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터학당(學堂)-진리를 깨달아 자유를....나는 나다.
<대산의 천부경> 대산 김석진 : 주역으로 풀어 본 천부경 본문
우리말에서 ‘한’은 ‘하나’이면서 동시에 ‘하늘’을 뜻하였다.
일시무시일 ‘한(一)’에서 비롯됨이니 비롯됨이 없는 ‘한(一)’이다 천부경은 최초로 밝힌 우주 원리다. 하늘과 하나를 동시에 표현하여 ‘한’이라 한다. 무시(無始)는 천지가 생기기 이전이다. 무수한 시간 속에 무수한 천지가 있다. . 석삼극 무진본 세 극으로 나누어도 근본은 다함이 없다. 一은 시작도 없는 하나다. 하나가 셋이요, 셋이 하나다. 하나 이전도 없고, 하나 이후도 없다. 나누면 셋이요, 합하면 하나다.
천일일 지일이 인일삼 하늘은 하나이면서 첫 번째요, 땅은 하나이면서 두 번째요, 사람은 하나이면서 세 번째다. 원, 방, 각이 곧 천지인이다. 동서양이 모두 하나를 근원으로 삼는다. 모든 만물은 태극에서 나와 하나로 돌아간다. 영원히 변하지 않는 것은 하나다.
일적십거 무궤화삼 하나가 쌓여 열로 커가니 어그러짐 없이 삼극은 조화를 이룬다. 1에서 10까지는 하늘과 땅의 기본이 되는 수다. 10수에서 化三의 원리가 나온다. 음양 변화는 어그러짐이 없이 조화를 이룬다. 우주는 3의 조화에 의해 존재하며 발전한다.
천이삼 지이삼 인이삼 하늘도 둘이요 셋, 땅도 둘이요 셋, 사람도 둘이요 셋이다. 하늘에는 음양이 있고, 그 음양이 하늘과 합해 3이 된다. 음과 양은 상대를 살리기 위해 서로 뿌리가 된다. 하나가 셋으로 나뉘고, 둘이 셋으로 발전한다. 조화, 교화, 치화에서 하나라도 빠질 수 없다.
대삼합육 큰 셋을 합하여 여섯이 된다. 天三과 地三이 가장 큰 셋이다. 앞 40자, 뒤 40자의 중앙은 바로 6이다. 合六은 우주의 풀무다. 천지음양이 합한 六에서 사람과 만물이 生한다.
생칠팔구 일곱, 여덟, 아홉을 낳는다. 부모가 자식을 낳듯이 합육(合六)에 인삼(人三)을 더해 7,8,9,가 나온다. 人三을 이룬 후에 사람은 비로소 가정을 이룬다. 부부자 3인은 우주의 최소 원소다. 生은 始, 析, 合을 거친 단계적 인생 과정을 뜻한다.
운삼사 성환오칠 셋과 넷으로 운행하고, 다섯과 일곱으로 고리를 이룬다. 3과 4는 시간적 천도(天道)를 뜻한다. 5와 7은 공간적 지도(地道)를 뜻한다. 천부경은 동방 목도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하늘과 땅은 이치로서 서로 느껴 만물을 기른다.
일묘연 만왕만래 ‘한(一)’이 묘하게 커져 만이 되어 가고 만이 되어 오나니 묘함은 三一(본체)과 一三(작용)에서 나온다. 하나의 신묘한 작용은 신과 같다. 만왕만래는 만물 수 11,520과 같다. (주역의 괘수와 효수로 나옴) 일묘연은 만물을 살리는 묘한 작용이다.
용변부동본 쓰임은 변하나 근본은 변하지 않는다. 부동본은 생명 세계의 영원성을 의미한다. 근본을 알면 모든 일에 집착하지 않는다. 부동본은 천하의 어머니와 같다. 一心이 곧 不動本이다.
본심본 태양앙명 사람의 본심이 태양의 밝은 데 근본하니 하늘의 근본이 태양이라면, 사람의 근본은 곧 마음이다. 사람의 본심은 본래 하늘로부터 받은 것이다. 하늘의 태양은 밝음의 열매다. 사람은 마음을 통해 빛의 존재가 된다.
인중천지일 사람이 하늘 땅 가운데에 들어 하나가 된다. 사람은 만물 중에 가장 신령한 존재다. 사람은 피조물이 아닌 우주의 주체적 참여자다. 사람이 중정(中正)을 얻어 삼재에 바르게 선다. 인중(人中) 사상은 한민족 정신사의 대광명처다.
일종무종일 ‘한(一)’에서 마침이니 마침이 없는 ‘한(一)’이다. 셋이기 때문에 하나로 수렴한다. 종(終)다음에 반드시 시(始)가 오듯이, 끝이 없는 종(終)이다. 처음도 없고 끝도 없으므로, 다함이 없고 밖이 없다. 시작도 끝도 없는 ‘한(一)’, 이것이 천부경이다.
[출처] <대산의 천부경> 대산 김석진 : 주역으로 풀어 본 천부경 |작성자 한원 |
'천지인 공부 > 천부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지인> 한문화출판사 천부경 / 하늘과 땅과 사람의 가르침 (0) | 2020.03.06 |
---|---|
<천부경 태양의 코드> 문주희 (0) | 2020.02.06 |
동서양의 철학적으로 접근한 천부경풀이 <천부경 철학연구> 이근철 (0) | 2020.02.06 |
천부경 : 동서양의 철학과 역을 이용한 주해 /전병훈 (0) | 2020.02.06 |
<하늘이 전해준 빛 세상 이야기> 김인자 (0) | 2020.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