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터학당(學堂)-진리를 깨달아 자유를....나는 나다.
남본열반경. 대반열반경 제25권-23. 사자후보살품(師子吼菩薩品) ① 본문
남본열반경
대반열반경 제25권-23. 사자후보살품(師子吼菩薩品) ①
대반열반경 제25권
23. 사자후보살품(師子吼菩薩品) ①
그 때에 부처님께서 모든 대중에게 말씀하시었다.
"선남자여, 너희들이 만일 부처님이 있는지 없는지, 법이 있는지 없는지, 승가가 있는지 없는지, 괴롬이 있는지 없는지, 집(集)이 있는지 없는지, 멸(滅)이 있는지 없는지, 도(道)가 있는지 없는지, 실제[實]가 있는지 없는지, 내[我]가 있는지 없는지, 즐거움이 있는지 없는지, 깨끗함이 있는지 없는지, 항상한지 무상한지, 승(乘)이 있는지 없는지, 유(有)가 있는지 없는지, 인이 있는지 없는지, 과(果)가 있는지 없는지, 지음이 있는지 없는지, 업이 있는지 없는지, 과보가 있는지 과보가 없는지를 의심하거든, 너희 마음대로 물으라. 내가 너희들에게 낱낱이 해설하리라. 선남자여, 나는 진실로 하늘이나 사람이나 마군이나 범천이나 사문이나 바라문들이 내게 와서 묻는 것을 대답하지 못한 것이 없노라."
이 때에 그 회중에 이름이 사자후(師子吼)라고 하는 한 보살이 자리에서 일어나 용모를 단정히 하며 의복을 바로하고, 부처님 앞에 나아가 예배하고 무릎을 세우고 꿇어앉아 합장하고 부처님께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제가 지금 여쭙겠사오니, 여래께서는 크게 어여삐 여기시어 허락하시옵소서."
이 때에 부처님께서 대중에게 말씀하셨다.
"선남자여, 너희들은 이 보살에게 공경하는 마음으로 존중하고 찬탄하며, 가지각색 향과 꽃과 풍류와 영락과 번과 일산과 의복과 음식과 좌복과 의약과 집과 전당으로 공양하며, 영접하고 전송하여야 한다. 왜냐 하면 이 보살은 지나간 부처님들께 선근을 깊이 심어 복덕을 성취하였으므로 지금 내 앞에서 사자후를 하려는 것이니라. 선남자여, 마치 사자가 자기의 기운을 알고 날카로운 이빨과 발톱을 뽐내며 네 발로 땅을 짚고 굴속에 있으면서 꼬리를 휘두르며 소리를 내지르듯이, 이런 여러 가지 모양을 갖추면 이는 크게 사자후하려는 줄을 알 것이다. 참말 사자왕이 새벽에 굴 속에서 나와 몸을 다듬고 입을 벌리고 사방을 살피면서 벽력같이 소리를 지르는 것은 열한 가지 일을 위함이니라.
그 열한 가지란, 첫째는 사자가 아니면서 사자 행세를 하는 무리를 부수려는 것이요, 둘째는 몸에 있는 기운을 시험함이요, 셋째는 있는 곳을 깨끗이 하려는 것이요, 넷째는 새끼들로 하여금 있는 처소를 알게 하려는 것이요, 다섯째는 여러 동무들로 하여금 두려운 마음이 없게 하려는 것이요, 여섯째는 자는 놈을 깨우려 함이요, 일곱째는 마음 놓은 짐승들이 정신을 차리게 하려 함이요, 여덟째는 여러 짐승들로 하여금 와서 복종케 하려는 것이요, 아홉째는 향상(香象)들을 조복하려 함이요, 열째는 새끼들을 가르치려는 것이요, 열한째는 자기의 권속들을 장엄하려는 것이니라. 모든 짐승이 사자후하는 소리를 들으면, 물에 사는 짐승들은 물속으로 깊이 들어가고 뭍에 사는 짐승들은 굴속에 숨고, 날아다니는 놈들은 떨어지고, 향상들은 넋을 잃고 똥을 싸느니라.
선남자들이여, 여우는 사자를 백 년 동안 따라다니어도 사자후를 하지 못하는데, 사자의 새끼는 3년만 되어도 큰 사자처럼 사자후하느니라. 선남자여, 여래 정각(正覺)께서는 지혜의 이빨과 발톱이며, 4여의족(如意足)과 6바라밀을 만족한 몸에, 10력이 용맹하고 대비로 꼬리를 삼아서 4선정의 청정한 굴에 있으면서, 중생들을 위하여 사자후하나니, 마군을 쳐부수고 중생에게 10력을 보이며, 부처님이 행하는 곳을 나타내어 사견(邪見)을 가진 사람에게 귀의 할 바를 지으며, 생사를 두려워하는 중생들을 무마하여 무명의 졸음에서 깨어나게 하며, 나쁜 짓을 행하는 이가 뉘우침을 내게 하고, 사견을 가진 중생들을 깨우치느니라. 육사외도는 사자후가 아닌 줄을 알게 하려는 연고며, 부란나(富蘭那)들의 교만한 마음을 깨뜨리려는 연고며, 2승들로 하여금 뉘우치는 마음을 내게 하려는 연고며, 5주(住) 보살들로 하여금 큰 힘을 구하는 마음을 내게 하려는 연고며, 바른 견해를 가진 사부대중으로 하여금 사견을 가진 4부중에게 두려운 생각이 없게 하려는 까닭으로, 거룩한 행·청정한 행·하늘의 행을 하는 굴속으로부터 몸을 쭉 펴면서 나오는 것은, 모든 중생들로 하여금 교만을 깨뜨리려는 까닭이며, 입을 벌리는 것은 중생들로 하여금 선한 법을 내게 하려는 까닭이며, 사방을 살피는 것은 중생들을 4무애(無礙)를 얻게 하려는 까닭이며, 네 발로 땅을 짚는 것은 중생들로 하여금 지계(持戒)바라밀에 구족히 머물게 하려는 까닭이니, 그러므로 사자후하는 것이니라. 사자후라 함은 결정한 말이니, 모든 중생이 모든 불성이 있으며, 여래는 항상 계시어서 변하지 않는다는 것이니라.
선남자여, 성문이나 연각들은 한량없는 백천 아승기겁 동안에 여래 세존을 따라다니더라도 사자후를 하지 못하거니와, 10주 보살이 이 세 가지 행을 닦기만 하면 능히 사자후할 것을 알지니라. 선남자여, 이 사자후보살마하살이 이제 이러한 대사자후를 하려는 것이니, 그러므로 너희들은 마땅히 깊은 마음으로 공양하고 공경하고 존중히 여기고 찬탄하여야 하느니라."
그 때에 세존께서 사자후보살마하살에게 말씀하시었다.
"선남자여, 그대가 물으려거든 이제 마음대로 물으라."
사자후보살마하살이 부처님께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어떤 것을 불성이라 하오며, 무슨 뜻으로 불성이라 이름하오며, 무슨 까닭으로 항상하고 즐겁고 나이고 깨끗하다 하나이까? 만일 모든 중생에게 불성이 있다면 어찌하여 모든 중생들에게 있는 불성을 보지 못하나이까? 10주 보살은 무슨 법에 머물렀으므로 분명하게 보지 못하고, 부처님께서는 무슨 법에 머물렀으므로 분명하게 보나이까? 10주 보살은 무슨 눈이기에 분명하게 보지 못하며, 부처님께서는 무슨 눈이기에 분명하게 보나이까?"
부처님께서 이렇게 말씀하시었다.
"선남자여, 장하고 장하다. 어떤 사람이나 법을 위하여 물으면, 이는 두 가지 장엄을 구족하나니, 하나는 지혜요 다른 하나는 복덕이니라. 만일 보살이 이런 두 가지 장엄을 구족한 이라면 곧 불성을 알며, 불성이라 이름하는 것도 알 것이며, 내지 10주 보살은 무슨 눈으로 보고, 부처님 세존들은 무슨 눈으로 보는 줄을 알 것이니라."
사자후보살이 세존께 또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어떤 것을 지혜 장엄이라고 하고 어떤 것을 복덕 장엄이라 하나이까?"
"선남자여, 지혜 장엄이라 함은, 1지(地)로부터 10지에 이르는 것을 지혜 장엄이라 하고, 복덕 장엄이라 함은 보시바라밀로부터 내지 반야에 이르는 것이요, 반야바라밀은 아니니라. 또 선남자여, 지혜 장엄은 부처님과 보살들을 말함이요, 복덕 장엄은 성문·연각과 9주 보살을 말하는 것이니라.
또 선남자여, 복덕 장엄은 함이 있는 것이요, 유루(有漏)요, 유(有)가 있고 과보가 있고 걸림이 있고 항상하지 아니한 것이니, 그는 범부의 법이요, 지혜 장엄은 함이 없는 것이요 무루요 유가 없고 과보가 없고 걸림이 없고 항상 머무는 것이니라. 선남자여, 그대는 이 두 가지 장엄을 구족하였으므로, 깊고 묘한 이치를 묻는 것이며, 나도 이 두 가지 장엄을 구족하였으므로, 이 이치를 대답하는 것이니라."
사자후보살마하살이 세존께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만일 보살이 이러한 두 가지 장엄을 구족하였다면 한 가지 두 가지를 물을 것이 아니온데, 어찌하여 세존께서 말씀하시기를 한 가지 두 가지를 대답한다 하시나이까? 왜냐 하면 모든 법에는 한 가지 두 가지가 없는 까닭이니, 한 가지 두 가지라 함은 범부의 집착이니이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시었다.
"선남자여, 만일 어떤 보살이 두 가지 장엄이 없다면, 한 가지 두 가지를 알지 못하려니와, 보살이 두 가지 장엄을 구족하였으므로 한 가지 두 가지를 이해하느니라. 모든 법이 한 가지 두 가지가 없다 함은 이치가 그렇지 아니하니라. 만일 한 가지 두 가지가 없다면, 모든 법은 하나도 없고 둘도 없다고 어떻게 말하겠는가. 선남자여, 만일 한 가지 두 가지가 범부의 집착이라 하면 이는 곧 10주 보살이라 이름할 것이요, 범부가 아니니라. 왜냐하면 하나라 함은 열반이요 둘이라 함은 생사이기 때문이니라. 어찌하여 하나를 열반이라 하는가. 항상한 까닭이요, 어찌하여 둘을 생사라 하는가, 애(愛)와 무명인 까닭이니라. 항상함을 열반이라 함은 범부의 모양이 아니요, 생사를 둘이라 함도 범부의 모양이 아니니, 이런 뜻으로 두 가지 장엄을 구족한 이는 능히 묻고 능히 대답한다 하느니라.
선남자여, 그대가 묻기를 '어떤 것을 불성이라 하느냐' 하였으니, 자세히 들으라. 내가 그대에게 하나하나 해설하리라. 선남자여, 불성은 제일의공(第一義空)이라 하고, 제일의공은 지혜라 이름하느니라. 공이라 말하는 것은 공한 것이니 공하지 아니한 것을 보지 않는 것이요, 지혜라 함은 공한 것이나 공하지 아니한 것과, 항상한 것이나 무상한 것과, 괴로운 것이나 즐거운 것과, 나인 것이나 내가 없는 것을 보는 것이니라. 공이란 것은 온갖 생사요 공하지 않다는 것은 대열반이며, 내지 내가 없다는 것은 생사요 나라는 것은 대열반이니라. 온갖 공한 것만 보고 공하지 않은 것을 보지 못하는 것은 중도(中道)라 이름할 수 없으며, 내지 온갖 내가 없는 것만 보고 나를 보지 못하는 것은, 중도라고 이름할 수 없느니라. 중도란 것은 불성이라 이름하나니, 이런 뜻으로 불성은 항상하여 변하지 아니하거니와, 무명에 덮이어서 중생들로 하여금 볼 수 없게 하느니라. 성문과 연각은 모든 공한 것만 보고 공하지 않은 것은 보지 못하며, 내지 모든 내가 없는 것만 보고 나인 것은 보지 못하나니, 이런 뜻으로 제일의공을 얻지 못하며, 제일의공을 얻지 못하므로 중도를 행하지 못하고, 중도가 없으므로 불성을 보지 못하느니라.
선남자여, 중도를 보지 못하는 데 세 가지가 있으니, 하나는 결정코 즐거운 행이요, 둘은 결정코 괴로운 행이요, 셋은 괴롭기도 하고 즐겁기도 한 행[苦樂行]이니라. 결정코 즐거운 행이라 함은, 보살마하살이 모든 중생들을 불쌍히 여기므로 비록 아비지옥에 있더라도 3선천락과 같이 여김이요, 결정코 괴로운 행이라 함은 범부들을 말함이요, 괴롭기도 하고 즐겁기도 한 행이라 함은 성문과 연각이니, 성문과 연각은 괴롬과 즐거움을 행하면서 중도라는 생각을 하나니, 이런 뜻으로 비록 불성이 있으나 보지 못하는 것이니라.
그대가 묻기를 '무슨 뜻으로 불성이라 이름하느냐' 하나니 선남자여, 불성이라 함은 곧 모든 부처님의 아눗다라삼먁삼보디의 중도 종자니라.
또 선남자여, 도에는 세 가지가 있으니, 하와 상과 중이니라. 하라 함은 범천이 무상함을 항상하다고 잘못 보는 것이요, 상이라 함은 생사가 무상함을 항상하다고 잘못 보고, 삼보가 항상함을 무상하다고 잘못 여기나니, 어찌하여 상이라 하는가. 가장 위 되는 아눗다라삼먁삼보디를 얻을 수 있음이니라. 중이라 함은 제일의공이라 이름하나니, 무상한 것은 무상하다 보고 항상한 것은 항상하다 보느니라. 제일의공은 하라고 이름하지 아니하나니, 왜냐 하면 온갖 범부들이 얻지 못하는 까닭이며, 상이라고 이름하지 않나니, 왜냐 하면 곧 상인 까닭이니라. 부처님과 보살들의 닦는 도는 상도 아니고 하도 아니니, 이런 뜻으로 중도라 하느니라.
또 선남자여, 생사의 본고장[本際]이 두 가지가 있으니 하나는 무명이요 하나는 애(愛)니라. 이 두 가지 중간에 나고 늙고 병들고 죽는 고통이 있나니 이것을 중도라 하느니라. 이와 같은 중도가 생사를 깨뜨리므로 중도라 하며, 이런 뜻으로 중도의 법을 불성이라 이름하며, 그러므로 불성은 항상하고 즐겁고 나이고 깨끗하건만 모든 중생들이 보지 못하므로, 무상하고 즐겁지 않고 내가 없고 깨끗하지 않다 하거니와, 불성은 진실로 무상하고 즐겁지 않고 내가 없고 깨끗하지 않은 것이 아니니라.
선남자여, 마치 가난한 집에 숨은 보배[寶藏]가 있지만 이 사람이 보지 못하는 연고로 무상하고 즐겁지 않고 내가 없고 깨끗하지 못하다가, 어떤 선지식이 말하기를 '그대의 집에 숨은 보배가 있거늘, 어찌하여 이렇게 빈궁하고 곤고하여 무상하고 즐겁지 않고 내가 없고 깨끗하지 아니한가' 하면서 방편으로 보게 하거든, 이 사람이 보았으므로 곧 항상하고 즐겁고 나이고 깨끗하게 되는 것과 같으니라. 불성도 그와 같아서 중생들이 보지 못하며, 보지 못하므로 무상하고 즐겁지 아니하고 내가 없고 깨끗하지 못하거니와, 선지식인 부처님이나 보살들이 방편으로써 가지가지로 가르쳐 보게 하면, 보았으므로 중생이 곧 항상하고 즐겁고 나이고 깨끗함을 얻느니라.
또 선남자여, 중생들이 소견을 일으킴이 두 가지가 있으니, 하나는 항상하다는 소견[常見]이요 둘은 아주 없다는 소견[斷見]이니라. 이러한 두 소견은 중도라 이름하지 아니하니라. 항상함도 없고 아주 없다는 것도 없음은 곧 12인연을 관찰하는 지혜니, 이것을 불성이라 하니라. 2승들은 비록 12인연을 관찰하여도 불성이라 이름하지 못하나니, 불성이 항상하지만 모든 중생들은 무명에 덮였으므로 보지 못하느니라. 또 12인연의 강을 건너지 못함은 토끼나 말과 같나니, 왜냐하면 불성을 보지 못하는 까닭이니라. 선남자여, 12인연을 관찰하는 지혜는 곧 아눗다라삼먁삼보디 종자니, 이런 뜻으로 12인연을 불성이라 이름하느니라. 선남자여, 마치 오이[胡苽]를 열병이라 이름하나니, 왜냐하면 열병의 인연이 되는 연고며, 12인연도 그와 같으니라. 선남자여, 불성은 인이 있고 인의 인[因因]이 있으며, 과가 있고 과의 과[果果]가 있느니라. 인은 12인연이요 인의 인은 곧 지혜며, 과는 아눗다라삼먁삼보디요 과의 과는 곧 위없는 대반열반이니라.
선남자여, 마치 무명이 인도 되고 인의 인도 되며, 식(識)이 과도 되고 과의 과도 되나니, 불성도 그와 같으니라. 선남자여, 이런 뜻으로 12인연은 나지도 않고 멸하지도 않으며 항상하지도 않고 아주 없지도 않으며 하나도 아니요 둘도 아니며 오는 것도 아니요 가는 것도 아니며 인도 아니요 과도 아니니라. 선남자여, 인이요 과가 아님은 불성과 같고, 과요 인이 아님은 대반열반과 같고, 인도 되고 과도 됨은 12인연으로 생긴 법과 같거니와, 인도 아니요 과도 아님을 불성이라 이름하나니, 인도 과도 아니므로 항상하여 변함이 없느니라.
이런 뜻으로 나의 경에서 말하기를 '12인연은 그 뜻이 매우 깊어서, 알 수도 없고 볼 수도 없고 생각할 수도 없으므로 부처님과 보살의 경계요, 성문이나 연각으로 미칠 것이 아니라' 하였느니라. 무슨 까닭으로 매우 깊다 하는가. 중생의 업행(業行)은 항상하지도 않고 아주 없지도 않지만 과보를 얻으며 비록 잠깐 잠깐에 멸하지만 잃어지지 아니하며, 짓는 이는 없지만 짓는 업은 있으며, 받을 이는 없지만 과보는 있으며, 받는 이가 멸하더라도 과보는 없어지지 아니하며, 생각하여 앎이 없지만 화합하여 있느니라. 모든 중생들은 12인연과 함께 행하면서도 보지 못하고 알지 못하며, 보지도 알지도 못하므로 나중과 처음이 없느니라. 10주 보살은 나중만 보고 처음을 보지 못하거니와, 부처님 세존은 처음도 보고 나중도 보나니, 이런 뜻으로 부처님께서는 분명하게 불성을 본다 하느니라.
선남자여, 모든 중생은 12인연을 보지 못하므로 바퀴 돌 듯 하느니라. 선남자여, 마치 누에가 고치를 만들어서 스스로 나고 스스로 죽듯이 모든 중생들도 그와 같아서, 불성을 보지 못하므로 스스로 번뇌의 업을 짓고는 나고 죽는 데서 헤매나니, 공을 치는 것 같으니라. 선남자여, 그러므로 내가 여러 경전에서 말하기를 '만일 사람이 12인연을 보는 이는 곧 법을 보고, 법을 보는 이는 곧 부처님을 본다 하였으니, 부처님께서는 곧 불성이니라. 왜냐 하면 모든 부처님이 이것으로 성품을 삼는 연고니라. 선남자여, 12인연을 보는 지혜에 네 가지가 있으니, 하나는 하(下)요 둘은 중이요 셋은 상이요 넷은 상상이니라. 하품 지혜로 관하는 이는 불성을 보지 못하나니, 보지 못하는 연고로 성문의 도를 얻고, 중품 지혜로 관하는 이는 불성을 보지 못하나니, 보지 못하는 연고로 연각의 도를 얻고, 상품 지혜로 관하는 이는 보아도 분명치 못하나니, 분명치 못하므로 10주지(住地)에 머물고, 상상품 지혜로 관하는 이는 분명히 보나니, 그러므로 아눗다라삼먁삼보디 도를 얻느니라. 이런 뜻으로 12인연을 불성이라 이름하나니, 불성은 곧 제일의공이요, 제일의공은 중도라 하고 중도는 부처라 이름하며 부처는 열반이라 이름하느니라."
그 때에 사자후보살마하살이 부처님께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만일 부처님과 불성이 차별이 없다면, 모든 중생들은 도를 닦아서 무엇하오리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시었다.
"선남자여, 그대가 물은 것은 옳지 아니하다. 부처님과 불성이 비록 차별이 없으나, 모든 중생들이 모두 구족하지 못하였느니라. 선남자여, 어떤 사람이 나쁜 마음으로 어미를 살해하고 해한 뒤에 뉘우침을 내었다면, 두 가지 업이 비록 선하더라도 이 사람은 지옥 사람이라 이름하나니, 왜냐하면 이 사람은 마땅히 지옥에 떨어질 것이 결정되었기 때문이니라. 이 사람에게 비록 지옥의 5음과 18계와 6입이 없더라도 오히려 지옥 사람이란 이름을 얻는 것이니라. 선남자여, 그러므로 내가 여러 경전에서 말하기를, 만일 어떤 이가 선한 일을 닦으면 하늘 사람을 본다 하고 나쁜 일을 행하면 지옥을 본다 하나니, 왜냐 하면 반드시 그 과보를 받는 까닭이니라. 선남자여, 모든 중생이 결정코 아눗다라삼먁삼보디를 얻을 것이므로, 내가 말하기를 온갖 중생이 모두 불성이 있다 하였으나, 모든 중생이 참으로 32상과 80종호를 갖추지 못하였나니, 그러므로 내가 이 경에서 게송을 말하였느니라.
본래는 있으나 지금은 없으며 본래는 없으나 지금은 있으니
이 세상 앞 세상 지난 세상에 있다는 모든 법 옳은 곳 없나니.
선남자여, 있다는 것에 세 가지가 있으니, 하나는 다음에 있는 것이요 둘은 지금에 있는 것이요 셋은 지난 적에 있는 것이니라. 모든 중생이 오는 세상에 아눗다라삼먁삼보디를 얻을 것이니 이것을 불성이라 하고, 모든 중생이 지금에 번뇌의 결박이 있으므로 현재에 32상과 80종호가 없으며, 모든 중생이 지나간 세상에 번뇌를 끊은 일이 있었으므로 현재에 불성을 보게 되는 것이니라. 이런 뜻으로 내가 항상 말하기를 모든 중생이 다 불성이 있으며, 내지 일천제들도 불성이 있다고 하였느니라. 일천제들은 선한 법이 없으며 불성도 선한 법이거니와, 오는 세상에 있을 것이므로 일천제들이 불성이 있다 하나니, 왜냐 하면 일천제들도 결정코 아눗다라삼먁삼보디를 이룰 수 있는 까닭이니라. 선남자여, 마치 어떤 집에 우유와 타락이 있는데, 다른 이가 묻기를 그대에게 소(酥)가 있느냐 하니, 대답하기를 있노라 함과 같나니, 타락이 실로 소는 아니지만, 공교한 방편으로 소를 만들 수 있으므로 소가 있다고 하는 것이니라. 중생도 그와 같아서 모두 마음이 있으며, 마음이 있는 이는 결정코 아눗다라삼먁삼보디를 이룰 수 있나니, 이런 뜻으로 모든 중생이 다 불성이 있다고 내가 떳떳하게 말하느니라.
선남자여, 필경에 두 가지가 있으니, 하나는 장엄필경(莊嚴畢竟)이요 둘은 구경(究竟)필경이며, 하나는 세간필경이요 둘은 출세간필경이니라. 장엄필경은 6바라밀이요 구경필경은 모든 중생이 얻을 1승(乘)이며, 1승은 불성이라 하나니, 이런 이치로 내가 말하기를 모든 중생이 다 불성이 있다고 하느니라. 모든 중생이 다 1승이 있건만 무명에 덮이어서 보지 못하는 것이니라. 선남자여, 북구로주나 33천은 과보가 덮이어서 여기 있는 중생이 보지 못하는 것과 같나니, 불성도 그러하여 번뇌에 덮이었으므로 중생들이 보지 못하느니라.
또 선남자여, 불성은 곧 수릉엄삼매니 성품이 제호(醍醐)와 같으며, 여러 부처님의 어머니이니, 수릉엄삼매의 힘으로써 부처님들로 하여금 항상하고 즐겁고 나이고 깨끗하게 하느니라. 모든 중생이 다 수릉엄삼매가 있건만 닦아 행하지 않으므로 보지 못하며, 그러므로 아눗다라삼먁삼보디를 이루지 못하느니라. 선남자여, 수릉엄삼매에 다섯 가지 이름이 있으니, 하나는 수릉엄삼매요 둘은 반야바라밀이요 셋은 금강삼매요 넷은 사자후삼매요 다섯은 불성이다. 그 짓는 대로 따라서 곳곳마다 이름을 얻느니라. 선남자여, 한 삼매가 가지가지 이름을 얻나니, 마치 선(禪)에는 4선이라 하고, 근(根)에는 정근(定根)이라 하고, 역(力)에는 정력이라 하고, 각(覺)에는 정각(正覺)이라 하고 정(正)에는 정정(正定)이라 하고, 8대인각에는 정각(正覺)이라 하는 것과 같아서, 수릉엄삼매도 그와 같으니라.
선남자여, 모든 중생이 세 가지 정(定)을 구족하였으니 상과 중과 하니라. 상정은 불성을 말함이니, 그러므로 모든 중생이 다 불성이 있다는 것이며, 중정은 모든 중생이 초선(初禪)을 구족한 것이니, 인연이 있으면 닦아 익히고 인연이 없으면 닦지 못하느니라. 인연에 두 가지가 있으니, 하나는 화재(火災)요, 둘은 욕계의 결박을 깨뜨리는 것이니라. 그러므로 모든 중생이 모두 중정을 구족하였다고 말하느니라. 하정은 10대지(大地) 중에 심수정(心數定)이니, 그러므로 모든 중생이 다 하정을 구족하였다고 말하느니라. 모든 중생이 다 불성이 있지만, 번뇌에 덮이어서 보지 못하는 것이며, 10주 보살이 비록 1승을 보지만 여래가 항상 머무는 법인 줄을 알지 못하나니, 그러므로 10주 보살이 비록 불성을 보더라도 분명치 못하다 하느니라. 선남자여, 수릉(首楞)이라 함은 온갖 일이 필경이란 말이요, 엄(嚴)은 견고하단 말이니, 온갖 일이 필경에 견고함을 얻으므로 수릉엄이라 하며, 그러므로 수릉엄정(首楞嚴定)을 불성이라고 이름하느니라.
선남자여, 내가 어느 때 니련선하에서 아난에게 말하기를, 내가 지금 목욕하려 하니 너는 옷과 비누를 가져오라 하고 물에 들어갔더니, 온갖 나는 새와 물에 살고 뭍에 사는 붙이들이 모두 와서 나를 보고, 또 5백의 범지(梵志)들이 강가에 왔다가 나에게 와서 서로 말하기를 '어떻게 금강 같은 몸을 얻었는가, 만일 구담이 아주 없다는 소견을 말하지 않는다면 나도 그를 따라서 재계하는 법을 받으리라' 하거늘, 내가 그 때에 타심통[他心智]으로 범지의 마음을 알고 범지에게 말하였다.
'어찌하여 내가 아주 없다는 소견을 말한다 하는가?'
범지는 이렇게 대답했다.
'구담이여, 먼저부터 여러 경에서 말하기를 모든 중생들이 모두 내가 없다고 하였다. 내가 없다고 하였으니 어찌 아주 없다는 소견이 아니라 하겠는가. 만일 내가 없다면 계행을 갖는 이는 누구며, 계행을 파하는 이는 누구겠는가?'
나는 이렇게 말하였다.
'나는 모든 중생이 모두 내가 없다고 말하지 아니하였고, 모든 중생들에게 불성이 있다고 말하였으니, 불성이 어찌 내가 아니겠는가. 이런 뜻으로 나는 아주 없다고 말하지 않았건만, 모든 중생이 불성을 보지 못하므로 무상하고 즐겁지 않고 내가 없고 깨끗하지 못한 것이니, 이것을 아주 없다는 소견이라 하느니라.'
이 때에 여러 범지들은 불성이 곧 나라고 말함을 듣고 아눗다라삼먁삼보디 찌따를 내고는 마침내 출가하여 보리도를 닦았으며, 나는 새와 물에 살고 뭍에 사는 붙이들도 위없는 보리의 마음을 내었으며, 마음을 내고는 곧 몸을 버리었느니라. 선남자여, 이 불성이 실로는 내가 아니지만 중생을 위하여 나라고 이름한 것이니라. 선남자여, 여래는 인연이 있으므로 내가 없는 것을 말하여 나라 하였으나, 실로는 내가 없으며 비록 이런 말을 하였으나 허망하지 아니하니라. 선남자여, 인연이 있으므로 나를 말하여 내가 없다 하였으나, 실로는 내가 있는 것이며, 세계를 위하여서 내가 없다 하였으나, 허망하지 아니하니라. 불성은 내가 없건만 여래가 나라 말한 것은 이것이 항상한 까닭이며, 여래는 나건만 내가 없다고 말한 것은 자재함을 얻은 까닭이니라."
그때에 사자후보살마하살이 부처님께 이렇게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모든 중생에게 다 불성이 있는 것이 금강역사와 같을진댄 무슨 이치로 모든 중생들이 보지 못하나이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시었다.
"선남자여, 마치 색법(色法)이 비록 푸르고 누르고 붉고 흰 것이 다르고, 길고 짧은 모양이 있지만, 소경은 보지 못하는 것이며, 소경이 보지 못한다 하여서, 푸르고 누르고 붉고 희고 길고 짧은 모양이 없다고 말할 수 없는 것과 같으니라. 왜냐 하면 소경은 비록 보지 못하나 눈이 있는 이는 보는 까닭이니, 불성도 그와 같아서 중생들은 보지 못하나 10주 보살은 일부분을 보고 여래는 전부를 보나니, 10주 보살이 불성을 보는 것은 밤에 빛깔을 보는 것과 같고, 여래가 보는 것은 낮에 빛깔을 보는 것과 같으니라. 선남자여, 마치 애꾸눈이 물체를 분명하게 보지 못하지만, 용한 의원이 눈병을 치료하면 약의 효력으로 분명하게 보게 되듯이 10주 보살도 그와 같아서 불성을 보더라도 분명치 못하지만, 수릉엄삼매의 힘으로 분명하게 볼 수 있느니라.
선남자여, 만일 어떤 사람이 온갖 법[一切法]도 무상하고 내가 없고 즐겁지 않고 깨끗하지 않은 줄로 본다면, 이런 사람은 불성을 보지 못하느니라. 온갖 법은 생사라 이름하고, 온갖 법 아닌 것은 삼보를 이름한 것이니, 성문과 연각은 온갖 법이 무상하고 내가 없고 즐겁지 않고 깨끗하지 않은 줄을 보고, 온갖 법 아닌 것도 무상하고 내가 없고 즐겁지 않고 깨끗하지 않은 줄로 보나니, 이런 뜻으로 불성을 보지 못하느니라. 10주 보살은 온갖 법은 무상하고 내가 없고 즐겁지 않고 깨끗하지 않은 줄을 보고, 온갖 법 아닌 것은 부분적으로 항상하고 즐겁고 나이고 깨끗함을 보나니, 이런 뜻으로 십분 가운데서 일분을 보느니라. 부처님 세존은 온갖 법은 무상하고 내가 없고 즐겁지 않고 깨끗하지 않은 줄로 보고, 온갖 법 아닌 것은 항상하고 즐겁고 나이고 깨끗한 줄로 보느니라. 이런 뜻으로 불성 보기를 손바닥에 있는 아마륵 열매를 보듯 하나니, 이런 뜻으로 수릉엄정을 필경이라 이름하느니라. 선남자여, 마치 초하루 달을 볼 수는 없으나 없다고 할 수도 없나니, 불성도 그와 같아서 모든 범부들이 보지 못하지만 불성이 없다고 할 수는 없느니라.
선남자여, 불성이라 함은 10력과 4무소외(無所畏)와 크게 불쌍히 여김과 3념처(念處)니라. 모든 중생은 모두 세 가지로 번뇌를 깨뜨림이 있으므로, 그런 뒤에야 보는 것이요, 일천제들은 일천제를 깨뜨린 뒤에, 10력과 4무소외와 크게 가엾이 여김과 3념처를 얻나니, 이런 뜻으로 내가 항상 말하기를, 모든 중생들이 모두 불성이 있다고 하느니라.
선남자여, 12인연은 모든 중생이 평등하게 가진 것이며, 안에도 있고 밖에도 있느니라. 무엇을 인연이라 하는가. 과거의 번뇌를 무명이라 하고, 과거의 업을 행(行)이라 하고, 현재 세상에 처음으로 태에 드는 것을 식(識)이라 하고, 태에 들어서 5분(分)과 4근(根)이 구족하지 못한 것을 명색(名色)이라 하고, 4근을 구족하였으나, 촉(觸)이라 이름할 수 없는 때를 6입(入)이라 하고, 괴롭고 즐거움을 분별하지 못하는 것을 촉이라 하고, 한 가지 사랑[一愛]에 물드는 것을 수(受)라 하고, 5욕을 익히어 가까이함을 애(愛)라 하고, 안과 밖으로 탐하여 구함을 취(取)라 하고, 안과 밖의 일을 위하여 몸과 입과 뜻으로 업을 일으킴을 유(有)라 하고, 현재 세상의 식을 미래의 생(生)이라 하고, 현재의 명색·6입·촉·수를 미래 세상의 늙고 병들고 죽는 것이라 하나니, 이것을 12인연이라 이름하느니라. 선남자여, 모든 중생이 비록 12인연을 가지었으나 혹은 구족하지 못하니, 가라라(歌羅羅) 때에 죽으면 12인연이 없고, 생으로부터 늙고 죽는 데 이르면 12인 연을 구족하는 것이니라. 색계의 중생들은 세 가지 수와 세 가지 촉과 세 가지 애가 없고, 늙고 병드는 일이 없지만, 12인연을 구족하였다 이름하며, 무색계의 중생들은 색도 없고 내지 늙고 죽음도 없지만 역시 12인연을 구족하였다 이름하나니, 반드시 얻을 것인 까닭이며, 그러므로 중생들이 평등하게 12인연을 구족하였다 하느니라. 선남자여, 불성도 그와 같아서 모든 중생들이 마땅히 아눗다라삼먁삼보디를 이룰 것이므로, 모든 중생들이 다 불성이 있다고 내가 말하느니라.
선남자여, 설산에 이름을 인욕(忍辱)이라 하는 풀이 있는데, 소가 먹으면 제호가 나는 것이요, 또 이상한 풀이 있으니 소가 먹으면 제호가 없어지느니라. 비록 제호가 없어지더라도 설산에 인욕초가 없다고 말할 수 없나니, 불성도 그와 같으니라. 설산이라 함은 여래를 말함이요 인욕초는 대반열반을 말함이요, 이상한 풀은 12부경을 말함이니라. 중생이 만일 대반열반을 듣고 물으면 불성을 볼 것이니, 12부경 가운데서 있다는 말을 듣지 못하였으나, 불성이 없다고 말할 수 없느니라.
선남자여, 불성은 색(色)이기도 하고, 색이 아니기도 하고, 색도 아니고 색 아님도 아니며, 모양이기도 하고 모양이 아니기도 하고, 모양도 아니고 모양 아님도 아니며, 하나이기도 하고 하나 아니기도 하고, 하나도 아니고 하나 아님도 아니며, 항상함도 아니고 아주 없음[斷]도 아니고, 항상하지 않음도 아니고 아주 없지 않음도 아니며, 있기도 하고 없기도 하고, 있음도 아니요 없음도 아니며, 다하기도 하고 다하지 않기도 하고 다함도 아니고 다하지 않음도 아니며, 인이기도 하고 과이기도 하고, 인도 아니고 과도 아니기도 하며, 뜻이기도 하고 뜻이 아니기도 하고 뜻도 아니고 뜻 아님도 아니며, 글자이기도 하고 글자 아니기도 하고 글자도 아니고 글자 아님도 아니니라.
어찌하여 색이라 하는가. 금강 같은 몸인 까닭이니라. 어찌하여 색이 아니라 하는가. 18불공법(不共法)은 색법이 아닌 까닭이니라. 어찌하여 색도 아니고 색 아님도 아닌가. 색과 색 아닌 데에 일정한 모양이 없는 까닭이니라. 어찌하여 모양이라 하는가. 32상인 까닭이니라. 어찌하여 모양이 아니라 하는가. 모든 중생의 모양이 나타나지 않는 까닭이니라. 어찌하여 모양도 아니고 모양 아님도 아니라 하는가. 모양과 모양 아닌 데에 결정치 못한 까닭이니라. 어찌하여 하나라 하는가. 모든 중생이 다 1승인 까닭이니라. 어찌하여 하나가 아니라 하는가. 3승을 말하는 까닭이니라. 어찌하여 하나도 아니고 하나 아님도 아니라 하는가, 세는 법이 없는 까닭이니라. 어찌하여 항상함이 아니라 하는가. 인연을 따라 보는 까닭이니라. 어찌하여 아주 없음이 아니라 하는가. 아주 없다는 소견을 여읜 까닭이니라. 어찌하여 항상하지 않음도 아니고 아주 없지 않음도 아니라 하는가. 나중과 처음이 없는 까닭이니라. 어찌하여 있다 하는가. 모든 중생이 모두 가진 까닭이니라. 어찌하여 없다 하는가. 알맞은 방편을 따라서 보는 까닭이니라. 어찌하여 있음도 아니고 없음도 아니라 하는가. 허공의 성품인 까닭이니라.
어찌하여 다한다 하는가. 수릉엄삼매를 얻은 까닭이니라. 어찌하여 다하지 않는다 하는가. 항상한 까닭이니라. 어찌하여 다함도 아니고 다하지 않음도 아니라 하는가. 모든 다했다는 모양이 없어진 까닭이니라. 어찌하여 인이라 하는가. 요인(了因)인 까닭이니라. 어찌하여 과라 하는가. 결정한 까닭이니라. 어찌하여 인도 아니고 과도 아니라 하는가. 항상한 까닭이니라. 어찌하여 뜻이라 하는가. 뜻에 장애 없음[義無礙]을 모두 거두어 가진[攝取] 까닭이니라.
어찌하여 뜻이 아니라 하는가. 말할 수 없는 까닭이니라. 어찌하여 뜻도 아니고 뜻 아님도 아니라 하는가. 필경까지 공한 까닭이니라. 어찌하여 글자라 하는가. 이름이 있는 까닭이니라. 어찌하여 글자가 아니라 하는가. 이름하는 것이 이름이 없는 까닭이니라. 어찌하여 글자도 아니고 글자 아님도 아니라 하는가. 온갖 글자가 없어진 까닭이니라. 어찌하여 괴롬도 아니고 즐거움도 아니라 하는가. 온갖 받는 것[受]을 없앤 까닭이니라. 어찌하여 내가 아니라 하는가. 여덟 가지 자재함[八自在]을 갖추지 못한 까닭이니라. 어찌하여 나 아님도 아니라 하는가. 항상한 까닭이니라. 어찌하여 나도 아니고 나 아님도 아니라 하는가. 짓지도 않고 받지도 않는 까닭이니라. 어찌하여 공이라 하는가. 제일의공인 까닭이니라. 어찌하여 공이 아니라 하는가. 항상한 까닭이니라. 어찌하여 공도 아니요 공 아님도 아니라 하는가. 선한 법을 위하여 종자가 되는 까닭이니라.
선남자여, 어떤 사람이 대반열반의 이러한 뜻을 생각하고 이해한다면, 이 사람은 불성을 본 것이니, 불성은 헤아릴 수 없는 것이며, 부처님 여래의 경계요 성문이나 연각의 알 바가 아니니라. 선남자여, 불성은 5음도 18계도 6입도 아니요, 본래는 없다가 지금은 있는 것도 아니며, 있었다가 도로 없어지는 것도 아니니, 선한 인연으로야 중생들이 보게 되느니라. 마치 검은 쇠[黑鐵]가 불에 들어가면 붉어지고, 나와서 식어지면 도로 검어지는 것과 같나니, 이 검은 빛은 안에 있지도 않고 밖에 있지도 않으며 인연으로 있는 것이니라. 불성도 그러하여 모든 중생의 번뇌의 불이 꺼지면 보게 되느니라. 선남자여, 이 대반열반의 미묘한 경전은 한량없는 공덕을 구족히 성취하였나니, 불성도 그러하여 한량없고 그지없는 공덕으로 성취하였느니라."
이 때에 사자후보살마하살이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보살이 몇 가지 법을 구족히 성취하였기에, 불성을 분명하게 보지 못하며, 부처님들은 몇 가지 법을 성취하셨기에 분명하게 보나이까?"
"선남자여, 보살은 열 가지 법을 구족히 성취하였으므로 불성을 보면서도 분명하지 못하니라. 무엇이 열인가. 하나는 욕심이 적고[少欲] 둘은 만족함을 알고[知足] 셋은 고요함[寂靜]이요 넷은 정진이요 다섯은 바른 생각[正念]이요 여섯은 바른 정[正定]이요 일곱은 바른 지혜[正慧]요 여덟은 해탈이요 아홉은 해탈을 찬탄함이요, 열은 대반열반으로 중생을 교화함이니라."
사자후보살이 세존께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욕심이 적은 것과 만족함을 아는 것이 어떻게 다르나이까?"
"선남자여, 욕심이 적은 것은 구하지도 않고 취하지도 않음이요, 만족함을 아는 것은 적게 얻었을 적에 후회하지 않는 것이니라. 욕심이 적은 것은 하고자 함이 적음이요 만족함을 아는 것은 불법의 일만 위하고 마음에 근심하지 않는 것이니라. 선남자여, 욕심은 세 가지가 있으니 하나는 나쁜 욕심이요, 둘은 큰 욕심이요, 셋은 욕망의 욕심[欲欲]이다. 나쁜 욕심이란 것은 만일 비구가 탐욕을 내어서, 모든 대중의 우두머리가 되어 모든 비구들이 나의 뒤에 따르고, 여러 사부대중이 모두 나에게 공양하고 공경하고 찬탄하고 존중하기를 바라며, 내가 가장 먼저 사부대중에게 법을 말하거든 모든 사람들이 나의 말을 믿으며, 국왕·대신·장자들도 모두 나에게 공양하여 나로 하여금 의복과 음식과 와구(臥具)와 의약과 훌륭한 가옥을 많이 얻어서, 생사의 욕망을 만족하려 하면 이것은 나쁜 욕심이니라.
어떤 것이 큰 욕심인가. 만일 비구가 욕심을 내어서, '어찌하면 사부대중으로 하여금 내가 초주(初住)에서부터 내지 10주를 얻었으며, 아눗다라삼먁삼보디를 얻었으며, 아라한과에서부터 내지 수다원과를 얻었으며 4선(禪)과 4무애지(無礙智)를 얻은 줄을 알게 하리요' 하며, 이양을 위한다면 이것은 큰 욕심이니라.
욕망의 욕심이라 함은, 만일 비구가 범천에나 마왕천에나 자재천에나 전륜성왕이나 찰제리나 바라문으로 태어나서 자재하려 하면, 이는 이양을 위하는 것이므로 욕망의 욕심이라 하느니라. 만일 이런 세 가지 나쁜 욕심의 해가 되지 아니한다면, 이는 욕심이 적다고 이름하느니라. 욕심은 25애(愛)라 하나니, 25애가 없으면 욕심이 적다 하고, 미래에 하고자 하는 일을 구하지 아니하면 욕심이 적다 하고, 얻고도 집착하지 아니하면 만족한 줄 안다 하며, 공경을 구하지 아니하면 욕심이 적다 하고, 얻고도 쌓아 두지 아니하면 만족함을 안다고 하느니라.
선남자여, 또 욕심은 적으나 만족함을 안다고 이름하지 못할 것이 있으며, 만족할 줄은 아나 욕심이 적다고 이름하지 못할 것도 있으며, 욕심도 적고 만족함도 안다고 할 것이 있으며, 만족한 줄도 모르고 욕심도 적지 않다고 할 것이 있느니라. 욕심이 적은 이는 수다원이요, 만족함을 아는 이는 벽지불이요, 욕심도 적고 만족함도 아는 이는 아라한이요, 욕심도 적지 않고 만족함도 모르는 이는 보살이니라. 선남자여, 욕심이 적고 만족함을 아는데 또 두 가지 있으니, 하나는 선한 것이요 다른 하나는 선하지 않은 것이니라. 선하지 않은 것은 범부요 선한 것은 성인과 보살이니라. 모든 성인은 비록 도과(道果)를 얻었으나 스스로 말하지 아니하며, 말하지 아니하므로 마음이 시끄럽지 아니하나니, 이것을 이름하여 만족함을 안다 하느니라. 선남자여, 보살마하살은 대승 대열반경을 닦아서 불성을 보려 하나니, 그러므로 욕심이 적고 만족함을 아는 것을 닦아 익혔다 하느니라.
어떤 것을 고요함이라 하는가. 고요함에 두 가지가 있으니, 하나는 마음이 고요하고 둘은 몸이 고요함이니라. 몸이 고요함은 몸으로 하는 세 가지 나쁜 짓을 짓지 아니함이고, 마음이 고요함은 뜻으로 하는 세 가지 나쁜 짓을 짓지 아니함이니, 이것을 이름하여 몸과 마음이 고요하다 하느니라. 몸이 고요한 이는 사부대중을 친근하지 아니하고, 사부대중의 하는 일에 참여하지 아니하며, 마음이 고요한 이는 마침내 탐욕·성내는 일·어리석음을 익히지 않나니, 이것을 이름하여 몸과 마음이 고요하다 하느니라.
어떤 비구는 몸은 고요하나 마음이 고요하지 못한 이가 있고 마음은 고요하나 몸이 고요하지 못한 이도 있고, 몸과 마음이 고요한 이도 있고, 몸과 마음이 모두 고요하지 못한 이도 있느니라. 몸은 고요하나 마음이 고요하지 못한 것은, 어떤 비구가 고요한 데서 좌선(坐禪)하느라고 사부대중을 멀리하였지만, 마음속에는 항상 탐욕과 성내는 일과 어리석음을 쌓아 두나니, 이를 일러 몸은 고요하나 마음이 고요하지 못하다 하느니라. 마음은 고요하나 몸이 고요하지 못한 것은, 어떤 비구가 사부대중과 국왕과 대신을 친근하면서도, 마음에는 탐욕·성내는 일·어리석음을 끊었으면, 이것을 말하여 마음은 고요하나 몸은 고요하지 못하다 하느니라. 몸과 마음이 고요한 이는 부처님과 보살이요, 몸과 마음이 모두 고요하지 못한 이는 모든 범부들이니라. 왜냐 하면 범부들은 몸과 마음이 비록 고요하더라도, 무상하고 즐겁지 않고 내가 없고 깨끗하지 않음을 깊이 관찰하지 못하기 때문이니, 이런 뜻으로 범부들은 몸과 입과 뜻으로 짓는 법을 고요하게 하지 못하고, 일천제들은 4중금을 범하고 5역죄를 지으므로, 이런 사람들도 몸과 마음이 고요하다고 이름하지 못하느니라.
어떤 것을 정진이라 하는가. 어떤 비구가 몸과 입과 뜻으로 하는 업이 깨끗하기 위하여, 온갖 선하지 못한 업을 멀리 여의고, 모든 선한 업을 닦는 것을 정진이라 이름하느니라.
이렇게 부지런히 정진하는 이는 여섯 군데에 생각을 두나니, 부처님과 법과 승가와 계율과 보시와 하늘이니라. 이것을 바른 생각[正念]이라 하느니라.
바른 생각을 갖춘 이가 얻는 삼매는 이것을 바른 정[正定]이라 하느니라.
바른 정을 갖춘 이는 모든 법을 관찰하되 허공과 같이 하나니, 이것을 바른 지혜[正慧]라 하느니라. 바른 지혜를 갖춘 이는 온갖 번뇌의 결박을 여의었나니 이것을 해탈이라 하느니라. 해탈을 얻은 이는 중생들을 위하여 해탈을 칭찬하면서, 이 해탈은 항상하여 변하지 않는다 하나니, 이것을 해탈을 찬탄한다 하느니라.
해탈은 곧 위없는 대반열반이요, 열반은 곧 번뇌로 결박한 불이 꺼지는 것이니라. 또 열반은 집이라 이름하나니, 왜냐하면 번뇌라는 사나운 비바람을 막는 까닭이니라. 또 열반은 귀의할 데라 하나니, 왜냐 하면 능히 모든 공포를 없애는 까닭이니라. 또 열반은 섬이라 이름하나니, 왜냐하면 네 가지 빠른 물결[四暴流]로도 떠내려 보낼 수 없는 까닭이니라. 무엇이 네 가지인가. 하나는 욕심 빠른 물결[欲暴流]이요 둘은 유(有)의 빠른 물결이요 셋은 소견의 빠른 물결이요, 넷은 무명의 빠른 물결이니라. 그러므로 열반을 섬이라 이름하느니라. 또 열반은 필경에 돌아갈 데니, 왜냐하면 모든 필경의 낙을 얻는 까닭이니라. 만일 보살이 이 열 가지 법을 성취하여 갖추면 불성을 보기는 하나 분명치 못하느니라.
또 선남자여, 출가한 사람에게 네 가지 병이 있어서 네 가지 사문의 과를 얻지 못하느니라. 무엇을 네 가지 병이라 하는가. 네 가지 나쁜 탐욕이니, 하나는 의복을 위한 탐욕이요 둘은 음식을 위한 탐욕이요 셋은 와구를 위한 탐욕이요 넷은 유(有)의 탐욕이니, 이것을 네 가지 나쁜 탐욕이라 하느니라. 이 출가한 이의 병은 네 가지 좋은 약이 있어 치료하나니, 누더기옷[糞掃衣]으로는 비구의 의복을 위하는 탐욕을 고치고, 걸식함으로는 음식을 위한 탐욕을 깨뜨리고, 나무 밑에 앉음으로는 와구를 위한 탐욕을 깨뜨리고, 몸과 마음이 고요함으로는 비구들의 유의 탐욕을 깨뜨린다. 이 네 가지 약으로 네 가지 병을 치료하는 것을 성인의 행이라 하며, 이런 성인의 행을 이름하여 욕심이 적고 만족함을 안다고 하느니라. 고요함은 네 가지 즐거움이 있으니, 하나는 출가한 즐거움이요 둘은 고요한 즐거움이요 셋은 영원히 멸하는 즐거움이요 넷은 끝까지 즐거움이라. 이 네 즐거움을 얻었으므로 고요하다 이름하느니라.
4정진을 갖추었으므로 정진이라 하고, 4념처(念處)를 갖추었으므로 바른 생각이라 하고, 4선정을 갖추었으므로 바른 정이라 하고, 네 가지 진실한 이치[四聖實]를 갖추었으므로 바른 지혜라 하고, 모든 번뇌의 결박을 영원히 여의었으므로 해탈이라 하고 모든 번뇌의 허물을 꾸짖으므로 해탈을 찬탄한다 하느니라. 선남자여, 보살마하살이 이 열 가지 법에 머물러 구족하면 비록 불성을 보더라도 분명하지 못하니라.
또 선남자여, 보살마하살이 이 경을 듣고 친근하고 닦아서 모든 세상일을 멀리 여의면 욕심이 적다 하고, 출가한 뒤에 후회하는 마음을 내지 아니하면 만족함을 안다 하고, 고요한 곳을 가까이하고 시끄러운 데를 멀리 여의면 고요하다 하느니라. 만족함을 알지 못하는 이는 고요한 데를 좋아하지 못하거니와, 만족함을 아는 이는 고요한 데를 좋아하고, 고요한 데서 항상 생각하기를 '모든 세상 사람들이 나를 말하여 사문의 도를 얻었다 하지만 나는 지금 얻지 못하였거늘, 어찌 사람을 속이리요' 이렇게 생각하고 부지런히 사문의 도과를 닦는 것을 정진이라 하고, 대반열반을 친근하여 익힘을 바른 생각이라 하고, 하늘의 행을 따라 익힘을 바른 정이라 하고, 이 정에 편안하게 머물러 옳게 보고 옳게 아는 것을 바른 지혜라 하고, 옳게 보고 옳게 아는 이가 번뇌의 결박을 멀리 여의는 것을 해탈이라 하고, 10주 보살이 중생을 위하여서 열반을 칭찬함을 해탈을 찬탄한다 하느니라. 보살마하살이 이 열 가지 법에 편안히 머물러 구족하면, 비록 불성을 보더라도 분명하지 못하느니라.
또 선남자여, 욕심이 적다는 것은 비구가 고요한 데 있어서 단정하게 앉아 눕지 않거나, 나무 밑에 있거나 무덤 곁에 있거나 한데에 있거나 풀밭에 가서 앉았으며, 걸식하여 먹으면서 얻는 대로 만족하고, 혹은 한 자리에서 먹으면서 한 때만 먹고, 세 가지 가사와 누더기옷과 취의(毳衣)만을 가지면, 이것을 욕심이 적다 하고, 이런 일을 행하면서도 후회하는 마음이 없으면 만족함을 안다 하고, 공삼매(空三昧)를 닦는 것을 고요하다고 하고, 4과를 얻고도 아눗다라삼먁삼보디에 마음을 쉬지 아니함을 정진이라 하고, 여래는 항상하여 변함이 없다고 마음을 두어 생각함을 바른 생각이라 하고, 8해탈을 닦음을 바른 정이라 하고, 4무애를 얻는 것을 바른 지혜라 하고, 일곱 가지 누(漏)를 여의는 것을 해탈이라 하고, 열반에는 열 가지 모양이 없다고 칭찬함을 해탈을 찬탄한다 하나니, 열 가지 모양은 낳는 것·늙는 것·병나는 것·죽는 것·빛·소리·향기·맛·닿임·무상이라, 이 열 가지를 여의는 것을 대반열반이라 하느니라. 이렇게 보살마하살이 열 가지 법에 머물러 구족하면, 불성을 보면서도 분명하지 못하느니라.
또 선남자여, 탐욕이 많아서 국왕·대신·장자·찰제리·바라문·비사·수타를 친근하면서 스스로 말하기를 내가 수다원과나, 내지 아라한과를 얻었노라 하여 이양을 위하며, 가고 서고 앉고 눕거나 내지 대소변을 하다가도 단월을 만나면 공경을 행하거나 상대하여 말을 하여 나쁜 욕심을 파하는 이는 욕심이 적다고 이름하며, 모든 번뇌를 깨뜨리지 못하였더라도, 여래의 행하는 곳과 같이 하면 만족함을 안다고 하느니라. 선남자여, 이러한 두 가지 법은 바른 생각과 바른 정에 가까워지는 인연이며, 스승이나 함께 공부하는 이의 칭찬을 받으며, 나도 항상 여러 경전에서 이 두 가지 법을 찬탄하였으니, 이 두 가지 법을 구족하는 이는 대반열반과 다섯 가지 낙에 가까워지리니 이것을 고요함이라 하고, 계행을 굳게 지니는 이를 정진이라 하고, 부끄러움이 있는 이를 바른 생각이라 하고, 마음의 모양을 보지 않는 것을 바른 정이라 하고, 모양이 없어져서 번뇌가 끊어짐을 해탈이라 하고, 이러한 대반열반을 칭찬함을 해탈을 찬탄한다 하느니라. 선남자여, 이것을 이름하여 보살마하살이 열 가지 법에 편안히 머문다 하나니, 비록 불성을 보더라도 분명하지 아니하니라.
선남자여, 그대가 묻기를 10주 보살은 무슨 눈이기에, 불성을 보더라도 분명하지 못하고, 부처님 세존은 무슨 눈이기 불성 보기를 분명히 하는가 하였나니, 선남자여, 혜안(慧眼)으로 보는 까닭으로 분명하지 못하고, 불안(佛眼)으로 보는 까닭으로 분명한 것이며, 보리행을 하는 까닭으로 분명하지 못하고, 행함이 없으므로 분명한 것이며, 10주에 머물렀으므로 보는데도 분명하지 못하고, 머물지도 않고 가지도 않으므로 분명한 것이니라. 보살마하살은 지혜의 인이므로 분명하게 보지 못하고, 부처님께서는 인과를 끊었으므로 분명하게 보느니라. 온갖 것을 깨달은 것을 불성이라 하거니와, 10주 보살은 온갖 것을 깨달았다 이름할 수 없으므로, 비록 보더라도 분명하지 못하니라.
선남자여, 보는 데 두 가지가 있으니, 하나는 눈으로 보는 것이요 둘은 들어서 보는 것이니라. 부처님 세존은 눈으로 불성을 보시므로, 손바닥에 있는 아마륵 열매를 보듯 하고, 10주 보살은 불성을 들어서 보므로 분명치 못하니라. 10주 보살은 결정코 아눗다라삼먁삼보디를 얻을 줄을 스스로는 알지만, 모든 중생들이 다 불성이 있는 줄을 알지 못하느니라.
홍범구주洪範九疇
mangu
'마스터와 가르침 > 석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본열반경. 대반열반경 제27권-23. 사자후보살 ③ (0) | 2022.04.25 |
---|---|
남본열반경. 대반열반경 제26권-23. 사자후보살품 ② (0) | 2022.04.25 |
남본열반경. 대반열반경 제24권-22. 광명변조고귀덕왕보살 ⑥ (0) | 2022.04.25 |
남본열반경. 대반열반경 제23권-22. 광명변조고귀덕왕보살 ⑤ (0) | 2022.04.25 |
남본열반경. 대반열반경 제22권-22. 광명변조고귀덕왕보살 ④ (0) | 2022.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