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숨터학당(學堂)-진리를 깨달아 자유를....나는 나다.

팔만대장경 소개 본문

마스터와 가르침/석가

팔만대장경 소개

柏道 2021. 3. 27. 18:18
http://user.chollian.net/~toaya/
팔만대장경 소개
I. 대장경(大藏經)이란?

"부처님의 모든 말씀을 체계적으로 집대성한것"을 대장경이라 합니다.

여기에는 경장(經藏), 율장(律藏), 론장(論藏) 즉 삼장(三藏)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삼장(Tri Pitaka); 경장(Sutra Pitaka), 율장(Vinaya Pitaka), 론장(Abhidarma Pitaka) ·경장:부처님께서 설하신 근본교리(根本敎理)

·율장:부처님께서 불제자들이 지켜야할 윤리(倫理)의 조항과 공동 생활상의 규범(規範)

·론장:위의"경"과 "율"에 대해 스님이나 학자들이 설명론의(說明論議)한 것

Ⅱ. "고려대장경"혹은"팔만대장경"이란 명칭?

대장경이 우리나라 역사상 고려시대에 조성되었기 때문에 "고려대장경"이라 하고 조성 된 경판수가 팔만장 이상 되기 때문에 "팔만대장경"이라 하며 또 모아서 "고려팔만대장경" 이라 하며 그리고 해인사에 봉안되어 있기에 "해인사 팔만대장경" 혹은 "해인사 고려대장경 "이라 하기도 합니다.

·불교에서 "팔만"이라는 의미?

불교에서는 "팔만 혹은 팔만사천"이라는 숫자는 "많다"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으며 그 래서 인간의 번뇌가 많음을 들어 "팔만사천번뇌"라 이르고 그리고 부처님의 많은 가르침을 들어 "팔만사천법문"이라 이름 합니다.

중생들에게 팔만사천 번뇌(병)가 있기에 부처님께서 이를 퇴치하기 위해서 팔만사천 법 문(약)을 설하셨습니다.

Ⅲ. 대장경(판) 조성의 역사

1) 최초의 대장경 목록 탄생

중국에 불교가 전래되면서 불교를 전하는 구법승들의 최대의 관심사는 불경을 한문으로 번역하는 일이었으며 이런 역경 사업엔 大·小왕조의 지배자들이 앞 다투어 후원하고 추 진하였습니다.

·왜냐하면 그 당시에는 부처님의 경전을 잘 모시고 번역하면 부처님의 신력(神力)으로 왕조와 나라가 번영하고 백성이 평안하고 자연재해가 적어지고 오랑캐를 물리칠 수 있다 는 부처님 가피력에 대한 믿음이 지극하였으며 실제로 그런 일이 자주 있었습니다.

이런 역경사업이 산발적으로, 대규모적으로 이루어 지다보니 많은 한역 경전이 나오게 되니 자연히 경전의 내용별 先·後분류가 이루어 져야할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습니다.

드디어 처음으로 730년(開元 18年)에 지승(智昇)스님이 경전을 내용별로 잘 분류하여 "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이라는 최초의 대장경 목록 책을 펴내었습니다.

2) 최초의 대장경 경판 조성

이때 까지만해도 불경은 모두 붓으로 직접 쓴 사본(寫本)이었는데 전란이나 불교를 배 척하는 세력가들에 의해 경전이 소실되는 경우가 많아지자 이러한 폐단을 없애려고 불경을 돌이나 나무에 새겨서 기리기리 보존하려는 믿음과 함께 대장경 조판을 통해 호법·호국의 신앙이 확산되어 있었습니다.

역사상 경전을 나무에 판각한 최초의 대장경판은 "북송 관판대장경(北宋官版大藏經)" (972년 시작∼983년에 완성)입니다.

이 대장경판은 대장경 목록 "개원석교록"을 바탕으로 북송 태조의 칙명으로 만(滿) 11년 만에 완성되었으며 모두 13만매 정도로 차례는 千字文순으로 480함(函)으로 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북방 오랑캐 金나라의 침입으로 소실 되었습니다.

Ⅳ. 우리나라에서 대장경판 조성의 역사

1) 초조 고려대장경

최초의 대장경판 조성은 고려 현종 2년(1011년)때 시작하여 현종20년(1029년) 18년 만 에 완성한 "초조 고려대장경"(初雕 高麗大藏經)으로 대체로 북송의 관판대장경의 내용을 토대로 조성하였으며 대구 팔공산 부인사에 봉안해 놓았는데 불행하게도 1232년 몽고군의 침입으로 소실되었습니다.

초조 대장경판 보완 및 고려 속장경 고려인들은 북송 대장경을 토대로 조성한 초조 고 려대장경에 만족하지 않고 완벽하고 주체적인 대장경을 만들려고 원대한 뜻을 품고 고려 문종때 초조대장경의 보완과 더불어 대각국사 의천(義天)은 흥왕사에서 교장도감을 설치하 고 불교 역사상 최초의 창조적 대장경 조성 사업에 착수 하였는데 멀리 송나라, 요(遼)나라 와 일본국까지 경전을 조사하고 모집해서 "신편제종교장총록"(新編諸宗敎藏總錄)이라는 책 을 펴내었는데 이것이 이른바 고려 속장경(續藏經)입니다.

그러나 지금은 북방 외적의 병화로 소실되었으며 국내 및 일본등지에 남아 있는 영인 본을 통해서 그 탁월한 창조적 내용을 알 수 있을 뿐입니다.

2) 재조(再雕) 대장경판 조성(현존하는 해인사 고려대장경)

현재 해인사 고려대장경은 고려 고종23년(1236년)에 시작하여 고종 38년(1251년) 16년 에 걸쳐서 완성되었습니다.

강화도 선원사에는 장경도감을, 진주등지에는 분사를 두어서 판각하였으며 처음에는 강 화도 선원사(禪源寺)에 봉안하였다가 외구의 노략질이 심해서 더욱 안전하게 보존하기 위 해서 서울 지천사(支天寺)를 거쳐 1398년에 해인사로 옮겨서 기금까지 안전하게 봉안하고 있습니다.

Ⅴ. 고려대장경 경판 판각 동기(護國, 護民, 護法)

중국에도 그러했듯이 그 당시 불교가 국교인 고려시대에도 불경(대장경)을 잘 모시고 판 각하면 부처님의 위신력(威神力)에 의해서 왕조가 유구하고 나라가 평화롭고 국민이 평안 해진다는 숭고하고 가륵한 믿음이 있었습니다. 고려인들의 이러한 확실한 믿음으로 인하여 어려운 전쟁중에도 고려의 온 국민들은 일치 단결하여 이 엄청나고 불가사이한 팔만대장 경 판각을 이룩하였습니다. 다시 간추려 말하면 대장경 판각 동기는 부처님의 위신력으로 " 나라를 지키기 위해서(護國), 국민을 편안하게 하기 위해서(護民), 불법을 보호하기 위해 서(護法)"입니다.

·그 당시 대장경판의 조성을 위한 고려 군·민(君·民)의 간절한 염원과 뜻은 1237년 에 이규보(李奎報)가 지은 "군신기고문"(君臣祈告文)에 잘 나타나 있습니다.

Ⅵ. 해인사 고려대장경판의 국보적 가치

1) 해인사 고려대장경판은 현존하는 대장경판 중 최고(最古)의 것이며, 여러차례 교감 (校勘)을 거친 가장 완벽하고 정확한 경판입니다.

·최근 일본이 자랑하며 만든 "대정신수대장경(大正新修大藏經)"책도 거의 해인사 고 려대장경을 기초로하여 교감(校勘) 되었습니다.

2) 해인사 고려대장경판은 다른 나라(송나라, 금나라, 거란 등)의 대장경판의 내용을 아는데 있어서 없어서는 안될 현존하는 중요한 자료입니다.

·앞으로 대장경을 만들시 대장경 원본(原本)으로서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습니다.

3) 내용에 있어서도 역사상 다른 대장경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새로운 문헌이 수록되 어 있습니다.

·각함중(各函中)에도 보이며 특히 "제"함이하("濟"函以下)에 있음.

4) 경판 글자 하나하나가 매우 정교하고 모두 일률적 입니다.

·현존하는 각판문화재(刻板文化財)중 최상의 보물이며, 예술성이 뛰어납니다.

Ⅶ. 해인사 고려대장경판의 개요

·해인사 고려대장경 경판은 국보(國寶) 제 32호 임 (國寶로 지정된 연도 : 1934년 8월 27일 일제시대 조선 총독부에서 국보로 지정한 것을 우리 정부 수립후 1962년 12월 20일 대한민국정부가 다시 지정 하였음)

1) 총매수 : ― 81,258매 <양면에 해서(楷書)로 양각되었음>

― 경종류 : 1,511종 권수 : 6,802권

·각종 자료마다 경판의 총매수, 경종류, 권수가 조금씩 다른 이유는 "補遺板 포함여부 ""중복판 포함여부"등으로 인하여 차이가 생겨납니다.

* 이 수치는 가장 보편적이고 신빙성있는 통계자료입니다.

2) 경판 1매

- 가로길이 ≒ 70cm

- 무게 ≒ 3.250kg

- 세로길이 ≒ 24cm

- 두께 ≒ 2.8cm

3) 글짜 새겨진면 :

- 가로길이 ≒ 51cm 세로길이 ≒ 22cm

- 글자행수 ≒ 23줄

- 1행당 字수 ≒ 14字

- 1字 크기는 ≒ 방 5분(方五分)

4) 경판 1매당 글자수(字數)

23 × 14 × 2 ≒ 644字

(행수) (1행당 자수) (양면)

5) 경판 전체 글자수

644 × 81,258 ≒ 52,330,152字

(경판1매당 글자수) (총 경판수)

6) 경판 나무종류

- 자작나무, 산벚나무, 돌배나무

- 재질단단, 오래보존

7) 판각하기 전에 경판나무를 끓는 소금물에 담굼 ∼ 그늘에 말림 반복한다. 이것은 뒤 틀림 방지, 좀 방지 및 장기간 보존에 효과가 크다.

8) 경판 표면에 옻칠

- 좀 방지

- 오래보존

9) 경판 옆면에 마구리 설치

- 뒤틀림 방지

- 쪼갬방지

- 오래보존

10) 네 모퉁이에 동판(銅版)부착

- 마구리 보호

- 오래보존



'마스터와 가르침 > 석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강경 원문  (0) 2021.03.28
화엄경 華嚴經  (0) 2021.03.28
무상정등각(無上正等覺)  (0) 2021.03.16
공(空)  (0) 2021.03.16
무거무래역무주(無去無來亦無住)  (0) 2021.03.13