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관리 메뉴

숨터학당(學堂)-진리를 깨달아 자유를....나는 나다.

장계황 박사. 분단이야기 본문

배움과 깨달음/역사와 철학

장계황 박사. 분단이야기

柏道 2021. 9. 1. 08:03


지정학이란 무엇인가?
지정학이란 용어를 잘 이해 하여야 한다.
지리학에 정치가 가미 되면 지정학이 된다. 지리학이란 산과 강, 도로 등 자현현상에 인공이 가미된 것을 지리학이라 하는데 거기에다 정치가 더하여 지면 지정학이 된다.

경제가 더해지면 지경학이 되고....

뭐 이런식으로 지정학을 이해 하면 우리는 늘 지정학적으로 중요한 위치에 있어...이 말이 이해가 될 것이다.
우리는 지정학적 측먄서 아주 중요한 위치에 있다.그래서 늘 우리를 해하려하고 우리땅을 침고 앟여 한다.

지정학적으로 중요하다는 것은 우선 해양세력과 대륙세력이 만나는 접점이기에 지정학적으로 중요하다. 해양세력이 대륙으로 들어가는 길목이다. 마찬가지로 대륙세력이 해양으로 접근하는 허브의 기능을 가진 곳이 바로 대한국토이다. 그래서 늘 씨끄럽고 전쟁이 많은 곳이다.

위 지도를 잘 보면 이해가 될 것이다.

한반도는 지금 분단이 되어 있지만 지금 분단 이전에 4번에 걸쳐 분단의 역사가 있다. 역사의 기록에 자세히 언급되어 있으나 우리는 그것을 별로 눈여겨보지 않는다. 지금부터 하나씩 살펴 보자

이것은 1593년에 일본의 제안으로 명나라와 분단의 역사를 만드려다 실패한 사건이다.

일본의 제안
-. 1592년 9월 일본의 고니시 유키나가(小西行長)가 평양 강화 회담
> 명나라 심유경(沈惟敬)에게 대동 강변을 중심으로 분할
> 각국이 통치하자는 제안
-.1593년 6월
>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가 조선 8도 중
>경기, 충청, 전라, 경상 등 남부의 4도를 일본에 할양하는 조선분할안 제안
제안의 내용
-. 고니시는 대동강 동쪽의 땅은 일본이 갖고,
-. 서쪽은 조선의 땅으로 인정하는 안을 제시

제안의 이유
-. 이는 일본 군대가 대동강을 중심으로 점령
-. 현재의 그 자리에서 전쟁을 끝내자는 제안

결과
-. 처음에는 심유경이 이를 받아들여 결정
-. 1593년 11월엔 명 조정 내부에서 조선을 둘이나 셋으로 나눠 왜(倭)를
방어하는 자에게 주자는 안이 나왔으나 병부상서
석성(石星)이 불가하다고 주장해 무산
-. 후에도 일본은 수차례에 명에게 분할 통치 제안



이것은 영국이 제안하여 한반도를 분할하는 안이였는데 청나라는 수락하고 일본이 반대하여 실패한 분할이다.

시대상황
-. 19세기 말과 20세기 초에는
> 해양 세력이 식민지를 만들기 위해 해외로 진출하던 시기
> 해양 세력인 영국에 의하여 서울을 중심으로 청나라와 일본이
분할하는 안을 제시

이유
-. 해양세력들이 본격적으로 해외로 진출 하던 시기로서
> 아시아의 지배권을 손에 장악하기 위해
> 미국과 영국이 중심이 되어 본격적으로 아시아로 진출 하던 시기
-. 러시아도 남하정책을 펼침. 일촉즉발의 시대 당시
-. 영국은 나름대로 국제정치 질서를 잡아가려 여러 계획을 수립

결과
-. 청나라는 영국에 수락 의사를 전달
-. 대한국토에 독점적 지위를 노리던 일본은 거절
-. 결국 청일전쟁 : 일본은 청을 한반도에서 밀어내는데 성공


이 안은 1896년도 안으로서 러시아가 남하정책을 펼치면서 대한국토를 분할하려는 안이었다. 이것은 일본이 남하하는 러시아를 막기위하여 분할 안을제시 하였는데. 러시아가 받아들이지 않아 파기된 안이다.


시대상황
-. 1895년 ‘을미사변(乙未事變)’ 친일파가 다시 내각을 장악
-. 고종과 왕세자는 1896년 2월 러시아 공관으로 피신하는
>‘아관파천(俄館播遷)’

일본은 한반도에 욕심을 내는 러시아 세력 고민
-. 러시아의 존재감에 눌린 일본은
> 조선반도에 대해 일부의 영토라도 확보하면서 대륙 진출을 노리다 보니
> 1896년 러시아에 두 차례에 걸쳐 한반도 분할을 제시

북위 39도선 근처인 대동강변을 분할하는 안
-. 한반도의 3분의 1을 주겠다고 했다가 러시아가 부정적 반응
> 서울을 경계로 한 반분론 제시
-. 러시아도 남하정책에 의해 대한국토 전체를 관장 할 목적
> 이에 부동의 : 대한국토 남부를 요충지로 보고 대한국토 전체를 확보 전략

대한국토의 분할 지배 안의 제안
-. 니콜라이 2세 대관식에서 제안
-. 1896년 5월 24일, 야마가타 아리토모는 일본의 특명전권대사로 임명
> 전쟁을 하지 말고 나누어서 지배하자고 제안
> 러시아는 이 제안을 거절
-.야마가타의 제안에 러시아와 일본의 점령 지역 중간에 ‘비무장지대’제안 포함


이 안은 위의 안이 파기 되고....다시 일본이 우위를 점하는 분위기에서 러시아가 안을 제시하고 일본이 거부한 안이다.


상황변화
-. 러시아와 일본의 대한국토 지배에 대해서는 또 다른 변수
-. 이번에는 러시아가 일본에 제안
-. 일본이 1986년에 제안 했던 내용보다는 훨씬 북쪽으로 경계를 하여 제안 하는데
> 일본이 거절하여 분할 지배가 실패

일본의 변화
-. 일본은 동아시아의 패권을 노리고 영국과 영일동맹 체결(1902년)
-. 당시 영국은 일본을 이용해
> 러시아의 남하정책 제지
-. 한반도를 단독 지배 야욕을
> 1904년 러일전쟁

러시아의 제안
-. 러시아는 다시 대동강 변을 중심으로 한 분할을 일본에 제시
-. 영국의 지원을 받는 일본 거절

결과
-. 1904년 일본과 러시아는 러일전쟁
> 영국과 미국의 군수 지원을 받은 일본의 승리
> 이는 순전히 러시아의 남하 정책을 막기 위한 영국과 미국의 전략

1902년 1차 영일동맹
1905년 7월 29일 가쓰라테프트 밀약(미국)
1905년 8월 12일 제2차 영일동맹(영국)
1905년 9월 5일 포츠머스 조약(러시아)


일본이 한반도를 참략하는데 있어서 하루 아침에 침략을 한것이 아니다. 이미 4차례에 걸쳐 명나라와 영국과 러시아와 침략에 대한 예행연습을 하였고 실패한 부분에 대한 철저한 분석을 통하여 이런 방식으로는 안된다고 하여 내 놓은 안이 바로

"균세 전략"이다

즉 균세전략은 한 강대국에서만 상대하여는 안된다고 판단 한 것이다.
그래서 일본은 미국과 가쓰라태프트밀약을 맺고, 영국과 제1,2차 영일동맹을 맺고, 믹구을 중심으로 하여 러시아와 포스머스 조약을 체결한다.

즉 다시말해 미국, 영국, 러시아를 모두 자기편으로 만들고....조약을 통해 일본이 한반도를 먹겠다는 것에 동의를 받아내고 ...

그리고 1905년11월 17에 을사늑약으로 외교권을 박탈한다

우리는 이것을 똑바로 인식 하여야 한다.

이 외교권 박탈을 중심으로 1910년 8월 22일 한일병합조약을 체결하고 29일에 발표를 하여 식민통치에 들어간다.

일본은 아주 치미하게 계획하였다. 단순히 힘이 있어 점령한 것이 아니고 치밀한 계획에 의거 균세전략을 채택하여 강대국을 자국의 편으로 만들어 진행 한 사건이다.

일본은 여기서 세계제2차대전의 장을 마련 한 것이다.

일본은 크게보아 이 경술국치를 중심으로 1931년 만주국을 설립하고....대륙을 향한 몸부림을 시작한 것입닞다

일본은 한반도를 통치하기 위해 1593년 부터 연구를 하였고 수많은 실패를 중심으로 균세전략을 수립하고 이에대해 강대국을 끌여들여 한반도를 통치한 것이다.

우리는 이 역사의 흐름을 이해 하여야 한다. 각각의 개별적인 지식정보는 별로 중요하지 않다. 역사의 흐름을 스토리텔링으로 이해 하라........

3.1만세운동을 지식으로 이해하려하지말고 1593년 부터 이어진 일본의 대륙진출에 대해 그 흐름을 이해하고 을사윽약과 병탄 그리고 무단통치와 문화통치 민족말살통치를 이해 하여야 일제만행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