이상형으로 삼았다.
1. 顔淵이 問仁하대 子曰 克己復禮 爲仁이니 一日克其復禮면 天下 歸仁焉하나니
안 연 문 인 자 왈 극기복례 위 인 일일극 기복례 천 하 귀인언
안연이 인에 대하여 묻자 공자께서 자기를 극복하여 예로 돌아감이 인이니 하루라도 자기를 이겨서
예로 돌아가면 천하가 인으로 돌아갈 것이다.
爲仁이 由己니 而由人乎哉아. 顔淵이 曰請問其目하나이다.
위 인 유 기 이 유 인호 재 . 안 연 왈 청문기 목
인을 이루는 데는 나로부터 비롯되는 것이니 어찌 남으로부터 비롯될 것인가 하셨다.
안연이 다시 자세히 가르쳐 주십시오 하니
子曰 非禮勿視하며 非禮勿廳하며 非禮勿言하며 非禮勿動이니라 ---
자왈 비례물시 비 례물청 비 례물언 비 례물동
공자께서 예가 아니면 보지를 말고 예가 아니면 듣지도 말며 예가 아니면 말도 하지 말며 예가 아니면 행하지 말 것이다.
2. 仲弓이 問仁한대 --- 己所不欲을 勿施於人이니 ---
중 궁 문 인 기 소불욕 물 시어 인
중궁이 인에 대하여 묻자 --- 자기가 하고 싶지 아니 한일을 남에게 시키지 말라.
3. 司馬牛 問仁한대 子曰 仁者는 其言也 訒이니라.
사 마우 문 인 자 왈 인자 기 언야 인
사마우가 인에 대하여 묻자 공자 말씀하시길 인이라는 것은 말하는 것을 참는 것이다..
☞ 행동하는 것 보다 말을 앞서지 말라는 뜻
4. 司馬牛 問君者한대 子曰 君者는 不憂不懼니라. ---
사 마우 문군 자 자 왈 군자 불 우불구
사마우가 군자에 대하여 묻자 군자란 근심하지 아니하며 두려워하지도 않는다.
☞ 군자는 어떠한 재난과 고통이 따른다 하드라도 마음이 흔들림이 없어야한다.
5. --- 子夏曰 --- 死生이 有命이오 富貴在天이라 --- 四海之內 皆兄弟也 ---
자 하왈 사 생 유 명 부귀재 천 사해지 내 개형 제야
(사마우가 묻자) 자하가 (공자에게서 듣고) 말하길 죽고 사는 것은 운명에 있고 부귀는 하늘에 달렸다 하며,
--- (남과 사귐에 공경과 예의를 다하면) 천하의 모든 사람들이 형제가 될 것이다.
7. 子貢이 問政한대 子曰 足食 足兵이면 民이 信之矣니라. --- 民無信不立이니라
자공 문정 자 왈 족식 족병 민 신지 의 민무신 불 립
자공이 정치에 대하여 묻자 공자께서 식량을 풍족히 하며 군비를 충족하게 하여 백성을 믿게 하는 것이다.
--- 백성들이 믿지 않으면 나라가 존립할 수 없다.
10. --- 子曰 --- 愛之란 欲其生하고 惡之란 欲其死하나니 --- 是惑也니라
자 왈 애 지 욕 기생 오 지 욕기사 시혹 야
(자장이 덕을 높이고 미혹됨을 분별하는 것에 대하여 묻자) 좋아하면 그가 살기를 바라며
미워하면 그가 죽기를 바라는 것이니 --- 이것이 바로 미혹이니라
11. --- 子曰 君君臣臣父父子子니이다. ---
군군 신신 부부자자
(제공경이 정치에 대하여 묻자) 임금은 임금답고, 신하는 신하답고, 아버지는 아버지답고 아들은 아들 다워야 한다.
14. 子張이 問政한대 子曰 居之無倦하며 行之以忠이니라.
자 장 문 정 자 왈 거지무권 행 지 이충
자장이 정치에 대하여 묻자 공자께서 항상 마음을 국정에 두어서 게을리 하지 말며 정사를 행할 때는 충실하게 할 것이다.
16. 子曰 君子는 成人之美하고 不成人之惡하나니 小人은 反是니라.
군 자 성 인지 미 불 성인 지악 소 인 반 시
군자는 남의 좋은 점을 권장하여 이루게 하고 남의 악한 일은 선도하여 못하게 하지만 소인은 이와 반대이다.
17. --- 孔子 對曰 政子는 正也니 子帥以正이면 孰敢不正이리오.
공 자 대왈 정자 정 야 자솔이 정 숙 감 부정
(계강자가 정치에 대하여 묻자) 정치는 정(正)이니 선생께서 솔선하여 바르게 행하면 누가 감히 바르게 행하지 않겠습니까.
☞ 帥(솔,수) : 거느닐(솔)은 率(솔)과 같은 뜻으로 쓰임 ,주로 장수(수)로 많이 쓰임.
19. --- 孔子 對曰 子 爲政에 焉用殺이리오. 子 欲善이면 而民이 善矣리니
공 자 대왈 자 위 정 언용 살 . 자 욕 선 이 민 선 의
君子之德은 風이오 小人之德은 草라. 草尙之風이면 必偃하오
군자 지 덕 풍 소 인지덕 초 . 초상 지풍 필 언
(계강자가 공자께 나쁜 놈들은 죽여서 기강을 바로잡으면 어떻냐고 묻자) 그대가 정치함에
어찌 사람을 함부로 죽이려 하시오 당신이 선을 추구하면 백성도 이에 따를 것이며
군자의 덕은 바람과 같고 소인의 덕은 풀과 같습니다. 풀에 바람이 불면 풀은 반드시 바람에 따르게 마련입니다.
21. --- 先事後得이 非崇德與아. 功其惡이오 無攻人之惡이 非脩慝與아. ---
선 사후득 비숭 덕여 . 공 기악 무 공인지 악 비 수특여
一朝之忿으로 忘其身하야 以及其親이 非惑與아
일 조지분 망 기신 이 급기친 비혹 여
(번지가 공자께 덕을 높이는 것과 사악함을 없애는 법과 미혹을 분별함에 대해 묻자) 일은 먼저 하고
이득은 뒤로 미루는 것이 덕을 숭상하는 길이 아니겠는가,
자신의 잘못은 따지고 남의 잘못은 따지지 않는 것이 악을 없애는 길이 아니겠느냐. ---
하루아침의 분을 참지 못하여 그 몸을 잊고 그 화를 부모에게까지 미치게 한다면
그것이 바로 미혹함(어리석음)이 아니겠는가.
22. 樊遲 問仁한대 子曰 愛人이니라. 問知한대 子曰 知人이니 ---
번지 문인 애 인 문 지 지 인
擧直錯諸枉이면 能使枉者直이니라.
거직조 저왕 능사왕 자직
번지가 인에 대하여 묻자 사람을 사랑하는 것이다. 앎에 대하여 묻자 사람을 알아보는 것이다 --
(번지가 말뜻을 못 알아듣자 다시) 정직한 사람을 등용하여 바르지 못한 사람 위에 두면
정직하지 않은 사람도 정직하게 된다.
23. 子貢이 問友한대 子曰 忠告而善道之하되 不可則止하야 無自辱焉이니라.
자 공 문 우 충 고 이선도지 불 가 즉지 무 자 욕 언
자공이 벗에 대하여 묻자 충고하여 이끌어 주되 말을 듣지 않으면 곧 중지하여
(지나친 충고로) 자신까지 욕됨이 없게 할 것이다.
☞ 벗은 의리로 맺어진 것이므로 충고하여 듣지 않으면 그만 두고
또 한번 충고하여도 듣지 않으면 진정한 친구로 사귈 수 없다.
[출처] 論語-제 12 편 안 연 ( 顔 淵 )|작성자 trman
'마스터와 가르침 > 공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論 語-제 14 편 헌 문 ( 憲 問 ) (0) | 2019.07.18 |
---|---|
論 語-제 13 편 자 로 ( 子 路 ) (0) | 2019.07.18 |
論 語-제 11 편 선 진 ( 先 進 ) (0) | 2019.07.18 |
論 語-제 10 편 향 당 ( 鄕 黨 ) (0) | 2019.07.18 |
論 語-제 9 편 자 한 ( 子 罕 ) (0) | 2019.0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