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숨터학당(學堂)-진리를 깨달아 자유를....나는 나다.

신심명 08 양유취사(良由取捨) 소이불여(所以不如) 본문

영성수행 비전/신심명(信心銘)

신심명 08 양유취사(良由取捨) 소이불여(所以不如)

柏道 2023. 10. 1. 08:46

08 양유취사(良由取捨) 소이불여(所以不如)

    취하고 버림으로 말미암아 (지극한 도와) 같지 않는 바이다.

 

앞에서 간택(揀擇), 증애(憎愛), 순역(順逆), 위순(違順)하는 마음을 갖지 말라고 하고, 여기에서는 또 취하고 버리는 마음을 갖지 말라고 했다.

그러나 사람이 살아가는데 취하고 버리는 마음을 갖지 않고는 살기 어려운 것이 아닌가? 그리고 사람마다 무엇을 취하고 버리는지는 다 다르지 않을까? 다름이 있기 때문에 어떤 사람은 취하고 버리는 일을 잘하여 잘살고, 취하고 버리는 일을 잘못하는 사람은 못사는 것이 아닐까? 즉 취사심을 바르게 작용하는 사람은, 하는 일마다 잘되고, 하는 일마다 잘되면 행복하게 살 수 있게 될 것이 아닌가. 그러나 취사심이 바르게 작용되지 못하는 사람이 하는 일은 잘 풀려가지 못하고 불행하게 되는 것은 아닐까?

어떻게 하여 어떤 사람의 취사심은 바르고 또 어떤 사람의 취사심은 바르지 못할까? 이익을 볼 수 있는 일인지 손해를 볼 일인지 사실을 사실대로 볼 수 있는 사람의 취사심은 바르게 되어있는 취사심이고, 사실을 왜곡되게 보고 취하고 버리는 사람은 하는 일이 바르게 될 수가 없다. 즉 일이 이익이 될 일인지 손해를 볼 일인지 사실을 왜곡되게 보니까, 이익이 될 일을 손해 볼 것이라고 착각해서 버리고, 손해를 볼 일을 이익이 될 것이라고 취하니, 취할 것은 버리고, 버릴 것은 취하는 잘못을 저지르게 되지 않을까. 이러한 사람은 하는 일들이 잘 풀리지 못하고, 불행할 수밖에 없다. 사실을 사실대로 볼 수 있는 사람은 이익이 될 일은 이익이 될 것이라고 볼 수 있고, 손해가 될 일은 손해가 될 것이라고 볼 수 있는 눈이 있다. 이러한 사람은 이미 탐욕이나 애욕을 멀리한 사람이기에 사리(事理)를 있는 그대로 볼 수 있는 안목이 있게 된다. 이들은 긴 것은 길다고, 단단한 것은 단단하다고 보고 긴 것은 긴대로 쓸 수 있는 곳이 보이고, 짧은 것은 짧은 대로 쓰일 곳이 보이게 됨으로 버릴 것도 없고, 특별히 취할 것도 없게 된다. 있으면 있어서 좋고, 없으면 없는 대로 편안하게 살아 갈 수 있는 마음이 취사심이 없는 마음이다.      

이치가 이러하니, 취하고 버림에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니라 사람들이 탐욕에 물들든지, 애욕에 눈이 어두워 취할 것을 취하려 하지 못하고, 버릴 것을 버리려 하지 못하는 어두움이 있는 것이 문제이다. 어두움이 없는 사람에게는 탐욕이나 애욕이 침투해 들어오지 못하므로 이 세상에 모든 것이 있는 그대로 아름답고, 있는 그대로 할 일들이 있으며, 있는 그대로가 즐거운 것인 줄 알기 때문에 특별히 취할 것도 없고 버릴 것도 없게 될 것이니, 이것이 바로 지극한 도와 같으니, 그렇지 않은 것은 지극한 도와 멀어질 수밖에 없다.    

사람을 선택함에 있어서도 특별히 원하는 것을 가지고 사람을 보면 그 조건에 가려 취할 것과 버릴 것에 착각을 일으키게 되지만 특별히 원하는 선입견을 갖지 않고 사람을 보면 그를 있는 그대로 볼 수 있게 되고,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지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